KR200237461Y1 -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용실링구조 - Google Patents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용실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461Y1
KR200237461Y1 KR2019980025638U KR19980025638U KR200237461Y1 KR 200237461 Y1 KR200237461 Y1 KR 200237461Y1 KR 2019980025638 U KR2019980025638 U KR 2019980025638U KR 19980025638 U KR19980025638 U KR 19980025638U KR 200237461 Y1 KR200237461 Y1 KR 200237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eam discharge
valve body
steam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610U (ko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25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46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6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6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461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오븐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몸체(12)와 상기 밸브몸체(12)가 관통하여 설치된 뚜껑(2)과의 사이의 밀봉을 위해 상기 밸브몸체(12)의 외면에 제1 및 제2안착홈(12i,12s)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밸브몸체(12)를 둘러싸도록 상기 뚜껑(2)에 돌출제방(2b)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홈(12i,12s)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제방(2′)을 덮어싸도록 패킹(20)을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패킹(20)은 별도의 고정을 위한 너트와 같은 부품이 없이 그 자체의 탄성으로 상기 밸브몸체(12)와 뚜껑(2) 사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배출장치에 의하면, 증기배출장치가 관통되는 부분을 통한 수분의 누설이 방지되어 압력조리기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용 실링구조
본 고안은 압력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증기배출장치용 실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압력조리기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에 일정한 압력을 형성하고, 그 압력 상태하에서 조리를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에는 일반적인 압력조리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조리기본체(1)의 내부에 조리가 이루어지는 오븐(도시되지 않음)과 조리기 작동에 필요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조리기본체(1)의 상단에는 조리시에 상기 오븐을 외부와 차폐하는 뚜껑(2)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2)의 상면에는 오븐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추(10)와 솔레노이드밸브(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과 오븐을 체결/해제하기 위한 핸들(5)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3은 조리기의 조작을 위한 버튼 등이 설치되어 있는 조작패널이고, 4는 뚜껑(2)과 조리기본체(1)사이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이다.
한편, 제2도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핸들(5)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레버(6)가 뚜껑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추(10)의 일측 하단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2)을 관통하여서 그 머리부(7H)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리프터(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프터(7)의 하단에는 상기 구동레버(6)에 접촉되어 상기 구동레버(6)의 동작에 의해 상기 리프터(7)가 승강되게 하는 구동핀(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참고로 오븐 내부의 압력 조절을 상기 압력추(10)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밸브몸체(12)의 하단부가 탑히터플레이트(2′)를 관통하고, 상단부가 뚜껑(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밸브몸체(12)의 내부에는 압력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추(10)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압력유로(13)를 개폐하는 핀(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12)가 상기 뚜껑(2)을 관통하는 부분을 통한 수분의 틈입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뚜껑(2)의 표면에 위치되는 밸브몸체(12)부분에는 밀봉을 위한 패킹(16)을 게재한 상태로 너트와셔(15)를 체결한다. 도면 부호 14는 상기 밸브몸체(12)의 하단을 고정하는 밸브캡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증기배출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조리가 완료된 후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먼저, 오븐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중기를 먼저 배출하지 않게 되면, 상기 오븐 내부의 압력이 조리기 외부의 압력보다 높아 상기 뚜껑(2)에 구비된 패킹과 오븐 사이의 밀착에 의해 뚜껑(2)이 잘 열려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를 통해 증기를 배출시키지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의 설계 조건상 그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직경을 일정 이상으로 크게 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를 통한 증기 배출량에는 한계가 있어 조리 완료후 뚜껑의 개방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상기 밸브몸체(12)의 압력유로(13)를 통해서도 증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핸들(5)을 돌려주면, 상기 구동레버(6)가 회전되어 도면 상의 우측 단부가 상기 리프터(7)의 구동핀(8)을 올려 준다.
이와 같이 되면, 조리시에 상기 압력추(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던, 상기 리프터(7)가 상승되어 그 머리부(7H)가 상기 압력추(10)를 제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몸체(12)의 압력유로(13)를 통해서도 증기가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증기배출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뚜껑(2)과 밸브몸체(12) 사이를 밀봉하는 패킹(16)은 그 형상이 평평하게 되어 있어 상기 뚜껑(2) 및 밸브몸체(12)와 밀착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밀봉성능이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패킹(16)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너트와셔(15)를 정확하게 죄어주지 않게 되면, 상기 패킹(16)이 밀봉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킹(16)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밸브몸체(12)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와 함께 나온 수분이 상기 패킹(16)이 설치된 부분을 통해 뚜껑(2)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되면, 뚜껑(2) 내부에 있는 전장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증기배출장치 부분의 밀봉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증기배출장치가 설치되는 뚜껑부분의 밀봉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압력조리기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용 실링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패킹과 밸브몸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리기본체 2 : 뚜껑
2′: 탑히터플레이트 3 : 조작패널
6 : 구동레버 7 : 리프터
8 : 구동핀 10 : 압력추
11 : 핀 12 : 밸브몸체
12i : 제1안착홈 12s : 제2안착홈
13 : 압력유로 15 : 너트와셔
16 : 패킹 20 : 패킹
21 : 관통공 22 : 고정플랜지
23 : 인너레그 24 : 아웃레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오븐 내부의 증기 배출을 제어하고 그 외주면에 다단으로 안착홈이 형성된 증기배출부와, 상기 증기배출부가 관통설치되고 상기 증기배출부가 관통되는 부분을 둘러 돌출부를 구비하는 뚜껑과, 상기 돌출부 양측을 덮어쌈과 동시에 상기 증기배출부의 안착홈에 안착되어 증기배출부와 뚜껑사이를 밀봉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킹은 상기 증기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중 상단의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증기배출부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플랜지와, 상기 증기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중 하단의 안착홈과 상기 뚜껑의 돌출부 사이에 안착되도록 증기배출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인너레그와, 상기 인너레그와 협력하여 뚜껑의 돌출부의 외주면을 덮어 밀봉하는 아웃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증기배출장치용 실링구조를 사용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증기배출부를 실링할 수 있어 압력조리기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용 실링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오븐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몸체(12)의 하단부가 탑히터플레이트(2′)를 관통하고, 상단부가 뚜껑(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밸브몸체(12)의 내부에는 압력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몸체(12)가 관통되는 상기 뚜껑(2)에는 돌출제방(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제방(2b)은 상기 밸브몸체(12)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몸체(12) 중 상기 뚜껑(2)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는 제4도에 잘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안착홈(12i,12s)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안착홈(12i)은 상기 밸브몸체(12)를 둘러 상대적으로 상부에 더 깊게 형성되어있고, 상기 제2안착홈(12s)은 상기 밸브몸체(12)를 둘러 상대적으로 하부, 다시 말해 상기 뚜껑(2)의 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안착홈(12i)보다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12)의 상단부에는 압력추(1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압력추(10)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압력유로(13)를 개폐하는 핀(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몸체(12)가 상기 뚜껑(2)을 관통하는 부분을 통한 수분의 틈입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뚜껑(2)의 표면에 위치되는 밸브몸체(12) 부분에는 밀봉을 위한 패킹(20)이 설치된다.
상기 패킹(20)의 형상은 제4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그 중앙에 상기 밸브몸체(12)에 끼워지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1)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면서 상기 밸브몸체(12)의 제1안착홈(21i)에 안착되는 고정플랜지(22)가 구비된다. 상기 패킹(20)에는 상기 돌출제방(2b)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밸브몸체(12)의 제2안착홈(21s)에 밀착되는 인너레그(23)가 형성된다. 상기 인너레그(23)는 상기 밸브몸체(12)의 제2안착홈(21s)에 안착되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레그(23)의 외측으로는 상기 돌출제방(2′)의 외측을 감싸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밀봉하는 아웃레그(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너레그(23)와 아웃레그(24)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돌출제방(2b)을 덮어 싸면서 수분의 틈입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2)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압력추(10)를 동작시키는 리프터(7)를 구동시키는 구동레버(6)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레버(6)는 상기 핸들(5)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리프터(7)를 구동시켜 결국 압력추(10)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상기 리프터(7)는 상기 뚜껑(2)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그 머리부(7H)가 상기 압력추(10)의 일측과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퍼(7)의 하단에는 상기 구동레버(6)와의 연동을 위한 구동핀(8)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14는 상기 밸브몸체(12)의 하단을 고정하는 밸브캡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증기배출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조리가 완료된 후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먼저, 오븐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증기를 먼저 배출하지 않게 되면, 상기 오븐 내부의 압력이 조리기 외부의 압력보다 높아 상기 뚜껑(2)에 구비된 패킹과 오븐 사이의 밀착에 의해 뚜껑(2)이 잘 열려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를 통해 증기를 배출시키지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의 설계 조건상 그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직경을 일정 이상으로 크게 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9)를 통한 증기 배출량에는 한계가 본 실시예와 같은 증기배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밸브몸체(12)의 압력유로(13)를 통해 증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오븐 내부의 밥물이 함께 나오기도 하고 증기가 응축되어 수분으로 되기도 하여 상기 밸브몸체(12)와 뚜껑(2)의 주위에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패킹(20)에 의해 수분이 뚜껑(2) 내부로 틈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뚜껑(2)측에서는 상기 패킹(20)의 인너레그(23)와 아웃레그(24)가 상기 뚜껑(2)의 돌출제방(2b)을 덮어싸도록 설치되어 수분의 틈입을 방지하고, 상기 밸브몸체(12) 측에서는 상기 고정플랜지(22)와 인너레그(23)가 수분의 틈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패킹(20)은 상기 고정플랜지(22)와 인너레그(23)가 상기 안착홈(12i,12s)에 밀착설치되어 고정이 되므로, 패킹(20)을 조립하는 과정이 훨씬 간단하게 되어 증기배출장치 전체를 조립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는 뚜껑의 외부에서 내부로 수분이 틈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압력조리기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전체적으로 조립공정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오븐 내부의 증기 배출을 제어하고 그 외주면에 다단으로 안착홈(12i,12s)이 형성된 증기배출부와, 상기 증기배출부가 관통설치되고 상기 증기배출부가 관통되는 부분을 둘러 돌출부(2b)를 구비하는 뚜껑(2)과, 상기 돌출부(2b) 양측을 덮어쌈과 동시에 상기 증기배출부의 안착홈(12i,12s)에 안착되어 증기배출부와 뚜껑(2)사이를 밀봉하는 패킹(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용 실링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0)은 상기 증기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단의 안착홈(12i)에 안착되도록 상기 증기배출부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플랜지 (22)와, 상기 증기배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단의 안착홈(12s)과 상기 뚜껑(2)의 돌출부(2b) 사이에 안착되도록 증기배출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인너레그(23)와, 상기 인너레그(23)와 협력하여 뚜껑(2)의 돌출부(2b)의 외주면을 덮어 밀봉하는 아웃레그(2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용 실링구조.
KR2019980025638U 1998-12-19 1998-12-19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용실링구조 KR200237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638U KR200237461Y1 (ko) 1998-12-19 1998-12-19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용실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638U KR200237461Y1 (ko) 1998-12-19 1998-12-19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용실링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10U KR20000012610U (ko) 2000-07-05
KR200237461Y1 true KR200237461Y1 (ko) 2001-11-22

Family

ID=6950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638U KR200237461Y1 (ko) 1998-12-19 1998-12-19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용실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4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10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5665B2 (ja) 電気炊飯器
CN107647771A (zh) 一种压力锅
KR100901168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237461Y1 (ko)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용실링구조
US4396130A (en) Pressure cooker having safety opening means
KR100820909B1 (ko) 전기압력밥솥용 압력제어밸브 어셈블리
KR20000012584U (ko)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용 실링구조
KR102063357B1 (ko) 방열기용 절연유 밸브
KR100221363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354419Y1 (ko) 압력조리기의증기배출장치
CN204889611U (zh) 浮子阀及具有其的电压力锅
KR200368271Y1 (ko) 전기압력밥솥의 잔류압력제거장치
KR200299173Y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잠금장치
KR20220091895A (ko) 전기조리기
KR102143949B1 (ko) 조리기기용 증기 배출 조립체
JPS6130588Y2 (ko)
KR102143950B1 (ko) 조리기기용 증기 배출 조립체
KR980006537U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0138614Y1 (ko) 전기압력솥의 뚜껑비틀림방지장치
KR960007081Y1 (ko) 용기덮개용 밸브장치
KR0131333Y1 (ko) 전기 보온 압력밥솥의 안전 뚜껑
KR0139347Y1 (ko) 전기보온밥솥의 증기배출구조
KR940000565Y1 (ko)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 자동배출장치
KR200280472Y1 (ko) 밸브 체결용 볼트
KR102393074B1 (ko) 전기압력 조리기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