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161Y1 - 액체 분사용 노즐 - Google Patents

액체 분사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161Y1
KR200237161Y1 KR2020010008426U KR20010008426U KR200237161Y1 KR 200237161 Y1 KR200237161 Y1 KR 200237161Y1 KR 2020010008426 U KR2020010008426 U KR 2020010008426U KR 20010008426 U KR20010008426 U KR 20010008426U KR 200237161 Y1 KR200237161 Y1 KR 200237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ap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석
Original Assignee
최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석 filed Critical 최봉석
Priority to KR2020010008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161Y1/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분사용 노즐의 구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일사용예로서 비데 노즐로 사용할시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다수개의 물줄기가 중심점인 합수점으로 집중되도록 분사되게 함과 동시에 각물줄기 자체가 빠른 속도로 회전을 하면서 하나의 합수점에 집중 분사되게 하여, 분사력을 배가 시킬수 있도록 분사하므로서 세척력이 양호한 세척수 분사용 노즐의 구조에 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액체 분사용 노즐{Nozzle for injection of liquid.}
본 고안은 액체 분사용 노즐에 대한 고안으로서, 특히 남,여의 배설기관을 세척하는 분사노즐인 비데 노즐(Bidet nozzle)(이하 비데노즐이라 함)의 구조에 대한 고안으로서, 비데 노즐은 남녀를 불문하고 몸속의 이물질을 배설한 다음 배설부위의 후처리를 함에 있어, 화장지등을 대신하여 고압분사 되는 물줄기에 의하여 배설부위를 세척하거나 필요시 항문부를 통하여 직장내의 오물을 세척하는 목적등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비데 노즐이라 하는 바, 이러한 비데를 목적으로 하는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은 단순히 하나 또는 여러개의 세척수 분사공을 통하여 물줄기들이 직선 방향으로 직사되도록 노즐의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종래 일반적인 비데 노즐은 노즐 자체에 별다른 구조가 없이, 단지 노즐 선단에 다수개의 소정의 직경등으로 되는 세척수 분사공이 천설되어 있어, 수도전과 연결하여 이 수도전의 수압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므로, 세척수 물줄기가 대략 직사되게 되므로, 이러한 물줄기들은 목표로 하는 세척부위에 비교적 넓은 범위로 분사되게 되어 분사력이 분산되므로, 그만큼 각 물줄기의 분사압력이 약해지므로 세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액체 분사용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액체 분사용 노즐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액체 분사용 노즐의 종단면도로서 분사되는 물줄기의 분사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분사상태 설명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N. 액체 분사용 노즐(Bidet nozzle) 1. 노즐 외캡
2. 외주면 2a. 내주면
3. 계지단 4. 링
5. 암나사 10. 노즐 몸체
11. 압지 고정 돌원 12. 요입홈
13. 숫나사 14. 나조 돌원
15. 연결 기둥 16. 통수공
20. 세척수 유도체 21. 경사 외주면
22. 물 분사공 23. 물 분사 장홈
30. 수도전 31. 점선
32. 물줄기 궤적 P. 합수점
본 고안은 종래 일반적인 비데 노즐에서의 분사 압력보다 월등하게 강력한 분사압력으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비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다수개의 물줄기를 어느 한 중심위치에서 집중되게 하여, 이 집중된 물줄기의 합수되는 위치의 분사 수압이 최대한 높아질 수 있도록 분사되게 비데 노즐의 구조를 구성하므로서, 세척을 보다 더 청결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안출한 바,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비데 노즐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비데 노즐(N)은 노즐 외캡(1)과 노즐 몸체(10)와 이 노즐 외캡(1)과 노즐 몸체(10)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세척수 유도체(20)와의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바, 먼저 노즐 외캡(1)의 구조는 상협하광하게 테이퍼진 외주면(2)과 일정한 두께(t)를 가지고 외주면(2)의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되는 내주면(2a)으로 되는 소정길이와 소정의 외주 직경(XФ;일실시 예로서 20mmФ)과 내주직경(xФ;일실시 예로서 10mmФ)으로 되고 내주면(2a)의 대략 중도부에 소정의 깊이로 계지단(3)을 원형으로 형성하여, 이 계지단(3)에 가요성 재질의 링(4)을 내삽하므로서 3개의 부품이 조립되었을 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차폐하게 하고, 이러한 계지단(3)과 연결된 내주면(2a)에는 노즐 몸체(10)와 나합 체결하는 체결용 암나사(5)가 형성되게 하여 노즐 외캡(1)의 구조가 구성되고, 상기 노즐 외캡(1)과 조립되는 노즐 몸체(10)의 구조는 노즐 외캡(1)의 선단 내주면(2a)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되고 소정의 높이로 되는 압지 고정 돌원(11)을 돌설하고, 압지 고정돌원 상면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되는 요입홈(12)을 요입형성하고, 이러한 압지 고정 돌원(11) 저면과 일체로 연설되는 일정한 두께로 되고 그 외주면(2)이 노즐 외캡(1)에 형성된 암나사(5)와 나사 체결되는 숫나사(13)가 형성된 나조 돌원(14)이 구비되고, 이 나조 돌원(14)의 저면에 나조 돌원(14)과 일체로 연설되는 연결 기둥(15)을 구비하되, 이러한 노즐 몸체(10) 중앙에 노즐 몸체(10) 길이 방향으로 통수공(16)을 관통 천설하여서 노즐 몸체(10)의 구조를 구성하며, 또한 노즐 외캡(1) 내부에 삽설되어 노즐 몸체(10)와 결합되는 세척수 유도체(20)의 구조는 노즐 외캡(1)의 내주면(2a)과 동일한 직경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테이퍼진 경사 외주면(21)을 가지고, 또한 노즐 외캡(1)의 내주면(2a) 높이와 일치되는 높이로 되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소직경의 물 분사공(22)이 수직으로 천설되고, 상협하광한 방향의 테이퍼진 세척수 유도체(20)의 그 외주면(21)에 다수개(도면상으로 12개)의 반원형으로 요입된 물 분사 장홈(23)을 균일한 등간격으로 요입형성하되, 각 물 분사 장홈(23)은 필히 동일한 방향으로 그 수직 가상선으로부터 약 5°의 비틀림 각도(Twist angle)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게 물 분사 장홈(23)을 천설하여 세척수 유도체(20)의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노즐 외캡(1)과 세척수 유도체(20)와 노즐 몸체(10)를 조립하여 노즐 외캡(1)의 암나사(5)와 노즐 몸체(10)의 숫나사(13)에 의하여 체결하므로서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비데기 노즐의 전체 구성이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은 수도전(30)을 나타내고 도면 도 2의 점선(31)은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져서 분사되는 물의 직선 분사 방향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32)는 점선(31)을 중심방향으로 실제 물줄기가 회전하면서 분사됨을 도시한물줄기의 분사 궤적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의 (P)는 각 물 분사 장홈(23)으로부터 분사된 물줄기가 소정의 거리(L)에서 한점으로 합수되는 합수점(P)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비데기 노즐(N)을 공지한 좌변기의 수도전(3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본 고안상의 노즐(N)의 통수공(16)을 통하여 노즐 몸체(10) 상단면의 요입홈(12)을 따라 유입되어, 세척수 유도체(20)의 물 분사공(22)과 세척수 유도체(20) 외주면(2)에 요입형성된 다수개의 물 분사 장홈(23)을 통과하여 일정한 수압으로 분사되되, 세척수 유도체(20)의 물 분사공(22)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줄기는 세척수 유도체(20) 외주면(2) 자체가 상협하광하게 일정각도로 경사각을 가지므로, 물 분사 장홈(23)으로부터 분사되는 각 물줄기는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물줄기는 노즐로부터 떨어진 임의의 거리(L) 지점인 합수점(P)에 집중하여 합수가 되게 하므로서, 분사력 또한 합수점(P)에 집중되어 보다 강력한 분사력을 세척하고자 하는 부위에 집중되게 분사되게 되어 세척능력이 배가되며, 특히 물 분사 장홈(23)은 소정각도(5°)로 일정하게 비틀림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물줄기는 총기에 있어서 실탄이 총신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홈을 따라 강제 회전되면서 발사되는 형태와 동일하게 물줄기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분사되므로 이 회전되면서 합수점(P)으로 집중되는 물줄기의 강력한 분사력에 의하여 오물,오수를 순간적으로 떨어냄(Scratching)으로 보다 확실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그리고 최소의 물을 사용하여 세척능률을 극대화 시키는 탁월한 세척효과가 있는 바, 참고로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비데 노즐은 비대용으로 용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액체 분사용 노즐(1)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외캡(1) 내부에 삽설되어 노즐 몸체(10)와 결합되는 세척수 유도체(20)는 노즐 외캡(1)의 내주면(2a)과 동일한 직경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테이퍼진 경사 외주면(21)을 가지고, 또한 노즐 외캡(1)의 내주면(2a) 높이와 일치되는 높이로 되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소직경의 물 분사공(22)이 수직으로 천설되고, 상협하광한 방향의 테이퍼진 세척수 유도체(20)의 그 외주면(21)에 다수개의 반원형으로 요입된 물 분사 장홈(23)을 균일한 등간격으로 요입형성하되, 각 물 분사 장홈(23)은 필히 동일한 방향으로 그 수직 가상선으로부터 약 5°의 비틀림 각도(Twist angle)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게 물 분사 장홈(23)을 천설하여 세척수 유도체(20)의 구조를 구성하여서 되는 액체 분사용 노즐
KR2020010008426U 2001-03-27 2001-03-27 액체 분사용 노즐 KR200237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426U KR200237161Y1 (ko) 2001-03-27 2001-03-27 액체 분사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426U KR200237161Y1 (ko) 2001-03-27 2001-03-27 액체 분사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161Y1 true KR200237161Y1 (ko) 2001-10-10

Family

ID=7309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426U KR200237161Y1 (ko) 2001-03-27 2001-03-27 액체 분사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16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837B1 (ko) * 2002-12-10 2005-1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압에 따른 수류 조절이 가능한 가변 노즐
KR100630420B1 (ko) 2005-03-14 2006-09-29 주식회사 센시라인 비데
KR100758738B1 (ko) 2006-04-27 2007-09-14 주식회사 센시라인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이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
KR100841688B1 (ko) * 2007-04-24 2008-06-26 주식회사 대원비데 비데용 노즐팁
KR101552696B1 (ko) * 2013-06-24 2015-09-11 주식회사 교원 중앙집중 분사형 금속살수판을 적용한 분사노즐 및 그를 갖는 비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837B1 (ko) * 2002-12-10 2005-1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압에 따른 수류 조절이 가능한 가변 노즐
KR100630420B1 (ko) 2005-03-14 2006-09-29 주식회사 센시라인 비데
KR100758738B1 (ko) 2006-04-27 2007-09-14 주식회사 센시라인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이 분사노즐을 이용한 비데
KR100841688B1 (ko) * 2007-04-24 2008-06-26 주식회사 대원비데 비데용 노즐팁
KR101552696B1 (ko) * 2013-06-24 2015-09-11 주식회사 교원 중앙집중 분사형 금속살수판을 적용한 분사노즐 및 그를 갖는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2587B1 (en) Handshower assembly
ITUD20000064A1 (it) Rosetta per docetta
RU2031736C1 (ru) Душевая насадка
TWI656912B (zh) 噴淋射流排出裝置及配備該裝置的噴淋裝置
RU2006130489A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KR200237161Y1 (ko) 액체 분사용 노즐
CN109853685B (zh) 一种马桶的冲刷装置和马桶的冲刷系统
JPH0333331A (ja) 給水用ホース導管付き放水具
US9630193B2 (en) Showerhead with extendable handle
JP6189601B2 (ja) パルスシャワー装置
KR200277592Y1 (ko) 항문관장용 비데 노즐
KR101427165B1 (ko) 샤워기 헤드
KR200275706Y1 (ko) 스프링클러
US20210340744A1 (en) Sink spinner
JPS63258663A (ja) 回転ノズル
JP4291814B2 (ja) ジェット噴射装置
KR20120001005U (ko) 분무기의 회전 분사구
CN111940152A (zh) 烟草滚筒清洗用喷嘴及一种组合喷嘴
KR200332305Y1 (ko) 절수형 샤워기 헤드
DK169291B1 (da) Dyse til rensning og spuling af afløbskanaler og lignende.
CN219560031U (zh) 一种具有灯笼水功能的龙头花洒
KR910008217Y1 (ko) 상, 하수관 청소용 노즐
CN218814147U (zh) 一种泡沫液混合喷头及智能马桶
KR102604374B1 (ko) 샤워기용 나선형 분출수 노즐 구조
KR200348334Y1 (ko) 비데용 세척수 분사노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