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519Y1 - 인서트 피스 - Google Patents

인서트 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519Y1
KR200236519Y1 KR2020010002326U KR20010002326U KR200236519Y1 KR 200236519 Y1 KR200236519 Y1 KR 200236519Y1 KR 2020010002326 U KR2020010002326 U KR 2020010002326U KR 20010002326 U KR20010002326 U KR 20010002326U KR 200236519 Y1 KR200236519 Y1 KR 200236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piece
nut
wrench
bol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권
Original Assignee
장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권 filed Critical 장재권
Priority to KR2020010002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519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의 판넬을 조립하거나 냉장고 다리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부품 등으로 사용하는 인서트 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일단에는 볼트부(21)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너트부(22)를 형성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볼트부(21)를 임의의 고정부재에 고정시키고 상기 너트부(22)에는 통상의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인서트 피스(20)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22)에 조임결합부를 더 형성하여 렌치나 -자드라이버 등의 끼움식 공구로써 상기 볼트부(21)를 고정부재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Description

인서트 피스{insert piece}
본 고안은 주로 가구의 조립에 사용하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인서트 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구의 판넬을 조립하거나 냉장고 다리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부품 등으로 사용하는 인서트 피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 피스를 이용하여 가구를 조립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인서트 피스를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인서트 피스의 일단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조립식 가구에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서트 피스(10)를 이용하여 책상이나 책장을 조립할 경우에 수평판(1)의 양단에 볼트부(11)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인서트 피스(10)를 고정시킨 상태로 공장에서 작업을 한 후에 현장에서 가구를 조립하게 된다. 즉, 측판(2)에 소정 위치에 형성된 구멍(2a)을 통하여 너트부(22)를 삽입시킨 후 통상의 나사(3) 또는 볼트로 너트부(22)에 체결함으로써 수평판(1)을 측판(2)에 조립시키면 된다.
한편, 종래에 공장에서 인서트 피스(10)를 도 1에 도시한 수평판(1) 등의 임의의 고정부재에 체결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나사(3)부가 있는특정한 공구(4)를 전동드릴(5)에 물린 다음, 그 공구(4)의 수나사부(4a)를 너트부(22)에 나사체결한 후에 전동드릴(5)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에 인서트 피스(10)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전동드릴(5)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인서트 피스(10)로부터 공구(4)를 분리하게 된다. 그리하여, 인서트피스(10)의 볼트부(11)는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너트부(22)는 고정부재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추후에 가구조립시 너트부(22)에 나사(3)를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서트 피스(10)를 고정부재에 고정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인서트 피스(10)의 너트부(22)에 나사체결되는 공구(4)를 정역회전시켜서 결합,분리시키는 동작을 하여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렌치, -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인서트 피스의 고정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너트부를 개량한 인서트 피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 피스를 이용하여 가구를 조립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인서트 피스를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피스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피스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피스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인서트 피스 21; 볼트부 22; 너트부 23; 6각면
24; 8각면 25; -자형 홈 31; 6각 렌치 32; 8각 복스렌치
33; -자드라이버 40; 전동드릴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일단에는 볼트부(21)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너트부(22)를 형성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볼트부(21)를 임의의 고정부재에 고정시키고 상기 너트부(22)에는 통상의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인서트 피스(20)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22)에 조임결합부를 더 형성하여 렌치나 -자드라이버와 같은 끼움식 공구로써 상기 볼트부(21)를 고정부재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피스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피스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피스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3에 도시한 인서트 피스(20)는, 종래와 같이 볼트부(21)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너트부(22)의 내측에는 암나사산과 함께 조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시한 조임결합부는 너트부(22)의 암나사산과 연이어 너트부(22)의 내면에 형성한 6각면(23)이 이에 해당하며, 6각렌치(32)를 사용하여 인서트 피스(20)의 고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조임결합부를 3각, 5각 등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각형 렌치를 사용하여 인서트 피스(20)의 고정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예시한 바와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6각렌치(32) 및 통상의 전동드릴(40)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고정작업을 할 수 있는 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6각렌치(32)를 전동드릴(40)에 물려 고정시킨 상태에서 6각렌치(32)의 선단을 조임결합부에 끼운 후 전동드릴(4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정부재(수평판;1)에 인서트 피스(20)의 볼트부(21)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전동드릴(40)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6각렌치(32)가 너트부(22)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제2실시예>
도 4에 도시한 인서트 피스(20)는, 종래와 같이 볼트부(21)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너트부(22)의 내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너트부(22)의 외면에 조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시한 조임결합부는 너트부(22)의 외면에 형성된 8각면(24)이 이에 해당하며, 8각복스렌치(32)를 사용하여 인서트 피스(20)의 고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조임결합부를 4각, 6각 등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각형 복스렌치를 사용하여 인서트 피스(20)의 고정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예시한 바와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8각복스렌치(32) 및 통상의 전동드릴(40)을 이용하여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고정작업을 할 수 있는 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8각복스렌치(32)를 전동드릴(40)에 물려 고정시킨 상태에서 8각복스렌치(32)의 선단을 조임결합부에 끼운 후 전동드릴(4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정부재에 인서트 피스(20)의 볼트부(21)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전동드릴(40)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8각복스렌치(32)가 너트부(22)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제3실시예>
도 5에 도시한 인서트 피스(20)는, 종래와 같이 볼트부(21)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너트부(22)의 내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너트부(22)의 후단에 조임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시한 조임결합부는 너트부(22)의 후단에 형성된 -자형 홈(25)이 이에 해당하며, -자 드라이버(33)를 사용하여 인서트 피스(20)의 고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조임결합부를 +자형으로 형성하여도 -자 드라이버(33)를 사용하여 인서트 피스(20)의 고정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예시한 바와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자 드라이버(33) 및 통상의 전동드릴(40)을 이용하여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고정작업을 할 수 있는 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자 드라이버(33)를 전동드릴(40)에 물려 고정시킨 상태에서 -자 드라이버(33)의 선단을 조임결합부에 끼운 후 전동드릴(40)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정부재에 인서트 피스(20)의 볼트부(21)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전동드릴(40)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자 드라이버(33)가 너트부(22)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한편, 본 고안은 통상의 렌치, -자 드라이버(33)와 같은 끼움식 공구를 사용하여 인서트 피스(20)의 고정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예시한 바와같이 전동드릴(40)과 같은 자동 체결공구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인서트 피스(20)의 너트부(22)에 렌치, -자 드라이버(33)와 같은 끼움식 공구를 신속하게 결합,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인서트 피스(20)의 고정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일단에는 볼트부(21)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너트부(22)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부(21)를 임의의 고정부재에 고정시키고 상기 너트부(22)에는 통상의 나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인서트 피스(20)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22)에 조임결합부를 더 형성하여 상기 볼트부(21)를 고정부재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하는 인서트 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결합부는 상기 너트부의 내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결합부는 상기 너트부의 외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결합부는 상기 너트부의 후단에 -자형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피스.
KR2020010002326U 2001-02-01 2001-02-01 인서트 피스 KR200236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326U KR200236519Y1 (ko) 2001-02-01 2001-02-01 인서트 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326U KR200236519Y1 (ko) 2001-02-01 2001-02-01 인서트 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519Y1 true KR200236519Y1 (ko) 2001-09-25

Family

ID=7309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326U KR200236519Y1 (ko) 2001-02-01 2001-02-01 인서트 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5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2145A (en) Cross coupling for bars
US6478518B1 (en) Barrel nut
CA2602659C (en) Anchor assembly with toggle for hollow walls
US7082664B2 (en) Method for mounting an anchor
KR200236519Y1 (ko) 인서트 피스
WO2005021981A3 (en) Simplified installation captive panel fastener
JP6923984B1 (ja)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の取付け治具及び取付け方法
JPH0960629A (ja) ねじ止め機構
CN217123016U (zh) 能安装至电动工具的输出组件上的套筒
KR200271410Y1 (ko) 볼트
KR200308005Y1 (ko) 콘크리트용 앵커볼트
KR200335772Y1 (ko) 조립식앵글용 볼트와 너트
JP2000192556A (ja) 木材等の接合固定具
KR20160093941A (ko) 앵커볼트 시공용 공구
CN112236566B (zh) 接合件、接合构造以及接合方法
KR20010059806A (ko) 체결볼트
KR20170052321A (ko) 볼트를 이용한 조립구조
KR100422126B1 (ko) 렌치
KR200398021Y1 (ko) 가구용 금속 부재의 직결볼트 구조
KR20070104790A (ko) 조립식 구조물
JP6116196B2 (ja) 挿入定着部材の取付け用治具
KR200341413Y1 (ko) 구조물용 커넥터
KR200163890Y1 (ko)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
KR200233626Y1 (ko) 가구패널 결합구
KR19990031197A (ko)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