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081Y1 - 유체배출관 - Google Patents

유체배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081Y1
KR200236081Y1 KR2019950048982U KR19950048982U KR200236081Y1 KR 200236081 Y1 KR200236081 Y1 KR 200236081Y1 KR 2019950048982 U KR2019950048982 U KR 2019950048982U KR 19950048982 U KR19950048982 U KR 19950048982U KR 200236081 Y1 KR200236081 Y1 KR 200236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fluid
fluid discharge
extension memb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8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599U (ko
Inventor
한성석
강복선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50048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081Y1/ko
Publication of KR970043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5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081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 수용부(21), 상기 유체 수용부(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배출관 부재(22), 상기 배출관 부재(22)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절단한 형상을 지니며 상기 배출관 부재(2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 부재(23), 상기 연장 부재(23)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28) 및, 상기 연장 부재(23)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 수단(24,25)을 구비하며, 상기 연장 부재(23)를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유채 배출관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 배출관은 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들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출관의 형태 및 유체 배출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유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체 배출관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배출관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 배출관의 전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유체 배출관의 완성 상태에서 도시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케이스 12 : 배출 파이프
13 : 만곡 파이프 21 : 케이스
22 : 배출관 부재 23 : 연장부
24 : 체결홈 25 : 체결 고리
26 : 배출구 단면 27 : 연장부 단면
본 고안은 유체 배출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유체 배출관에 관한것이다.
유체 배출관은 가정 및 산업용 기기에서 유체를 이용하는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폭넓게 사용된다. 예를들면, 자동차의 공기 조화 시스템의 에어 콘디셔너에 구비된 증발기는 외부 케이스에 감싸여져 있는데,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는 유체 배출관이 설치되어야 한다. 증발기의 표면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의 내부 유로를 따라서 흐르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열의 수수가 발생한다. 이때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기의 표면에 응결되면 증발기를 감싸는 케이스의 내측에 물로서 고이게 된다. 유체 배출관은 증발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증발기 표면에서 발생하는 물을 차량의 외부로 배출한다.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배출관의 일 실시예를 단면으로서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케이스(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유체 배출 파이프(12)에 만곡부를 지닌 별도의 파이프(13)를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만곡 파이프(13)의 일 단부는 그 내측 직경이 유체 배출 파이프(12)의 외측 직경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위와 같은 형태의 유체 배출관은 통상적으로 가공 및 조립에 있어 몇가지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우선 제작에 있어 케이스(11)와 만곡 파이프(13)는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이는 케이스(11)와 만곡 파이프(13)이 형상이 단일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별도로 제작된 각각의 부분은 이후에 다시 조립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제작 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별도의 부품을 제작하는데 따른 곤란성과 이를 다시 조립하는 작업에 따른 복잡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더군다나 만곡 파이프(13)를 조립할때 작업자의 실수로 유체 배출구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조립된다면 유체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한 유체 배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금형으로도 제작이 가능한 일체형 유체 배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출관의 형태 및 유체 배출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유체 배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 수용부, 상기 유체 수용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배출관 부재, 상기 배출관 부재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절단한 형상을 지니며 상기 배출관 부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장 부재, 상기 연장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연장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장 부재를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유체 배출관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장 부재를 굴곡시킬때 상기 연장 부재의 단면은 상기 배출관 부재의 단면에 접촉하며, 상기 절개부는 확장되어 유체 배출구를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유체 배출관의 개략적인 전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스(21)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배출관 부재(22)가 일체로 형성되며, 배출관 부재(22)의 단면(26)에는 원통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연장부(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부(23)의 일측에는 절개부(28)가 형성된다. 절개부(28)는 연장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되며, 유체 배출관의 완성시에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출구를 형성한다. 연장부(23)의 원주 방향 단부에는 체결 수단이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 수단은 체결용 고리(25) 및 홈(24)으로서 형성된다.
체결 고리(25)의 단부는 체결 홈(24)에 삽입된 이후에 체결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별도 실시예에서는 다른 체결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체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유체 배출관은 케이스(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의 금형으로도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는 형상이다. 유체 배출관은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재료인 플라스틱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다음에 유체 배출관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서 A-A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따라서 연장부(23)의 일부가 다른 부분과 접촉하여 원통형 형상을 형성하도록 굴곡시킨다. 이때 연장부(23)의 단면(27)은 배출구(26)의 단면(26)에 접촉하며, 각각의 체결 고리(25)는 체결 홈(24)에 대응된다. 연장부(23)가 굴곡되면 연장부의 원주면상에 형성된 절개부(28)는 그 면적이 넓어지면서 유체 배출구를 형성한다.
제3도는 제2도의 연장부(23)를 굴곡시켜 완성된 유체 배출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의 연장부(23)는 제3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상부로 굴곡시킨 부분이 도면 번호 23' 로 표시된 부분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개부(28)는 연장부(23)의 일부를 굴곡시킨 후에 확장됨으로써 제3도에 도면 번호 28'로 표시된 유체 배출구를 형성한다. 체결 고리(25) 및 체결 홈(24)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제3도에 도시된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 배출관은 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등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출관의 형태 및 유체 배출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유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유체 수용부(21), 상기 유체 수용부(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배출관 부재(22), 상기 배출관 부재(2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부재(23), 상기 연장 부재(23)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28) 및, 상기 연장 부재(23)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 수단(24, 25)을 구비하며, 상기 연장 부재(23)를 굴곡시켜 상기 연장 부재(23)의 단면(27)은 상기 배출관 부재(22)의 단면(26)에 접촉하며, 상기 절개부(28)는 상기 연장 부재(23)의 굴곡으로 인해 유체 배출구(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배출관.
KR2019950048982U 1995-12-27 1995-12-27 유체배출관 KR200236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982U KR200236081Y1 (ko) 1995-12-27 1995-12-27 유체배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982U KR200236081Y1 (ko) 1995-12-27 1995-12-27 유체배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99U KR970043599U (ko) 1997-07-31
KR200236081Y1 true KR200236081Y1 (ko) 2001-11-22

Family

ID=6087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8982U KR200236081Y1 (ko) 1995-12-27 1995-12-27 유체배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0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99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658B1 (ko) 보조 냉난방 계통의 배관 조립체
BRPI0901351B1 (pt) Método para conectar um membro de mangueira flexível a um soquete
EP0937935B1 (en) Tubular coupling
US200700175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ing hose
EP1433990A1 (en) Flexible hose
US4889168A (en) Tubing angle bend assembly clip
KR20150088329A (ko) 파이프형 공동-형성 본체를 위한 흡음기
US7429065B2 (en) Hose and tube assembly
US5957415A (en) Device for fixing at least one fluid pipe to a support
KR960011375A (ko) 팽창밸브 부착부재
JP7471489B2 (ja) 逆止弁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4915135A (en) Flow restricting hose assembly
EP1692426B1 (en) Quick connect tube coupling
US6598905B2 (en) Hose coupling
WO2020194646A1 (ja) 逆止弁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逆止弁の製造方法
CN112166271A (zh) 尤其用于制冷或加热回路的止回阀
KR200236081Y1 (ko) 유체배출관
US4966741A (en) Method of making shape retention hose construction
JP2004278556A (ja) 二重管
JPS616494A (ja) 脈動吸収ホ−ス
US5722146A (en) Method of assembling a suction accumulator in a receiver for a heat exchanger
US5996637A (en) Protective device for flexible hoses
JP4270860B2 (ja) フレキシブルホース、およびフレキシブルホースの製造方法
EP0638156B1 (en) Anticollapse means for flexible hose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20020135180A1 (en) Connector and pipe connect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