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718Y1 -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 Google Patents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718Y1
KR200235718Y1 KR2020010008791U KR20010008791U KR200235718Y1 KR 200235718 Y1 KR200235718 Y1 KR 200235718Y1 KR 2020010008791 U KR2020010008791 U KR 2020010008791U KR 20010008791 U KR20010008791 U KR 20010008791U KR 200235718 Y1 KR200235718 Y1 KR 200235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late
foam
extrusion
poly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태
Original Assignee
진표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표화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표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8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71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예비발포립(EPS : Expandable Poly Stylene)을 성형틀에서 발포성형시켜 재단 형성한 발포단열판재(일명 비드공법 스티로폼판재)의 상, 하면에 폴리스티렌(PS : Poly Stylene)을 시트형태로 발포 압출형성한 폴리스티렌 발포압출시트를 합지시키는 발포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압출시트의 압출과정에 있어 발포단열판재를 공급하여 상기 발포단열판재의 상, 하면에 동시에 발포압출시트를 합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공정의 연속화와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Laminater for foaming extruded sheet of foamed insulation board}
본 고안은 예비발포립(EPS : Expandable Poly Stylene)을 성형틀에서 발포성형시켜 재단 형성한 발포단열판재(일명 비드공법 스티로폼판재)의 상, 하면에 폴리스티렌(PS : Poly Stylene)을 시트형태로 발포 압출형성한 폴리스티렌 발포압출시트를 합지시키는 발포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압출시트의 압출과정에 있어 발포단열판재를 공급하여 상기 발포단열판재의 상, 하면에 동시에 발포압출시트를 합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공정의 연속화와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에 주로 사용되는 발포단열판재는 중량이 가벼워서 값싸게 생산되며 콘크리트에 비하여 단열능력이 매우 우수하여 건축물 시공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1 차 발포된 예비발포립(EPS : Expandable PolyStylene)을 일정한 형태의 성형틀에 넣고 고온의 스팀에 의하여 증숙 발포성형한 후 성형된 제품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제조하는 비드공법에 의하여 생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예비발포립을 일정한 형태의 틀에서 증숙 발포성형한 후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는 비드공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단열판재는 절단부위의 발포립이 독립적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한 피막이 절단한 상태로서 결합력이 미약하고,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가 용이하여 단열성능이 저하되고 발포립과 발포립의 결합력이 약해지게 되어 쉽게 파손되는 한편, 비드공법에 의하여 육면체로 성형틀에서 생산되므로 발포단열판재의 길이가 한정되고 절단부 표면이 너무 연질이어서, 그 자체를 제품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부적합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일회용 용기 제품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스티렌 발포압출시트(이하 '발포압출시트' 라함)는 폴리스티렌수지(Poly Stylene)를 시트형태로 발포압출형성한 것으로, 입자와 입자의 결합이 아닌 폴리스티렌에 다수의 미세한 공기층(Cell)을 형성한 것으로서, 강도가 우수하고 표면이 균일하며 내수성이 좋아 상술한 바와 같이 일회용 용기 제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발포압출시트는 생산 기술상 그 두께가 한정되어 일정한 두께 이상의 발포압출시트는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단열판재공급수단과 시트가열수단, 시트합지수단, 필름합지수단, 냉각수단 및 절단수단으로 구성된 발포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를 개발하여 상, 하면에 경질의 발포압출시트를 합지한 발포단열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포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는상기 발포단열판재의 상, 하면에 합지하기 위한 발포압출시트를 매번 교체하여야 하고, 시트 교체 시작과 끝부분에서 많은 불량품이 발생하며, 시트 롤의 중량이 무겁고 그 교체 사이클이 짧아 연속생산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출시트의 가열에 많은 열을 가하여야 하는 등의 에너지 손실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속해서 압출되어 나오는 폴리스티렌 발포압출시트의 사이로 EPS 발포단열판재를 공급하여서, 상기 발포단열판재의 상, 하측면에 표면 결합강도가 높고 매끈한 폴리스티렌 발포압출시트 합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장치의 주요 구성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주요구성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판재공급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판재공급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공급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압출수단 11 : 압출기
20 : 폴리스티렌도포수단 21 : 폴리스티렌도포구 22 : 도포로울러
30 : 전개가이드수단 31 : 가이드로울러
40 : 판재공급수단 41 : 흡착액츄에이터
42 : 핑거액츄에이터 42a: 걸림판 43 : 적치대
50 : 판재이송수단 51 : 컨베어벨트 52 : 가이드부
53 : 판재공급로울러 54 : 배출로울러
60 : 시트가열수단 61 : 가열로울러
70 : 시트합지수단 71 : 가열수단 72 : 시트합지로울러
80 : 보호재합지수단 81 : 보호재공급로울러 82 : 접착제도포구
83 : 보호재합지로울러
90 : 냉각수단 91 : 냉각로울러
101 : 압출시트 102 : 발포단열판재 103 : 보호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폴리스티렌 발포압출시트의 압출과 연속하여 발포단열판재를 공급하여 표면강도가 높고 매끄러운 단열판재를 연속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압출기(11)에 의하여 폴리스티렌을 포대상으로 압출한 후 양측을 절개하여 연속되는 두 개의 폴리스티렌 발포압출시트(101)를 압출하는 시트압출수단(10)과, 상기 시트압출수단(10)에서 압출되는 발포압출시트(101) 사이로 발포단열판재(102)의 공급을 위한 판재공급공간(1)이 형성되게 두 시트를 상, 하로 전개 가이드하는 가이드로울러(31)로 이루어진 전개가이드수단(30)과, 상기 전개가이드수단(30)에 의하여 형성된 판재공급공간(1)으로 적치대(43)에 적층된 발포단열판재(102)를 공급하는 판재공급수단(40)과, 상기 판재공급수단(40)에 의하여 공급된 발포단열판재(102)를 이송하는 판재이송수단(50)과, 상기 전개가이드수단(30)에 의하여 전개되어 공급되는 발포압출시트(101)를 가열로울러(61)에 의하여 예열하는 시트가열수단(60)과, 상기 시트가열수단(60)에 의하여 예열되어 공급되는 발포압출시트(101)와 판재이송수단(50)에 의하여 공급되는 발포단열판재(102)가 융착 합지되게 상기 발포압출시트(101)의 내면과 발포단열판재(102)의 상, 하면을 가열수단(71)에 의하여 가열한 후 시트합지로울러(72)로 가압 합지하는 시트합지수단(70)과, 상기 시트합지수단(70)에 의하여 발포압출시트(101)가 합지되어 이송되는 단열판재를 냉각로울러(91)에 의하는 냉각하는 냉각수단(90)과, 상기 냉각수단(90)에 의하여 냉각된 단열판재를 통상의 커터에 의하여 일정 길이 절단하는 절단수단 및, 상기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판재공급수단(40)의 일 실시예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공급공간(1)으로 출몰되며 단부에 적치된 발포단열판재(102)를 흡착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흡착액츄에이터(41)로 구성하여 실시하거나, 다른 실시예로는 판재공급공간(1)으로 출몰되며 단부에 적치된 발포단열판재(102)를 걸어 이송시키는 핑거를 구비한 핑거액츄에이터(42)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핑커는 도 5 와 같이 일측으로 절첩되게 구성하여 실시하거나 도 6 과 같이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승강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판재공급수단(40)을 핑거액츄에이터(42)로 구성시 이송된 발포단열판재(102)가컨베어벨트(51)에 안착되게 상기 컨베어벨트(51) 상의 일측에 이송된 발포단열판재(102)를 지지하는 걸림판(42a)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재이송수단(50)은 전개가이드수단(30)에 의하여 형성된 판재공급공간(1)에 구비되어 판재공급수단(40)에 의하여 공급된 발포단열판재(102)를 이송시키는 컨베어벨트(51)와, 상기 컨베어벨트(51)의 전단에서 이송되는 발포단열판재(102)를 직선유도할 수 있게 양측에서 가이드하는 'ㄷ'형 또는 'ㄴ' 형 등과 같은 가이드부(52)와, 상기 가이드부(52)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송되는 발포단열판재(102)와 미끄럼접촉되며 장치의 평균 이송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발포단열판재(102)를 이송시키는 판재공급로울러(53)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트가열수단(60)에 있어서 발포압출시트(101)를 파형으로 감아 이송하여 상, 하면을 고루게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로울러(61)를 이단 이상으로 구비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트합지수단(70)에 있어서 가열수단(71)은 석영히터 또는 히터선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서, 합지되는 발포압출시트(101)의 표면강도가 향상되게 시트압출수단(10)과 전개가이드수단(30)의 사이에 압출시트(101)의 외면에 고강도폴리스티렌(HIPS)액을 도포하여 고강도폴리스티렌층이 형성되게 폴리스티렌을 도포하는 폴리스티렌도포구(21)와 상기 폴리스티렌도포구(21)에 의하여 도포된 폴리스티렌을 코팅시키는 도포로울러(22)로 이루어진 폴리스티렌도포수단(2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발포압출시트(101)가 합지된 단열판재의 외면에 필름,종이, 직포 등과 같은 보호재(103)의 합지를 위한 보호재합지수단(8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보호재합지수단(80)은 단열판재의 상, 하면에서 보호재(103)를 공급하는 보호재공급로울러(81)와, 상기 보호재공급로울러(81)에서 공급되는 보호재(103)의 내면에 단열판재와의 합지를 위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구(82)와, 상기 접착제도포구(82)에 의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보호재를 단열판재에 합지하는 보호재합지로울러(83)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접착제도포구(82)에 의한 접착제의 도포부 원활한 접착을 위하여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송풍기와 같은 건조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압출수단(10)과, 전개가이드수단(30), 판재공급수단(40), 판재이송수단(50), 시트가열수단(60), 시트합지수단(70), 냉각수단(90), 절단수단 및 통상의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시트압출수단(10)의 압출기(11)에서 압출된 포대상의 발포압출시트(101)는 양측이 절개되어 두 장의 시트상으로 압출되고, 상기 시트압출수단(10)에서 압출된 두 장의 발포압출시트(101)는 발포단열판재(102)의 공급을 위한 판재공급공간(1)이 형성되게 전개가이드수단(30)의 가이드로울러(31)에 의하여 상, 하로 전개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적치대(43)에 적치된 발포단열판재(102)는 판재공급수단(40)의 흡착액츄에이터(41) 또는 핑거액츄에이터(42)에 의하여 판재공급공간(1)에 구비된 판재이송수단(50)의 컨베어벨트(51)로 공급되고, 상기 판재공급수단(40)에 의하여 공급된 발포단열판재(102)는 판재이송수단(50)인 컨베어벨트(51)에 의하여 직진성을 유도하는 전방의 가이드부(52)로 이송되고 상기 가이드부(52)로 이송된 발포단열판재(102)는 장치의 평균 이송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회동되는 판재공급로울러(53)에 의하여 급속 이송되어 선 공급된 발포단열판재(102)와의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지 않게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전개가이드수단(30)에 의하여 판재공급공간(1)이 형성되게 전개 이송된 발포압출시트(101)는 시트가열수단(60)의 가열로울러(61)에 파형으로 감겨 이송되며 상, 하면이 고루게 예열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시트가열수단(60)에 의하여 가열되어 공급된 발포압출시트(101)와 판재이송수단(50)에 의하여 공급된 발포단열판재(102)는 시트합지수단(70)의 가열수단(71)인 석영히터 또는 히터선에 의하여 그 접합면이 융착되게 가열된 후 시트합지로울러(72)에 의하여 가압 합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합지수단(70)에 의하여 발포압출시트(101)가 합지되어 이송된 단열판재는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단(90)의 냉각로울러(91)로에 냉각되며, 배출로울러(54)에 의하여 강제 배출되고, 통상의 커터로 이루어진 절단수단에 의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시트압출수단(10)과 전개가이드수단(30) 사이에 압출된 발포압출시트(101)의 외면에 고강도폴리스틸렌의 도포를 위한 폴리스티렌도포수단(20)을 구비한 경우에는 시트압출수단(10)에서 압출되어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발포압출시트(101)의 외측면에 폴리스티렌도포수단(20)의 폴리스티렌도포구(21)에 의하여 도포된 폴리스티렌을 도포로울러(22)에 의하여 코팅하므로서 압출된 발포압출시트(101)의 외면에 강도가 향상되게 되며, 시트합지수단(70)과 냉각수단(90)의 사이에 보호재합지수단(80)을 구비한 경우에는 상기 보호재합지수단(80)의 보호재공급로울러(81)에서 권해되는 필름, 직포, 종이 등과 같은 보호재(103)의 접합면에 접착제도포구(82)에 의하여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상과 같이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송되는 보호재(103)는 보호재합지로울러(83)에 의하여 가압 합지되어 단열판재의 외면에 필름 또는 직포, 종이 등과 같은 보호재층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건조수단을 구비하여 접착제도포구(82)에 의하여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므로서 보호재의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발포압출시트를 압출함에 있어서 상기 발포압출된 발포압출시트를 상하로 전개하여 판재공급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판재공급공간을 통하여 발포단열판재를 공급 이송시켜 발포압출시트가 합지된 단열판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발포압출시트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발포압출시트의 공급을 위하여 장치를 정지시키지 않아도 되고, 시트교체로 인한 불량 손실을 방지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무거운 시트로울러의 교체작업등과 같은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되므로 유지관리 인원을 최소한으로 장치를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포압출된 발포압출시트의 외면 고강도폴리스티렌을 도포하여 주므로서 생산되는 단열판재의 표면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7)

  1. 압출기(11)에 의하여 폴리스티렌을 포대상으로 압출한 후 양측을 절개하여 연속되는 두 개의 폴리스티렌 발포압출시트(101)를 압출하는 시트압출수단(10)과;
    상기 시트압출수단(10)에서 압출되는 발포압출시트(101) 사이로 발포단열판재(102)의 공급을 위한 판재공급공간(1)이 형성되게 두 시트를 상, 하로 전개 가이드하는 가이드로울러(31)로 이루어진 전개가이드수단(30)과;
    상기 전개가이드수단(30)에 의하여 형성된 판재공급공간(1)으로 적치대(43)에 적층된 발포단열판재(102)를 공급하는 판재공급수단(40)과;
    상기 판재공급수단(40)에 의하여 공급된 발포단열판재(102)를 이송하는 판재이송수단(50)과;
    상기 전개가이드수단(30)에 의하여 전개되어 공급되는 발포압출시트(101)를 가열로울러(61)에 의하여 예열하는 시트가열수단(60)과;
    상기 시트가열수단(60)에 의하여 예열되어 공급되는 발포압출시트(101)와 판재이송수단(50)에 의하여 공급되는 발포단열판재(102)가 융착 합지되게 상기 발포압출시트(101)의 내면과 발포단열판재(102)의 상, 하면을 가열수단(71)에 의하여 가열한 후 시트합지로울러(72)로 가압 합지하는 시트합지수단(70)과;
    상기 시트합지수단(70)에 의하여 발포압출시트(101)가 합지되어 이송되는 단열판재를 냉각로울러(91)에 의하는 냉각하는 냉각수단(90)과;
    상기 냉각수단(90)에 의하여 냉각된 단열판재를 통상의 커터에 의하여 일정길이 절단하는 절단수단 및;
    상기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공급수단(40)은 판재공급공간(1)으로 출몰되며 단부에 적치된 발포단열판재(102)를 흡착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흡착액츄에이터(4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공급수단(40)은 판재공급공간(1)으로 출몰되며 단부에 적치된 발포단열판재(102)를 걸어 이송시키는 핑거를 구비한 핑거액츄에이터(42)로 구성하고, 이송된 발포단열판재(102)가 컨베어벨트(51)에 안착되게 상기 컨베어벨트(51) 상의 일측에 이송된 발포단열판재(102)를 지지하는 걸림판(42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이송수단(50)은 전개가이드수단(30)에 의하여 형성된 판재공급공간(1)에 구비되어 판재공급수단(40)에 의하여 공급된 발포단열판재(102)를 이송시키는 컨베어벨트(51)와, 상기 컨베어벨트(51)의 전단에서 이송되는 발포단열판재(102)를 직선유도할 수 있게 양측에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2)와, 상기 가이드부(52)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송되는 발포단열판재(102)와 미끄럼접촉되며 장치의 평균 이송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발포단열판재(102)를 이송시키는 판재공급로울러(5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합지되는 발포압출시트(101)의 표면강도가 향상되게 시트압출수단(10)과 전개가이드수단(30)의 사이에 압출시트(101)의 외면에 고강도폴리스티렌(HIPS)액을 도포하여 고강도폴리스티렌층이 형성되게 폴리스티렌을 도포하는 폴리스티렌도포구(21)와 상기 폴리스티렌도포구에 의하여 도포된 폴리스티렌을 코팅시키는 도포로울러(22)로 이루어진 폴리스티렌도포수단(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압출시트(101)가 합지된 단열판재의 외면에 필름, 종이, 직포 등과 같은 보호재(103)의 합지를 위한 보호재합지수단(80)을 구비하되,
    상기 보호재합지수단(80)은 단열판재의 상, 하면에서 보호재(103)를 공급하는 보호재공급로울러(81)와, 상기 보호재공급로울러(81)에서 공급되는 보호재(103)의 내면에 단열판재와의 합지를 위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구(82)와, 상기 접착제도포구(82)에 의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보호재를 단열판재에 합지하는 보호재합지로울러(8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접착제도포구(82)에 의하여 보호재(103)에 도포된 접착제의 건조를 위한 송풍기와 같은 건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KR2020010008791U 2001-03-29 2001-03-29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KR200235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791U KR200235718Y1 (ko) 2001-03-29 2001-03-29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791U KR200235718Y1 (ko) 2001-03-29 2001-03-29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277A Division KR100430998B1 (ko) 2001-04-02 2001-04-02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718Y1 true KR200235718Y1 (ko) 2001-10-26

Family

ID=7309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791U KR200235718Y1 (ko) 2001-03-29 2001-03-29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7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38A (ko) * 2002-02-21 2003-08-27 주식회사 오광 발포압출 합지판재의 연속 압출 합지장치
KR101948928B1 (ko) * 2017-05-12 2019-02-15 (주)대현포장 폴리에틸렌폼 패널 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538A (ko) * 2002-02-21 2003-08-27 주식회사 오광 발포압출 합지판재의 연속 압출 합지장치
KR101948928B1 (ko) * 2017-05-12 2019-02-15 (주)대현포장 폴리에틸렌폼 패널 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5457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honeycomb composite material
US2962407A (en) Method for preparing laminated foam structures
KR100430998B1 (ko)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KR200235718Y1 (ko) 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DK150978B (da) Fremgangsmaade til kontinuerlig fremstilling af en plade af mindst to lag af termoplastisk ekspanderet formstof
JP5684582B2 (ja) 樹脂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樹脂発泡成形品の製造設備
EP18883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 pressure lamination
KR100682405B1 (ko) 폴리에틸렌 발포원단에 액상수지 코팅과 코팅층에 엠보싱되는 엠보싱 폴리에틸렌 발포원단의 제조장치
KR19980024860U (ko) 발포단열판재의 발포압출시트 합지장치
US3510380A (en) Laminated foam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60009063A1 (en) Foam and plastic bonding process for protective insulation system
KR20030069538A (ko) 발포압출 합지판재의 연속 압출 합지장치
EP1790451B1 (en) Manufacturing a rigid polymeric insulating foam board
CA2472684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honeycomb composite material
EP1591228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9269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열반사 단열재 제조방법
JP3295006B2 (ja) 発泡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シート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EP1754585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ndwich panels
JP3408210B2 (ja) 建築板の製造装置
GB2432555A (en) Manufacturing rigid polymeric foam boards
KR19980065058A (ko) 발포합성수지판재의 연속성형방법 및 장치
JP2003053760A (ja) 板状発泡材の連続製造装置
EP1790452A2 (en) Manufacture of insulating board
BE1030234A1 (nl) Werkwijze voor het vormen van een meerlaags pvc plaatmateriaal met een opgeschuimde drager
JP2023032070A (ja) 連続式ポストフォーム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