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662Y1 -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662Y1
KR200235662Y1 KR2020010005817U KR20010005817U KR200235662Y1 KR 200235662 Y1 KR200235662 Y1 KR 200235662Y1 KR 2020010005817 U KR2020010005817 U KR 2020010005817U KR 20010005817 U KR20010005817 U KR 20010005817U KR 200235662 Y1 KR200235662 Y1 KR 200235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ludge
drum
hous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진
Original Assignee
(주)이아이글로벌
조송준
조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아이글로벌, 조송준, 조은진 filed Critical (주)이아이글로벌
Priority to KR2020010005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6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662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통형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부 덮개부(3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드럼과(30)과 상기 덮개부(32) 저부에 고정되어 하우징(10)의 상반부가 수용 설치되는 슬러지 안내관(20) 및 상단 둘레가 하우징(10)의 상부 선단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되는 회전드럼(4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것에 있어서, 지지드럼(30)은 덮개부(32) 양측에 결합공(32')을 형성하여 이에 내부 통기를 원활히 하기 위한 에어노즐(36)을 결합하고 회전드럼(40)은 그 외주에 배출유도편(46) 및 회전드럼(40)의 상면에 임펠러(44)를 환설하며 회전드럼(40)의 내측 중앙에는 저부 구동모터(M)에 축설되고 외주에 분쇄봉(45')이 결합되며 상단이 투입구(31)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드럼(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분쇄축(45)을 입설하여 주되, 슬러지 안내관(20)의 배출구(23)에는 송풍모터(M1) 및 히터(100)가 설치된 에어공급관(24) 및 상기 배출구(23)와 슬러지 수거함(90) 사이에 사이클론(92)을 설치하는 한편, 송풍모터(M2)를 슬러지 수거함(90)의 가스배출관(91) 및 필터박스(80)의 출구가 각각 파이프로 연결된 이들의 합치부위에 설치하여 슬러지 수거함(90)에 수거된 음식물 찌꺼기의 가스 및 필터박스(80)에서 여과된 음식물 찌꺼기의 악취를 하수관으로 강제방출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된 구조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Apparatus of Separating food dregs for sink}
본 고안은 가정 및 영업소의 싱크대에 간단히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싱크대의 배수구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를 일층 강화된 구동구조로 이를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고 또한 회전드럼의 원심분리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하우징의 일측으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배출된 음식물 찌꺼기를 유기농 비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전처리 과정 그리고 가스배출 및 악취배출 등 일련의 기능이 개량 보완된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서 음식물이 묻은 식기를 세정하는 경우 발생된 오수 대부분은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직접 배수되는데 이와같이 여과되지 않은 오수의 배출은 소량의 음식물 찌꺼기를 동반하기 때문에 하수구로 곧바로 배출되는 경우 배관이 쉽게 막히게 되어 오수의 원활한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 찌꺼기가 오수와 함께 하수구로 곧바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편으로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걸름망체를 설치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상기 걸름망체에 걸러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음식물 찌꺼기가 걸름망체에 완벽히 걸러지지 않을 뿐 아니라 걸름망체가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자주 막히게 되며 걸름망체에 걸러진 음식물 찌꺼기를 수거하는 데에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에서 지적되는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가정 및 영업소의 싱크대 배수구에 간단히 설치하여 식기 세정후 발생되는 각종 음식물찌꺼기의 슬러지는 분쇄 후 슬러지 안내관의 일측으로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은 하우징 일측을 통해 자연스럽게 낙수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01-2110호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된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의 청구범위 내용을 살펴보면,
외주 일측 중앙에 수분배출을 위한 배출관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고 덮개부의 상면 중앙에 투입구 및 상기 덮개부의 저면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주연 양측에 내향돌출편 및 외주 둘레에 이송스크류 그리고 저부 일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드럼과, 지지드럼의 덮개부 저부에 고정되고 내측에 슬러지 배출공간부가 마련되며 일측 배출구와 연하는 하우징의 상반부가 수용 설치되는 슬러지 안내관과, 상단 둘레가 하우징의 상부 선단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되며 외주 전반에 다수의 배출공 및 내주연 전반에 착설된 압송스크류 그리고 내측 바닥에 분쇄익이 입설된 회전드럼을 저부 플랜지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연결하여 주되, 지지드럼과의 사이에는 슬러지 이송공간부(50)를 그리고 하우징과의 사이에는 집수공간부를 각각 마련하여 된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같이 제공된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가정 및영업소의 싱크대에 간단히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싱크대의 배수구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이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고, 또한 회전드럼의 원심분리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하우징의 일측으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물 찌꺼기로 인해 작게는 하수구 배관의 막힘방지는 물론 크게는 수질오염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고 있으나 일부 미흡한 점이 발견되어 이를 일층 합리적인 구동구조로 개선함과 동시에 음식물 찌꺼기의 배출과 관련된 부분을 보완하여 음식물찌꺼기의 분리를 더욱더 완벽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정 및 영업소의 싱크대에 간단히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싱크대의 배수구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를 일층 강화된 구동구조로 이를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고 또한 회전드럼의 원심분리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하우징의 일측으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배출된 음식물 찌꺼기를 유기농 비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처리 과정 그리고 가스배출 및 악취배출 등 일련의 기능이 개량 보완된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종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의 구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드럼의 덮개부 양측에 결합공을 형성하여 이에 에어노즐을 결합하여 슬러지 배출공간부에 공기를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회전드럼의 외주에배출유도편을 환설하여 회전드럼 구동시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음식물찌꺼기의 수분이 회전드럼의 통공을 통해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일측 배출관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드럼의 상면에 임펠러를 환설하여 회전드럼의 내부 송풍력을 증폭시켜 음식물 찌꺼기의 배출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드럼의 내측 중앙에는 저부 구동모터에 축설되고 상단이 투입구의 내측에 지지되어 회전드럼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분쇄축을 입설하여 상기 분쇄축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횡방향의 분쇄봉을 착설하여 주되, 이를 하방으로 점차 넓게 확대 형성하여 투입된 음식물찌꺼기의 쏠림방지는 물론 음식물찌꺼기의 분쇄를 일층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슬러지 안내관의 출구측에는 가스배출관을 설치하여 송풍모터로 공급되는 공기를 히터로 가열하여 상기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물 찌꺼기의 건조는 물론 이를 적당히 발효시킨 상태로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며 일측 슬러지 수거함과 슬러지 안내과의 배출구 사이에 사이클론을 설치하여 내부 선회기류에 의해 부유하고 있는 고체입자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벽방향으로 이동하고 마지막에는 사이클론벽에 충돌하여 기류에서 분리되어 저부 슬러지 수거함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를 유기농 비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슬러지 수거함에 수거된 음식물 찌꺼기의 가스 및 필터박스에서 여과된 음식물 찌꺼기의 악취제거를 위해 슬러지 수거함의 가스배출관 및 필터박스의 출구를 각각 파이프로 연결하여 이들의 합치부위에 송풍모터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상기 송풍모터에 의해 가스 및 악취를 하수관으로 강제방출시켜 주도록 구성된 개량된 구조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지지드럼의 발췌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회전드럼의 발췌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집수공간부
12 : 연결공 20 : 슬러지 안내관
21 : 슬러지 배출공간부 22 : 경사면
23 : 배출구 24 : 에어공급관
30 : 지지드럼 31 : 투입구
32 : 덮개부 32' : 결합공
33 : 이송스크류 34 : 내향돌출편
35 : 통공 36 : 에어노즐
40 : 회전드럼 41 : 배출공
42 : 압송스크류 43 : 분쇄익
44 : 임펠러 45 : 분쇄축
45' : 분쇄봉 46 : 배출유도편
47 : 분산편 50 : 슬러지 이송공간부
60 : 플랜지 70 : 배출관
80 : 필터박스 90 : 슬러지 수거함
91 : 가스배출관 92 : 사이클론
본 고안은 원통형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부 덮개부(3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드럼과(30)과, 상기 덮개부(32) 저부에 고정되어 하우징(10)의 상반부가 수용 설치되는 슬러지 안내관(20)과, 상단 둘레가 하우징(10)의 상부 선단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되는 회전드럼(4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것에 있어서, 지지드럼(30)은 덮개부(32) 양측에 결합공(32')을 형성하여 이에 내부 통기를 원활히 하기 위한 에어노즐(36)을 결합하고 회전드럼(40)은 그 외주에 배출유도편(46) 및 회전드럼(40)의 상면에 임펠러(44)를 환설하며 회전드럼(40)의 내측 중앙에는 저부 구동모터(M)에 축설되고 외주에 분쇄봉(45')이 결합되며 상단이 투입구(31)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드럼(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분쇄축(45)을 입설하여 주되, 슬러지 안내관(20)의 배출구(23)에는 송풍모터(M1) 및 히터(100)가 설치된 에어공급관(24) 및 상기 배출구(23)와 슬러지 수거함(90) 사이에 사이클론(92)을 설치하는 한편, 송풍모터(M2)를 슬러지 수거함(90)의 가스배출관(24) 및 필터박스(80)의 출구가 각각 파이프로 연결된 이들의 합치부위에 설치하여 슬러지 수거함(90)에 수거된 음식물 찌꺼기의가스 및 필터박스(80)에서 여과된 음식물 찌꺼기의 악취를 하수관으로 강제방출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된 구조이다.
도면부호중 미설명 부호 (100)은 히터, (M)은 구동모터, (M1)(M2)는 송풍모터를 나타낸다.
본 고안 하우징(10)은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서 그 내부가 구동모터(M)의 고정을 위한 플랜지(60)로 상,하 반분된 상태이며 외주 일측 중앙에 음식물 찌거기와 함께 유입된 수분을 모아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연결공(12)이 형성되어 이에 절곡된 배출관(70)이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배출관(70)으로 집수되어 배출되는 수분을 그대로 하수구로 배출할 수도 있으나 통상의 필터가 내장된 필터박스(80)를 경유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오수 정화기능도 동시에 부여하고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직경보다 큰 덮개부(32)의 중앙에 싱크대의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될 수 있는 투입구(31)와 덮개부(32)의 저면에 공급된 음식물 찌꺼기의 일시 저장을 위한 지지드럼(3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지지드럼(30)의 내벽 양즉에 공급된 음식물 찌꺼기의 분산을 위한 내향돌출편(34) 그리고 지지드럼(30)의 외주연에는 이송스크류(33)가 착설되어 음식물 찌꺼기의 상부이송을 원활히 하고 있다.
또한, 지지드럼(30)은 저부 외주 일측에 다수의 통공(35)이 형성되어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된 수분을 슬러지 이송공간부(50)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찌꺼의 압송을 긴밀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부(32)의 저면에 고정된 슬러지 안내관(20)은 하우징(10)의 상부를 밀폐시켜 줌과 동시에 슬러지 이송공간부(50)를 경유하여 상부로 계속적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구(23)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저면에 경사면(22)을 두어 상기 경사면(22)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의 배출안내를 원활히 하고 있다.
한편, 본 고안 회전드럼(40)은 하우징(10) 및 지지드럼(30)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설치되며 저부 구동모터(M)에 의해 그 상단 둘레가 하우징(10)의 상부 선단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되는 바, 회전드럼(40)은 외주 전반에 걸쳐 다수의 배출공(41)이 형성되어 구동간에 공급된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만을 효과적으로 탈수하여 배출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며 내측 바닥면에는 삼방향의 분쇄익(43)이 입설되어 회전중 지지드럼(30)의 내향돌출편(34)과 함께 음식물 슬러지의 분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 회전드럼(40)의 압송스크류(42)를 지지드럼(30)의 이송스크류(33)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속적으로 착설하여 분쇄익(43)을 통해 분쇄된 음식물 슬러지를 상기 압송스크류(42)가 재분쇄하여 이를 슬러지 이송공간부(50) 상부로 긴밀히 압송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완벽한 탈수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 분리장치는 회전식의 간단한 구조로 단일의 투입구(31)로 공급된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여 이를 슬러지와 이에 포함된 수분을 자체적으로 분리하여 각각 별도의 출구로 배출시켜 줄 수 있게 됨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지지드럼(30)의 덮개부(32) 양측에 결합공(32')에 에어노즐(36)이 결합되어 슬러지 배출공간부(21)에 공기가 원활히 공급할 수 있게 되며 회전드럼(40)의 외주에 배출유도편(46)이 환설되어 회전드럼(40) 구동시 배출공(41)으로 배출되는 음식물찌꺼기의 수분을 하우징(10)의 내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일측 배출관(7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회전드럼(40)은 그 상면 둘레에 임펠러(44)가 환설되어 회전드럼(40)의 송풍력을 일층 증폭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회전드럼(40)의 내측 중앙에는 저부 구동모터(M)에 축설되고 상단이 투입구(31)의 내측에 지지되어 회전드럼(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분쇄축(45)이 입설되어 있다.
상기 분쇄축(45)은 그 외주에 횡방향의 분쇄봉(45')이 등간격으로 착설되는 바, 하방으로 점차 넓게 확대 형성되어 투입된 음식물찌꺼기의 쏠림방지는 물론 음식물찌꺼기의 분쇄를 일층 강화시켜 주게 된다.
한편, 슬러지 안내관(20)의 출구측에는 에어공급관(24)이 설치되어 송풍모터(M1)로 공급되는 공기가 히터(100)의 가열에 의해 가열됨으로서 상기 가열된 공기를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에 직접적으로 분사시켜 줌으로서 음식물 찌꺼기의 건조는 물론 이를 적당히 발효시킨 상태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
또한, 일측 슬러지 수거함(90)과 슬러지 안내관(20)의 배출구(23) 사이에는 사이클론(92)이 설치되어 내부 선회기류에 의해 부유하고 있는 고체입자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벽방향으로 이동하고 마지막에는 사이클론(92)벽에 충돌하여 기류에서 분리되어 저부 슬러지 수거함(9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서 이를 수거하여 유기농 비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슬러지 수거함(90)에 수거된 음식물 찌꺼기의 가스 및 필터박스(80)에서 여과된 음식물 찌꺼기의 악취는 슬러지 수거함(90)의 가스배출관(91) 및 필터박스(80)의 출구를 각각 파이프로 연결하여 이들의 합치부위에 상기 가스 및 악취의 강제방출을 위한 송풍모터(M2)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상기 송풍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스 및 악취가 하수구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개량된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드럼(30)의 투입구(31)로 식기세정 후 발생된 음식물 찌꺼기가 공급되어 지지드럼(30)의 내측에 적정량이 쌓이게 되면 본 고안 분리장치를 구동시켜 주게 되는 바, 음식물 찌꺼기는 회전드럼(40)의 바닥 상면에 입설된 분쇄익(43)에 의해 공급된 음식물 슬러지가 잘게 파쇄되게 되며 이때 지지드럼(30)의 내향돌출편(34)도 공급된 음식물 슬러지의 음식물 슬러지를 분산을 도와 음식물 찌꺼기의 분쇄가 양호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회전드럼(40)의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된 수분은 지지드럼(30)의 통공(35)을 통해 어느 정도 슬러지 이송공간부(50)로 유입되게 되며 슬러지 이송공급부로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은 회전드럼(40)의 배출공(41)을 통해 집수공간부(11)로 낙수되어 일측 배출관(70)으로 신속히 배출되게 된다.
한편, 탈수된 음식물 찌꺼기는 회전드럼(40)의 내주연 저부에 착설된 압송스크류(42)에 의해 더욱 잘게 분쇄되어진 상태로 슬러지 이송공간부(50) 상부로 압송 되는데 이는 회전드럼(40)의 압송스크류(42)가 지지드럼(30)의 외주에 착설된 이송스크류(33)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착설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슬러지를 더욱 잘게 분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속적인 접촉구조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미분쇄시켜 이를 슬러지 이송공간부(50)를 통해 슬러지 안내관(20)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슬러지 이송공간부(50)를 따라 상부로 공급된 음식물 슬러지는 슬러지 안내관(20)의 슬러지 배출공간부(21)로 공급되는데 이때 하우징(10)의 둘레로 흘러 넘친 음식물 찌꺼기는 경사지게 구성된 슬러지 안내관(20)의 저면 즉, 경사면(22)을 따라 일측 배출구(23) 쪽으로 음식물 슬러지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흘러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도시되지 않은 슬러지 저장용기에 간단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물 슬러지의 수거도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부 공급식이기는 하나 음식물 찌꺼기의 배출을 분쇄와 동시에 슬러지 이송공간부(50)로 압송하여 흘러 넘친 음식물 찌꺼기를 경사지게 구성된 슬러지 안내관(20)의 배출구(23)로 용이하게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으며 수분분리에 있어서도 회전드럼(40)의 원심력에 의해 이를 집수공간부(11)로 용이하게 탈수 후 이를 일측 배출관(70)으로 자연스럽게 배출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드럼(30)의 덮개부(31)의 양측 결합공(32')에 결합된 에어노즐(36)을 통해 슬러지 배출공간부(21) 내부에 공기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부 통기는 물론 회전드럼(40) 구동시 회전드럼(40)의 상단에 환설된 임펠러(44)의 작동에 의해 내부 음식물 찌꺼기의 원활한 이동이 보장하게 된다.
또한, 투입구(31)를 통해 공급된 음식물 찌꺼기는 최초 상기 회전드럼(40)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분쇄축(45)의 분쇄봉(45')에 접촉하게 되는 바, 하방으로 점차 넓게 확대 형성되어진 분쇄축(45)의 순차적인 타격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 바닥에 모이게 되며 이어서 종래와 같은 압송경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물 찌꺼기의 처리시간 단축은 물론, 일시에 투입된 많은량의 음식물 찌꺼기도 무난히 처리할 수 있는 처리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한편, 슬러지 안내관(20)의 출구측에는 에어공급관(24)이 설치되어 송풍모터(M1)로 공급되는 공기가 히터(100)의 작동에 의해 가열됨으로서 상기 가열된 공기가 배출구(23)쪽으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에 직접 분사되어 접촉됨으로서 음식물 찌꺼기의 건조는 물론 음식물 찌꺼기가 적당히 발효된 상태로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림으로서 유기농 비료로 사용하기 위한 음식물 찌꺼기의 사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일측 슬러지 수거함(90)과 슬러지 안내관(20)의 배출구 사이에는 사이클론(92)이 설치되어 내부 선회기류에 의해 부유하고 있는 고체입자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서 벽방향으로 이동하고 마지막에는 사이클론(92)벽에 충돌하여 기류에서 분리되어 저부 슬러지 수거함(9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음식물 찌꺼기의 입자가 취급이 용이한 상태로 슬러지 수거함(90)에 저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러지 수거함(90)은 그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찌꺼기의 저장시간이 경과될수록 발효된 음식물 찌꺼기의 가스가 발생되는 바, 상기 가스와 필터박스(80)에서 여과된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에 포함된 악취를 슬러지 수거함(90)의 가스배출관(91) 및 필터박스(80)의 출구측 파이프와 연결된 지점에 설치된 송풍모터(M2)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가스 및 악취를 하수관쪽으로 신속히 강제방출시켜 주게 됨으로서 상기 가스 및 악취의 역류가 다시 이동경로를 통해 그 역류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가정 및 영업소의 싱크대에 간단히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싱크대의 배수구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를 일층 강화된 구동구조로 이를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어 음식물 찌꺼기의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드럼의 원심분리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도 용이하게 분리하여 하우징의 일측으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배출된 음식물 찌꺼기를 전처리 과정을 거쳐 유기농 비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도록하는 한편, 가스배출 및 악취 역류방지 기능 등의 배출과 관련된 부분을 보완하여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해지게 된다.

Claims (2)

  1. 원통형의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어 상부 덮개부(3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드럼과(30)과, 상기 덮개부(32) 저부에 고정되어 하우징(10)의 상반부가 수용 설치되는 슬러지 안내관(20) 및 상단 둘레가 하우징(10)의 상부 선단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되는 회전드럼(4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것에 있어서, 지지드럼(30)은 덮개부(32) 양측에 결합공(32')을 형성하여 이에 내부 통기를 원활히 하기 위한 에어노즐(36)을 결합하고 회전드럼(40)은 그 외주에 배출유도편(46) 및 회전드럼(40)의 상면에 임펠러(44)를 환설하며 회전드럼(40)의 내측 중앙에는 저부 구동모터(M)에 축설되고 외주에 분쇄봉(45')이 결합되며 상단이 투입구(31)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드럼(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분쇄축(45)을 입설하여 주되, 슬러지 안내관(20)의 배출구(23)에는 송풍모터(M1) 및 히터(100)가 설치된 에어공급관(24) 및 상기 배출구(23)와 슬러지 수거함(90) 사이에 사이클론(92)을 설치하는 한편, 송풍모터(M2)를 슬러지 수거함(90)의 가스배출관(91) 및 필터박스(80)의 출구가 각각 파이프로 연결된 이들의 합치부위에 설치하여 슬러지 수거함(90)에 수거된 음식물 찌꺼기의 가스 및 필터박스(80)에서 여과된 음식물 찌꺼기의 악취를 하수관으로 강제방출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분쇄축(45)의 분쇄봉(45')은 상기 분쇄축(45)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순차 착설하여 주되, 이를 하방으로 점차 넓게 확대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리장치.
KR2020010005817U 2001-03-05 2001-03-05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200235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817U KR200235662Y1 (ko) 2001-03-05 2001-03-05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817U KR200235662Y1 (ko) 2001-03-05 2001-03-05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001A Division KR20020070737A (ko) 2001-03-03 2001-03-03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662Y1 true KR200235662Y1 (ko) 2001-10-29

Family

ID=7309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817U KR200235662Y1 (ko) 2001-03-05 2001-03-05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6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263A (ko) * 2001-11-14 2001-12-12 이화용 음식물쓰레기 이송 건조시스템
KR100864447B1 (ko) 2007-05-22 2008-10-2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의 탈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263A (ko) * 2001-11-14 2001-12-12 이화용 음식물쓰레기 이송 건조시스템
KR100864447B1 (ko) 2007-05-22 2008-10-2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의 탈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410B1 (ko) 회전 스크류를 구비한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장치
JP2009082896A (ja) 生ごみ処理装置
CN206747238U (zh) 一种固体废弃物回收处理装置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14013839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분쇄장치
KR101276405B1 (ko) 탈수성능이 향상된 진공 드럼 농축기
KR20160077925A (ko)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70737A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200235662Y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10174618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170022341A (ko)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9980064513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0378638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200243674Y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처리장치
KR2007002689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172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29479Y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100607596B1 (ko) 교통수단에 설비 가능한 분뇨처리시스템
KR200245093Y1 (ko) 음식물쓰레기분쇄장치
KR1023359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