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341A -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341A
KR20170022341A KR1020150117172A KR20150117172A KR20170022341A KR 20170022341 A KR20170022341 A KR 20170022341A KR 1020150117172 A KR1020150117172 A KR 1020150117172A KR 20150117172 A KR20150117172 A KR 20150117172A KR 20170022341 A KR20170022341 A KR 20170022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ood waste
discharged
pip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완
Original Assignee
김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완 filed Critical 김재완
Priority to KR102015011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341A/ko
Publication of KR2017002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9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rom arrangements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E04F17/12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가 개시된다.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집합 건축물의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로서, 각 세대의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된 분쇄기; 상기 분쇄기 및 각 세대의 싱크대의 배수구에 분기관으로 연결되어 각 세대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수직배수관; 상기 수직배수관의 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배수, 탈수 및 탈취 과정으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처리부; 및 상기 음식물처리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음식물수거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A FOOD AND DRINK WASTE RE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합 건축물의 각 세대에서 음식물을 원활하게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는 수분을 최소화한 후 음식물수거 전용봉투에 담아 배출하거나 공동으로 비치된 음식물수거통에 모아 배출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은 매우 번거러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싱크대의 일측에 분쇄기(disposer)를 설치하여 싱크대에서 직접 음식물을 분쇄하여 물과 함께 하수구로 배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방법은 하수구로 음식물쓰레기가 직접 배출되므로 환경 오염의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하수구로 직접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함에 따라 발생되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공용 주택의 각 세대의 싱크대의 분쇄기를 설치하고, 분쇄기를 통해 분쇄되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저장소, 예를 들면, 공동 주택의 공용 탱크 또는 음식물 수거통으로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은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공기로 흡입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저장소로 배출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흡입 배출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는 관의 내부에 음식물쓰레기의 일부가 다수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관의 내부에 부착된 음식물쓰레기에 의해 각 세대로 악취가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4662호 : 음식물쓰레기 집하 및 소멸처리 시스템
본 발명은 집합 건축물의 각 세대에서 음식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각 세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에 의한 악취가 각 세대로 역류하지 않도록 한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음식쓰레기의 배출 함량이 최소화되고,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시 음식물쓰레기를 흡입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흡입장치가 생략되어 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집합 건축물의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로서, 각 세대의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된 분쇄기; 상기 분쇄기 및 각 세대의 싱크대의 배수구에 분기관으로 연결되어 각 세대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수직배수관; 상기 수직배수관의 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배수, 탈수 및 탈취 과정으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처리부; 및 상기 음식물처리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음식물수거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음식물처리부는, 내부공간을 갖고, 하단부에 음식물배출구가 형성된 침전조; 상단부는 상기 수직배수관의 말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침전조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투입배관; 상기 침전조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침전조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및 탈수시켜서 배출하는 음식물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토출부는, 상기 침전조의 음식물배출구에 연결되고, 음식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음식물배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음식물수용부; 상기 음식물수용부의 직경이 감소한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음식물 수거통의 위로 위치하는 음식물배출관; 상기 음식물수용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수용부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축하면서 상기 음식물배출관을 향해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수용부는 외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에는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를 배출하는 제1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침전조의 음식물배출구에는 상기 음식물배출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막힘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상기 음식물처리부의 하단부에 연결된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일측 방향을 향해 흡입 및 이송되도록 하는 흡입송풍장치; 상기 흡입관 및 상기 흡입송풍장치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을 통해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원심분리하여 상기 음식물 수거통으로 배출하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에 의하면, 집합 건축물의 각 세대에서 음식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각 세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에 의한 악취가 각 세대로 역류하지 않으며, 음식쓰레기의 배출 함량이 최소화되고, 음식물쓰레기의 배출시 음식물쓰레기를 흡입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흡입장치가 생략되어 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싱크대로부터 음식물처리부까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처리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싱크대로부터 음식물처리부까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처리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분쇄기(100); 수직배수관(200); 음식물처리부(300); 및 음식물수거통(40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기(100)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것으로서, 집합 건축물의 각 세대의 싱크대(10)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싱크대의 두 영역으로 분할된 제1 싱크볼(11) 및 제2 싱크볼(12) 중 제1 싱크볼(11)에 설치될 수 있다.
수직배수관(200)은 집합 건축물의 각 세대의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처리부(300)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수직배수관(200)은 각 세대에 설치된 분쇄기(100) 및 싱크대(10) 일측, 예를 들면, 싱크대의 두 영역으로 분할된 제1 싱크볼(11) 및 제2 싱크볼(12) 중 제2 싱크볼(12)의 배수구에 분기관(13, 1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배수관(200)은 집합 건축물의 최상층으로부터 최하층까지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세대로부터 수직배수관(200)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될 때 음식물쓰레기는 주방도구 및 주방식기의 세척 후의 물과 함께 배출된다.
음식물처리부(300)는 수직배수관(200)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각 세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한다. 음식물처리부(300)는 수직배수관(200)으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배수, 탈수 및 탈취 과정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식물처리부(300)는 침전조(310), 투입배관(320), 케이스(330) 및 음식물토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침전조(31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부공간에 수직배수관(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된다. 일 예로, 침전조(310)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사이클론(cyclon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침전조(310)의 하단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는 음식물배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배출구(311)에는 막힘방지부재(350)가 설치될 수 있다. 막힘방지부재(350)는 음식물배출구(311)의 막힘을 방지한다. 일 예로, 막힘방지부재(350)는 긴 길이의 플레이트 형태의 스크레이퍼(scraper : 352) 및 스크레이퍼(352)를 회전시키는 소형모터(35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352)는 음식물배출구(3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소형모터(351)는 침전조(3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스크레이퍼(352)와 축 연결되고 스크레이퍼(3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막힘방지부재(350)는 소형모터(351)가 구동되어 스크레이퍼(35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음식물배출구(311)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투입배관(320)은 수직배수관(200) 및 침전조(310)에 연결된다. 일 예로, 투입배관(320)의 상단부는 수직배수관(20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투입배관(320)의 하단부는 침전조(3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배관(320)에 의해 수직배수관(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침전조(3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케이스(330)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침전조(310)의 아래에 배치되어 내부공간에 음식물토출부(340)를 수용한다. 이러한 케이스(330)는 음식물토출부(340)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때 배출되는 폐수를 수용하며, 케이스(330)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케이스(330)의 일면, 예를 들면, 케이스(330)의 저면부에 제1 배수관(345)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케이스(330)에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관(346)이 연결될 수 있다.
음식물토출부(340)는 케이스(33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침전조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및 탈수시켜서 배출한다. 음식물토출부(340)는 음식물수용부(341), 음식물배출관(342), 이송스크류(343) 및 구동모터(34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수용부(341)는 침전조(310)의 음식물배출구(311)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음식물수용부(341)는 음식물배출구(31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음식물수용부(341)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일 예로, 음식물수용부(341)는 음식물배출구(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수용부(341)는 외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341a)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멍(341a)은 이송스크류(343)에 의해 음식물수용부(341)의 내부공간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압축될 때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음식물수용부(34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음식물배출관(342)은 음식물수용부(341)의 직경이 감소한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음식물배출관(342)은 음식물수용부(34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배출관(342)의 하단부는 케이스(330)의 외부로 노출되고 음식물 수거통(400)의 위로 위치할 수 있다.
이송스크류(343)는 음식물수용부(34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수용부(341)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축하면서 음식물배출관(342)을 향해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시킨다.
구동모터(344)는 케이스(330)의 외부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343)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음식물처리부(300)는 집합 건축물의 최하층, 예를 들면, 지하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직배수관(200)은 지하주차장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음식물 수거통(400)은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음식물처리부(300)의 아래에 위치하여 음식물처리부(300)를 통해 압축 및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저장된다. 일 예로, 이러한 음식물 수거통(400)은 지하주차장에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음식물 수거통(400)은 음식물 수거통(400)을 수용하는 박스(B) 내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박스(B)의 일측에는 배기관(346)이 연결되어 박스(B)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배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각 세대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기(100)를 통해 분쇄한 후 물, 예를 들면, 주방도구 및 주방식기의 세척 후의 물과 함께 분기관(13, 14)을 통해 배출한다.
각 세대로부터 배출되는 물 및 음식물쓰레기는 수직배수관(200)을 통해 수직배수관(200)의 하단부까지 이동하여 수직배수관(200)의 하단부로 배출되고, 수직배수관(200)의 하단부로 배출된 물 및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처리부(300)로 투입된다.
즉, 수직배수관(200)을 통해 배출된 물 및 음식물쓰레기는 투입배관(320)을 통해 침전조(310)의 내부로 투입되고, 투입된 물은 침전조(310) 및 음식물수용부(341)를 거쳐서 음식물수용부(341)의 다수의 배수구멍(341a)들을 통해 케이스(330) 내로 배출되며, 케이스(330) 내로 배출된 물은 다시 케이스(330)의 저면부에 연결된 제1 배수관(34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침전조(31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침전조(310) 내에 수용된 후 침전조(310) 하단의 음식물배출구(311)를 통해 배출되어 음식물수용부(341)로 투입된다. 음식물수용부(341)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구동모터(344)가 구동되어 이송스크류(343)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압축 및 탈수되면서 이송스크류(343)의 전방에 위치한 음식물배출관(342) 내로 이동하고, 이때 음식물쓰레기가 압축 및 탈수되면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는 음식물수용부(341)의 다수의 배수구멍(341a)을 통해 케이스(330) 내로 배출되며, 케이스(330) 내의 폐수는 다시 케이스(330)의 저면부에 연결된 제1 배수관(34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압축 및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배출관(3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음식물배출관(342)의 아래에 위치한 음식물 수거통(400) 내로 투입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케이스(330) 및 음식물 수거통(400)을 수용하고 있는 박스(B)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배기관(346)을 통해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원활한 탈취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및 탈수할 때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음식물수용부(341)의 배수구멍(341a)과, 물 및 폐수를 수용하는 케이스(330), 케이스(330)에 연결된 제1 배수관(345)을 통해 물 및 폐수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집합 건축물의 각 세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고자 할 때 음식물쓰레기를 주방도구 및 주방식기의 세척 후의 물과 함께 싱크대의 배수구로 버리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세대로부터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므로 음식물쓰레기가 수직배수관(200)을 통해 배출될 때 막힘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며, 이에 의해 수직배수관(200)의 내면에 음식물쓰레기가 부착되지 않으므로 각 세대로부터 반복적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분출되어도 악취가 각 세대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각 세대로부터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각 세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흡입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흡입장치의 설계가 필요 없게 되며, 이에 의해 시스템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스크류에 의해 압축 및 탈수하여 배출하므로 음식쓰레기의 배출 함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30)의 내부 및 음식물 수거통(400)을 수용한 박스(B)에 배기관(346)이 연결되므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시 탈취의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음식물처리부(300)가 특수필터(360)와 스크류 및 제2 배수관(371)과 회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특수필터(360)와 스크류(343) 및 제2 배수관(345)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특수필터(360)는 침전조(310)의 내부공간 상측에 설치되며, 어떠한 경우도 막힘이 없는 웨지와이어 스크린(Wedge wire screen)의 필터로 구성된다. 압축장치의 탈수필터(346)도 역시 특수 형태의 필터로서 어떠한 이물질에도 막힘이 없는 필터로 상요된다.
제2 배수관(370)은 침전조(310)의 측면에서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수관(370)은 필터(360)보다 위로 위치한다. 이러한 제2 배수관(370)은 침전조(31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각 세대로부터 배출되는 물 및 음식물쓰레기가 침전조(310) 내에 채워지는 양이 증가할 때 필터(360)는 음식물쓰레기가 필터(360)의 상부로 넘치는 것을 제한하거나 침전조(310)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에 포함된 찌꺼기들을 여과하게 되고, 제2 배수관(370)은 필터(360)를 통해 찌꺼기들이 여과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이용하면 각 세대로부터 다량의 음식물쓰레기 및 물이 배출되어 침전조(310)에 투입되더라도 원활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송스크류(343)는 축은 고정되어 있지만 스크류만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처리물을 완전히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음식물처리부(300)의 하단부에 연결된 흡입관(381); 상기 흡입관(381)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381)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일측 방향을 향해 흡입 및 이송되도록 하는 흡입송풍장치(382); 및 상기 흡입관(381)과 상기 흡입송풍장치(38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381)을 통해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원심분리하여 음식물 수거통(400)으로 배출하는 원심분리기(383)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와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집합 건축물이 다수의 동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입관(381)은 각 동의 지하에 설치된 음식물처리부(300)와 연결될 수 있고, 흡입송풍장치(382) 및 원심분리기(383)는 공통 집하장에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동의 음식물쓰레기를 공통 집하장으로 집하하기 위해, 흡입송풍장치(382) 및 원심분리기(383)를 작동시켜서 각 동의 음식물처리부(300)에서 압축 및 탈수되어 음식물배출관(342)을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흡입송풍장치(382) 및 흡입관(381)을 통해 흡입하여 원심분리기(383)로 투입시킬 수 있다.
원심분리기(383)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원심분리기 내에서 원심분리 처리된 후 원심분리기(383)의 아래에 위치하는 음식물 수거통(400)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는 집합 건축물의 다수의 동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한 곳으로 집하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한 곳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및 수거가 가능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집합 건축물의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로서,
    각 세대의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된 분쇄기;
    상기 분쇄기 및 각 세대의 싱크대의 배수구에 분기관으로 연결되어 각 세대의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 수직배수관;
    상기 수직배수관의 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고 배수, 탈수 및 탈취 과정으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처리부; 및
    상기 음식물처리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음식물수거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부는,
    내부공간을 갖고, 하단부에 음식물배출구가 형성된 침전조;
    상단부는 상기 수직배수관의 말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침전조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투입배관;
    상기 침전조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침전조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및 탈수시켜서 배출하는 음식물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토출부는,
    상기 침전조의 음식물배출구에 연결되고, 음식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음식물배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음식물수용부;
    상기 음식물수용부의 직경이 감소한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음식물 수거통의 위로 위치하는 음식물배출관;
    상기 음식물수용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수용부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축하면서 상기 음식물배출관을 향해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수용부는 외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에는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를 배출하는 제1 배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음식물배출구에는 상기 음식물배출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막힘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부의 하단부에 연결된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을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일측 방향을 향해 흡입 및 이송되도록 하는 흡입송풍장치;
    상기 흡입관 및 상기 흡입송풍장치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을 통해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원심분리하여 상기 음식물 수거통으로 배출하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KR1020150117172A 2015-08-20 2015-08-20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KR20170022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72A KR20170022341A (ko) 2015-08-20 2015-08-20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72A KR20170022341A (ko) 2015-08-20 2015-08-20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341A true KR20170022341A (ko) 2017-03-02

Family

ID=5842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172A KR20170022341A (ko) 2015-08-20 2015-08-20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3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8226A (zh) * 2018-04-20 2018-07-20 河南杰川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臭功能的智能垃圾存储装置
CN108568152A (zh) * 2018-06-13 2018-09-25 行愿环保科技有限公司 餐厨垃圾分类收集装置
CN109941638A (zh) * 2019-03-08 2019-06-28 合肥学院 一种小区家庭垃圾集中分类回收系统
CN112012430A (zh) * 2020-08-31 2020-12-01 祝红星 一种隔层建筑施工建筑垃圾清运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662B1 (ko) 2006-10-26 2007-12-13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집하 및 소멸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662B1 (ko) 2006-10-26 2007-12-13 고천일 음식물쓰레기 집하 및 소멸처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8226A (zh) * 2018-04-20 2018-07-20 河南杰川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臭功能的智能垃圾存储装置
CN108298226B (zh) * 2018-04-20 2024-03-05 河南杰川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臭功能的智能垃圾存储装置
CN108568152A (zh) * 2018-06-13 2018-09-25 行愿环保科技有限公司 餐厨垃圾分类收集装置
CN108568152B (zh) * 2018-06-13 2023-06-02 成都蔚蓝星生物科技有限公司 餐厨垃圾分类收集装置
CN109941638A (zh) * 2019-03-08 2019-06-28 合肥学院 一种小区家庭垃圾集中分类回收系统
CN112012430A (zh) * 2020-08-31 2020-12-01 祝红星 一种隔层建筑施工建筑垃圾清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7925A (ko)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KR20170022341A (ko)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KR101802694B1 (ko) 탈수기를 구비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101425904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980000664A (ko)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처리시스템
KR20160078298A (ko)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CN205361679U (zh) 一种新型厨余垃圾处理机
KR101036488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101336741B1 (ko) 잔반 분리수단을 갖는 싱크대용 디스포저
JPH09262572A (ja) 集合住宅用生ごみ処理設備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110036206A (ko) 음식찌꺼기 하수 처리장치
KR100378638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1023359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96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92856B1 (ko) 하폐수의 협잡물 처리기
KR200356431Y1 (ko)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06320B1 (ko) 침사 세정분리장치
CN207943950U (zh) 一种拼装式污水处理设备
KR0179418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70737A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200229479Y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200287743Y1 (ko) 침사 세정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