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241Y1 - 관이음구 - Google Patents

관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241Y1
KR200235241Y1 KR2020010006747U KR20010006747U KR200235241Y1 KR 200235241 Y1 KR200235241 Y1 KR 200235241Y1 KR 2020010006747 U KR2020010006747 U KR 2020010006747U KR 20010006747 U KR20010006747 U KR 20010006747U KR 200235241 Y1 KR200235241 Y1 KR 200235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ner ring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일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일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일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10006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241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량계, 필터펌프, 밸브 및 탱크 등과 같은 유체기기에 유체관을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유체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그 수용부의 안쪽 벽면에는 제1 유체유로의 축선에 대해 동심원상태로 씰부홈이 형성되고 외부 원주면에는 소정 각의 수나사부를 갖고 유체기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이음구본체부; 수용부의 씰부홈에 끼워져 밀착되도록 일단부의 면에 제1 유체유로의 내경보다 큰 원호상의 씰부를 가지며 타단부의 외주면은 유체관의 선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내향으로 라운딩·형성된 제2 유체유로를 갖는 씰링으로서의 인너링; 및 내부 원주면에 소정각으로 이루어진 암나사부를 가지고 이음구본체부의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 결합에 의해 인너링의 씰부를 수용부의 씰부홈에 밀착·결합하여 주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각종의 유체기기에 유체관을 결합할 때, 그 결합력이 보다 세밀하고 강력함으로써, 유체 흐름의 강한 압력 및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유체관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구조의 간략화에 기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밀봉성이 보다 우수하여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관이음구{Pipe Joint Body}
본 고안은 각종의 유량계, 필터펌프, 밸브 및 탱크 등의 유체기기에 유체관을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의 유체관과 각종 유체기기와의 결합력을 보다 세밀하게 하면서도 강력하게 하여 상기 유체관의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유체의 밀봉성 확보와 관이음의 간편화를 양립하도록 하는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이음구는 각종의 유량계, 필터펌프, 밸브 및 탱크 등과 같은 유체기기와 합성수지재의 유체관을 강력하게 접속시켜 누수의 방지와 기밀을 유지시키면서 유체의 이동을 원할하게 하도록 하는데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관이음구 중의 한 예로서, 일본국 실용신안공고(소) 55-24468호에 기재된 이음매가 있다.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공고(소) 55-24468호에 기재된 그와 같은 관이음구에서의 파이프 연결은 이음매 본체에 나사결합된 너트의 조임에 의해 그 너트 내부에 위치된 슬리브의 가압으로 관이음이 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이음매 본체와 파이프의 이음력이 약하여 파이프가 강한 압력에 의해 빠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너트를 지나치게 강하게 조이면 이음 파이프 단면에 일그러짐이 발생하여, 이것에 의해 파이프 내의 유체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 아니라 유체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음매 사이에서의 누수 현상과 강한압력에 의한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유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1995 - 5555호(명칭: 유체기기의 관이음구)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1995 - 5555호에 기재된 그와 같은 유체기기의 관이음구의 하나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특허공고 제 1995-5555호에 의하면, 내부 원주면에 유체관(8)의 한쪽 끝 밀어넣는부(8A)가 삽입되는 수용부(9)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외부원주면에 수나사부(10)를 갖고 유체기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통형상의 이음구본체부(2)와, 이 이음구본체부(2)의 수용부(9)에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씰부(11)(12)와, 이 씰부(11)(12)에 맞닿는 씰부(14)(15)를 갖는 씰링(13)과, 상기한 이음구본체부(2)의 외부원주의 수나사부(10)에 나사조임 가능하고 나사조임에 의해 상기한 양 씰부(11, 12)(14, 15)에 밀봉력을 부여하는 조임너트(16)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씰링(13)이 유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로 유체관(8)의 한쪽끝 부분에 밀어넣어지므로서 유체관(8)의 한쪽끝 밀어넣는부(8A)의 직경을 확대하는 인너링(inner ring)(13)으로 이루어지고, 이 인너링(13)의 안쪽 끝부분 및 바깥쪽 끝부분에 각각 상기한 이음구본체부(2)에 있어서의 수용부(9)의 안쪽부분 및 입구부에 축선에 대해 경사시켜서 형성된 1차 및 2차 씰부(11)(12)에 맞닿는 씰부(14)(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있어서, (1)은 밸브본체로서 이 밸브본체(1)는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 양측에 내부의 유체유로(1A)의 축선(C)과 동심상태로 전술한 통형상의 이음구본체(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축선방향의 중앙 일어선부(1B)에는 아웃터링(outer ring) 및 누름용량(4)을 거쳐서 축형상의 밸브체(5)가 승강 및 개폐가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 지지되고, 이 축형상의 밸브체(5)의 상단부에 리프트축(7)을 거쳐 개폐조작용 손잡이(6)를 고정시켜서 수동식 스톱밸브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특허공고 제 1995-5555호에 의한 유체기기의 관이음구의 구조에 의하면, 씰링(13)을 끼워 맞춘 유체관(8)의 한쪽끝 밀어넣는부(8A)를 이음구본체부(2)의 수용부(9)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그 이음구본체부(2)의 외부원주 수나사부(10)에 조임너트(16)를 나사 맞춤하여 나사조임 시키므로서, 이음구본체부(2)의 수용부(9)에 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씰부(11)(12)와 씰링(13)의 씰부(14)(15)와의 사이에 강한 밀봉력을 발생시켜서 온도의 변화에 따른 응력의 완화를 억제하고, 이음구본체부(2)와 유체관(8)과의 사이의 밀봉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유체기기본체, 즉 다시 말해 밸브본체(1)와 이음구본체부(2)와의 사이에는 나사접속부가 없기 때문에 이들 양자간으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전혀 없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계단부부의 발생에 의한 유체의 체류가 형성되지 않고, 이 때문에 이음구본체부(2)의 탈락이라는 위험성도 없는 외에 유체는 원활히 유동되어서 순도의 저하 등의 불합리한 점을 없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씰링(13)이 유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인너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관이음구의 전체 길이에 걸친 유로의 단면을 일정하게 해서 유체의 유동을 보다 원활한 것을 할 수 있고, 또 조임너트(16)의 나사조임에 의해 이음구본체부(2)에 있어서의 수용부(9)의 안쪽부분 및 입구부에 각각 형성된 1차 및 2차의 씰부(11)(12)와 인너링(13)의 안쪽 끝부분 및 바깥쪽 끝부분의 씰부(14)(15)와의 사이에 각각 강한 밀봉력을 발생시켜 이음구본체부(2)와 유체관(8)과의 사이의 밀봉성을 일층 높임과 아울러 그들 양 씰부(11)12),(14)(15)의 온도변동에 따른 응력의 완화를 억제해서 높은 밀봉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1995 - 5555호에 의한 유체기기의 관이음구에 따르면, 이음구본체부(2)의 수용부(9)를 테이퍼지게 형성해야 함은 물론 수용부(9)의 안쪽부분과 입구부쪽에 각각 1차 및 2차 씰부(11)(12)를 형성해야 하는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음구본체부(2)의 수용부(9)에 끼워맞추어져 지지되는 씰링으로서의 인너링(13)에 있어서도 수용부(9)의 안쪽부분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마춤부(13A)와, 이 끼워맞춤부(13A)에 대해서 유체관(8)의 두께 상단부 만큼 적은 직경의 밀어넣는부(13B)와, 그 축선방향의 바깥쪽 끝부분에 있어서 그 바같쪽 끝으로부터 축방향의 안쪽으로 향해서 점차 직경을 확대한 후 점차 직경을 축소하는 단면이 산모양인 팽창부(13C)를 연속적으로 하여 성형을 해야 함으로써, 그 제작 및 설계가 어려울 뿐 아니라 구조 자체 또한 매우 복잡하며, 특히 인너링(13)의 1차 및 2차 씰부(14)(15)와 이음구본체부(2)의 1, 2차 씰부(11)(12)를 정확히 맞추어 밀봉해 주어야만 하는 작업상의 불합리한 점과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유체기기의 장기간 사용 시에 상기 유체의 강한 유압에 의해 조임너트가 느슨하게 되면서 결국, 유체기기의 이음구본체부로부터 조임너트 및 유체관이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가의 관이음구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보다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밀봉력과 결합력이 확실한 관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유체관과 각종 유체기기와의 결합력을 보다 세밀하고 강력하게 하여 유체 흐름의 강한 압력에 관계없이 유체관의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구조의 간략화와 작업성 및 밀봉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는 관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관이음구는 이음구본체부의 내부원주면에 형성된 수용부에 삽입·결합되어 밀봉성을 유지하는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 인너링의 일단부 면에 원호상의 씰부와 원호돌기를 상기 유체유로의 동심원상태로 돌출·형성하며 상기 이음구본체부의 수용부 안쪽 벽면에는 상기 원호상의 씰부와 원호돌기가 삽입·밀착되도록 씰부홈과 원호홈을 상기 유체유로의 축선에 대해 동심원상태로 각각 형성하여, 상기 인너링의 원주면으로 유체관의 선단부를 억지끼워 밀어넣은 후 그 인너링을 이음구본체부의 수용부에 밀착시켜 나사조임 함으로써, 인너링과 유체관, 유체관과 이음구본체부와의 결합력 및 밀봉성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체기기본체를 장기간 사용 시에 상기 이음구본체부로부터의 조임너트의 이탈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관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관이음구는 이음구본체부 및 조임너트에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가 나사조임방향과 풀림방향에 대해서 유체유로의 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임너트가 이음구본체부로부터 느슨하게 풀리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관이음구의 수동식 스톱밸브를 수직으로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구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2는 상기 관이음구와 밸브본체의 일부 및 유체관을 분해하여 나타내어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관이음구와 밸브본체의 일부 및 유체관을 결합하여 나타내어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인너링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부를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부를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밸브본체 101 : 이음구본체부
102 : 수용부 102a : 수용부의 안쪽 벽면
103 : 수나사부 104 : 씰부홈
105 : 원호홈 106 : 인너링
107 : 안내부 108 : 원호돌기
109 : 씰부 110 : 요홈
114 : 유체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관이음구에 의하면, 유체기기 본체에 유체관을 결합하는 관이음구에 있어서:
(1) 내부원주면에 통형상의 수용부를 가지며 그 수용부의 안쪽 벽면에는 제1 유체유로의 축선에 대해 동심원상태로 씰부홈이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부 원주면에는 소정 각의 수나사부를 갖고 상기 유체기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이음구본체부;
(2) 상기 수용부의 씰부홈에 끼워져 밀착되도록 일단부의 면에 상기 제1 유체유로의 내경보다 크고 축선에 대해 외향으로 경사진 원호상의 씰부를 가지며 타단부의 외주면은 상기 유체관의 선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내향으로 라운딩·형성된 제2 유체유로를 갖는 씰링으로서의 인너링; 및
(3) 내부 원주면에 소정각으로 이루어진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이음구본체부의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인너링의 씰부를 상기 수용부의 씰부홈에 밀착·결합하여 주는 조임너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수용부의 안쪽 벽면에 형성된 상기 씰부홈의 외주방향으로 원호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너링의 일단부 면에 형성된 상기 씰부의 외주방향으로는 상기 제2 유체유로에 대해 동심원 상태로 원호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인너링이 상기 조임너트의 조임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원호돌기가 상기 원호홈에 삽입·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수용부의 안쪽 벽면에 대향하는 상기 인너링의 일단부 외주면에 상기 수용부의 안쪽 벽면 및 그 안쪽의 내주면과 맞닿아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인너링의 타단부 쪽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큰 원호상의 안내부를 외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인너링의 안내부와 연속되는 외부 원주면에 상기 유체관의 선단부가 축선에 대해 내향쪽으로 오무라들도록 원주상으로 요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음구본체부의 수나사부와 상기 조임너트부의 암나사부를 상기 나사조임 방향 및 풀림방향에 대해 90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인너링의 외주면으로 유체관의 선단부를 억지끼운 후 그 인너링을 이음구본체부의 수용부에 밀착시켜 조임너트로 나사조임 함으로써, 인너링과 유체관이 이음구본체부에 강력하게 밀봉·결합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각종 유체기기에 유체관을 결합할 때, 그 결합력이 보다 세밀하고 강력함으로써, 유체 흐름의 강한 압력에 관계없이 유체관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구조의 간략화에 기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밀봉성이 우수하여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관이음구와 밸브본체의 일부 및 유체관을 분해하여 나타내어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관이음구와 밸브본체의 일부 및 유체관을 결합하여 나타내어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관이음구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유체기기 본체, 즉 밸브본체(100)는 예를 들면, PTFE, PEA, ETFE, CTFE, ECTFE 등의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본체(100)의 양측에 내부의 제1 유체유로(100a)의 축선(C)과 동심원 상태로 통형상의 이음구본체부(10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의 이음구본체부(101)는 그 내부원주면에 유체관(114)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의 수용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용부(102)의 안쪽 벽면(102a)은 제1 유체유로(100a)의 일단과 일직선이 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외부원주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각, 예를 들면 이후에 설명될 조임너트(112)가 이음구본체부(101)의 외부원주면으로 나사조임과 풀림될 때, 그 나사조임 방향 및 풀림방향에 대해서 수직, 즉 90도의 직각으로 이루어진 수나사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102)의 내경은 제1 유체유로(100a)의 내경보다 직경이 크고, 또 그 수용부(102)의 안쪽 벽면(102a)에서부터 입구쪽까지의 내경이 축선(C)에 대해 동심원 상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수용부(102)의 안쪽 벽면(102a)에는 제1 유체유로(100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선(C)에 대해서 동심원 상태로 외향으로 경사진 씰부홈(104)이 형성되고, 그 씰부홈(104)의 바깥 원주방향으로는 원호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음구본체부(101)의 수용부(102)에는 씰부재로서의 인너링(106)이 수평하게 끼워져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인너링(106)은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테프론 재질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너링(106)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본체(100)에 형성된 제1 유체유로(100a)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 유체유로(106a)와, 일단부의 외부원주면에 축선(C)에 대해 동심원 상태로 외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인너링(106)이 수용부(102)에 끼워졌을 때, 그 수용부(102)의 안쪽 벽면(102a)과 그 안쪽부분의 내부 원주면에 맞닿아 기밀을 유지하도록 유체관(114)의 두께 상단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호형상의 안내부(107)와, 축선(C)방향의 안쪽부분에 대해 제2 유체유로(106a)를 사이에 두고 동심원 상태로 안내부(107)의 일단부 면에 돌출·형성되며 수용부(102)의 안쪽 벽면(102a)과 그 인너링(106)의 일단부 면이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그 수용부(102)의 원호홈(105)에 삽입·밀착되는 원호돌기(108)와, 제2 유체유로(106a)와 원호돌기(108) 사이에 형성되며 제2 유체유로(106a)의 축선(C)에 대해 외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수용부(102)의 씰부홈(104)에 끼워지는 씰부(109)와, 유체관(114)의 두께 상단부 만큼 적은 직경을 가지고 안내부(107)와 연속되는 외부원주면에 형성되어 유체관(114)이 끼워졌을 때, 그 유체관(114)의 선단부가 축선(C)에 대해 내향쪽으로 오무라들도록 형성된 요홈(110)과, 축선방향의 바깥 끝부분에 있어서 그 바깥 끝으로부터 축선방향의 안쪽으로 향해서 요홈(110)의 위치까지 외부원주면의 직경이 동일하고 유체관(114)의 선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축선방향의 바깥 끝부분이 만이 내향으로 완만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라운딩부(111)와를 연속적으로 형성해서 전체로서 슬리이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조임너트(112)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원주면에는 소정의 각, 예컨대 이음구본체부(101)의 수나사부(103)에 나사조임과 풀림될 때, 그 나사조임 방향 및 풀림방향에 대해서 90도의 직각으로 형성된 암나사부(113)를 갖는 원통상부(112a)와 고리형상의 밀어 압축하는 압축부(112b)로 이루어지고, 그 고리형상의 밀어 압축하는 압축부(112b)의 내부 원주면이 안쪽끝 부분에 상기 유체관(114)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직경을 갖는 밀어 압축하는 가장자리부(112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임너트(112)를 암나사부(113)를 통해 이음구본체부(101)의 수나사부(103)에 나사조임해서 축선(C) 방향의 안쪽으로 나사조임시키므로서, 인너링(106)을 이음구본체부(101)에 형성된 수용부(102)의 안쪽 벽면(102a)으로 밀어 붙임과 아울러 유체관(114)을 이음구본체부(101) 측으로 밀어 붙여서 이음구본체부(101)와 인너링(106) 및 유체관(114)을 일체로 결합시켜, 인너링(106)의 씰부(109) 및 원호돌기(108)가 이음구본체부(101)에 형성된 수용부(102)의 씰부홈(104) 및 원호홈(105)에 밀봉·결합되고, 그리고 또한 인너링(106)의 라운딩부(111)와 조임너트(112)의 밀어압축하는 가장자리부(112c)에 각각 밀봉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유체관(114)의 선단부를 이후에 설명될 조임너트(112)에 헐겁게 끼워마춘다. 이후 테프론 재질 및 합성수지재로 된 씰부재로서의 인너링(106)의 라운딩부(111) 및 요홈(110)을 유체관(114)의 선단부에 억지끼워 밀어넣어서 유체관(114)의 직경을 확대시키므로서 그 인너링(106)을 유체관(114)에 대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로 일체로 결합한다. 이때, 유체관(114)의 선단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너링(106)의 일단부 외부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107)의 면에 맞닿아서 유체관(114)과 인너링(106)과의 사이가 밀봉되며, 또한 유체관(114)의 선단부가 축선(C)에 대해 내향으로 오무라들면서 요홈(110)으로 파고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요홈(110)을 형성한 이유는 이후에 유체관(114)과 결합된 인너링(106)을 이음구본체부(101)의 수용부(102)에 끼워 맞출 때, 유체관(114)의 선단부가 들떠서 수용부(102)의 입구쪽에 걸릴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들뜸현상이 발생될 경우에, 상기 인너링(106)의 요홈(110)을 중심하여 유체관(114)의 선단부가 오무라드는 여유를 주어 상기와 같은 발생을 예방할 수가 있고, 또한 상기 유체관(114)의 선단부가 오그라들므로써, 유체관(114)에 삽입된 인너링(106), 즉 슬리이브가 유체관(114)에서 자연적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이후 유체관(114)이 결합된 인너링(106)을 밸브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상의 이음구본체부(101)의 수용부(102)에 삽입해서 인너링(106)의 일단부 면에 형성된 씰부(109)와 원호돌기(108)를 수용부(102)의 안쪽 벽면(102a)에 형성된 씰부홈(104)과 원호홈(105)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상기 인너링(106)의 안내부(107)를 수용부(102)의 안쪽부분의 내부 원주면과 안쪽 벽면(102a)에 맞닿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미리 유체관(114)에 헐겁게 끼워 맞춰진 조임너트(112)의 암나사부(113)를 이음구본체부(101)의 수나사부(103)에 나사조임 하고 또한 축선(C) 방향의 안쪽으로 나사조임시켜서 인너링(106)을 이음구본체부(101) 측으로밀어 붙여 줌으로써, 상기한 유체관(114)의 선단부가 인너링(106)의 접촉부(107) 면에 맞닿아 강력하게 결합되고, 또한 조임너트(112)의 압축부(112b)에 형성된 가장자리(112c)가 유체관(114)을 축선(C) 방향의 안쪽으로 밀어 붙여주면서 그 인너링(106)의 라운딩부(111)와 접촉시켜 잡아주게 됨으로써, 유체관(114)이 강력하게 빠지는 것이 방지될 뿐아니라 이음구본체부(101)의 수나사부(103)와 조임너트(112)의 암나사부(113)는 조임방향 및 풀림방향에 대해서 90도의 각으로 티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른 조임너트(112)의 느슨함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112)의 조임에 의해서 인너링(106)의 선단부 면에 형성된 씰부(109)와 원호돌기(108)가 수용부(102)의 안쪽 벽면(102a)에 형성된 씰부홈(104)과 원호홈(105)에 압착되고 또한 인너링(106)의 선단부 면 및 안내부(107)의 외부원주면이 각각 이음구본체부(101)에 형성된 수용부(102)의 안쪽 벽면(102a)과 그 안쪽부분의 내부원주면에 압착 밀봉됨과 아울러 상기한 유체관(114)의 내,외부원주면이 인너링(106) 및 수용부(102)의 외부원주면과 내부원주면에 밀착되어 짐으로서, 그들 사이에 강력한 밀봉력이 발생하여 유체관(114)의 외부원주 및 내부원주의 양면에서 신뢰성이 높은 밀봉이 이루어져서 유체의 온도변동에 관계없이 응력의 완화에 의한 밀봉성의 저하를 억제해서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100)의 제1 유체유로(100a)와 인너링(106)의 제2 유체유로(106a)의 내경이 동일한 상태에서 맞닿아 결합됨으로써, 유체를 체류시키는 일이 없이 유동시킬 수가 있어, 고순도의 액체를 유동시키는 경우의 순도 저하 등의 장애발생을 없앨 수가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이음구본체부의 수용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해야 함은 물론 수용부의 안쪽부분과 입구부쪽에 각각 1차 및 2차 씰부를 형성해야 하고, 인너링에 있어서도 수용부의 안쪽부분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마춤부, 밀어넣는부 및 팽창부를 연속적으로 하여 성형을 해야 주어야 하는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이음구본체부의 수용부 안쪽 벽면에 제1 유체유로의 축선에 대해 동심원 상태로 씰부홈과 원호홈을 형성하고, 인너링의 선단부 면에는 상기 씰부홈과 원호홈에 삽입·밀착되는 씰부와 원호돌기를 형성하여 조임너트로 나사조임함으로써, 유체관과 인너링이 이음구본체부에 강력하게 밀봉·결합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각종 유체기기에 유체관을 결합할 때, 그 결합력이 보다 세밀하고 강력함으로써, 유체 흐름의 강한 압력 및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유체관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구조의 간략화에 기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밀봉성이 보다 우수하여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관이음구에 의하면, 유체관이 끼워진 인너링의 선단부 면에 씰부와 원호돌기를 형성하여 이음구본체부의 수용부 안쪽 벽면에 형성된 씰부홈과 원호홈 삽입시켜 조임너트로 나사조임 함으로써, 유체관과 이음구본체부 및 인너링과의 결합·밀봉성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져 이들 사이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 흐름의 강한 압력 및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유체관이 강력하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뿐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체기기 본체에 유체관을 결합하는 관이음구에 있어서:
    (1) 내부원주면에 통형상의 수용부를 가지며 그 수용부의 안쪽 벽면에는 제1 유체유로의 축선에 대해 동심원상태로 씰부홈이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부 원주면에는 소정 각의 수나사부를 갖고 상기 유체기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이음구본체부;
    (2) 상기 수용부의 씰부홈에 끼워져 밀착되도록 일단부의 면에 상기 제1 유체유로의 내경보다 크고 축선에 대해 외향으로 경사진 원호상의 씰부를 가지며 타단부의 외주면은 상기 유체관의 선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되도록 내향으로 라운딩·형성된 제2 유체유로를 갖는 씰링으로서의 인너링; 및
    (3) 내부 원주면에 소정각으로 이루어진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이음구본체부의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인너링의 씰부를 상기 수용부의 씰부홈에 밀착·결합하여 주는 조임너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안쪽 벽면에 형성된 상기 씰부홈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유체유로의 축선에 대하여 원호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너링의 일단부 면에 형성된상기 씰부의 바깥 방향으로는 원호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인너링이 상기 조임너트의 조임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원호돌기가 상기 원호홈에 삽입·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안쪽 벽면에 대향하는 상기 인너링의 일단부 외부 원주면에 상기 수용부의 안쪽 벽면 및 그 안쪽의 내주면과 맞닿아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인너링의 타단부 쪽의 외부 원주면보다 직경이 큰 원호상의 안내부를 외향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링의 접촉부와 연속되는 외부 원주면에 상기 유체관의 선단부가 축선에 대해 내향쪽으로 오무라들도록 원주상으로 요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를 상기 나사조임 방향 및 풀림방향에 대해90도로 수직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
KR2020010006747U 2001-03-13 2001-03-13 관이음구 KR200235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7U KR200235241Y1 (ko) 2001-03-13 2001-03-13 관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7U KR200235241Y1 (ko) 2001-03-13 2001-03-13 관이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241Y1 true KR200235241Y1 (ko) 2001-10-08

Family

ID=7306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747U KR200235241Y1 (ko) 2001-03-13 2001-03-13 관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2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730B1 (ko) * 2005-11-15 2007-01-30 (주)상신 온수분배기용 자동 온도조절밸브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730B1 (ko) * 2005-11-15 2007-01-30 (주)상신 온수분배기용 자동 온도조절밸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159B2 (en) Tube coupling
US6488318B1 (en) Piping joint and integrated valve with it
US7354079B2 (en) Connector
KR950005555B1 (ko) 유체기기의 관이음구
US5472244A (en) Plastic coupling for plastic tubing
US5213375A (en) Quick pipe connector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WO2014181590A1 (ja) 管接続装置
US20070013189A1 (en) Sealing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US4934745A (en) Flexible hose coupling
KR200235241Y1 (ko) 관이음구
KR100526165B1 (ko) 관이음구
KR200232310Y1 (ko) 관이음구
US6702258B1 (en) Universal ball valve assembly
TW200307796A (en) Multi-sealing compression fitting for plumbing connections
CA2720300A1 (en) Transitional composite coupling
EP0479831A1 (en) Polymeric tube fitting
KR20230000760U (ko) 관이음 장치
JP2519080Y2 (ja) 樹脂製管継手
KR20230160189A (ko) 푸시-피팅
KR20240023843A (ko) 수밀성이 향상된 링타입 배관 연결구
JP2524754Y2 (ja) 樹脂製管継手
WO2019056152A1 (zh) 流体分流装置
KR200299412Y1 (ko) 관 연결구조
WO2019056151A1 (zh) 套管式流体分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