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016Y1 -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 - Google Patents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016Y1
KR200235016Y1 KR2019980025756U KR19980025756U KR200235016Y1 KR 200235016 Y1 KR200235016 Y1 KR 200235016Y1 KR 2019980025756 U KR2019980025756 U KR 2019980025756U KR 19980025756 U KR19980025756 U KR 19980025756U KR 200235016 Y1 KR200235016 Y1 KR 200235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le
wall
gaps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699U (ko
Inventor
나승민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25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01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016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틈새부위에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을 최소화하며, 견고한 지반에서의 항타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손상을 최소화하므로서 그 구조적인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본관이 그 사이에 끼워지는 고리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내,외관; 상기 내,외관을 서로 연결시키되, 상기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본관의 틈새에 해당되는 두께를 형성하여 상기 본관의 틈새에 위치되는 이음블럭; 및 상기 내,외관의 하단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원통형의 구조를 이루는 고리형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단일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시공시 발생하는 틈새의 막힘현상, 본관에 있는 틈새로 인한 선단지지력의 감소 및 틈새에 의해 발생하는 선단부에서의 틈새주변 응력집중 등의 단점을 보안하여 단일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로인하여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장점인 향상된 단면성능과 저렴한 제조원가 및 배토/그라우트량의 감소 등의 경제성뿐만 아니라 이 보강기구로 인한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
본 고안은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을 항타하는 경우, 그 선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틈새부위에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을 최소화하며, 견고한 지반에서의 항타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손상을 최소화하므로서 그 구조적인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강관 말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말뚝 본관(110)의 양측으로 계수강관(120)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용접하고, 다수개의 벽강관 말뚝(100)들을 서로 계수강관(120)으로 연결하여 벽체, 기초등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벽강관 말뚝(100) 구조물은 일반적인 강관말뚝 본관(110)에 틈새를 둔 직경이 작은 계수강관(120)을 용접연결하여 종래의 널말뚝과 거의 유사한 구조물을 이루는 형태이나, 종래의 널말뚝 보다는 단면성능이 우수하여 보다 성능면에서 우수한 구조체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벽강관 말뚝(100)은 강관말뚝 본관(110)의 양측에 복수의 계수강관(120)을 용접하여 각각의 벽강관 말뚝(100)을 이음으로서 안벽, 호안, 방파제, 벽체, 교량기초등과 같은 구조물에 사용되는 것이나, 종래의 벽강관 말뚝(100)은 나선식 용접, 전기저항 용접, UOE(U-ing O-ing and Exapnding)방식, 롤벤딩의 방법으로 제작한 강관말뚝 본관(110)에 틈새(120a)가 있는 계수강관(120) 2개를 용접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대부분 해상 또는 수상 작업을 하기 때문에 내부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계수강관(120) 내부에 흙을 배토하고 거기에 그라우팅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벽강관 말뚝(100)은 본관(110) 1개당 틈새(120a)가 있는 계수강관(120) 2개를 제작해 용접으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그 제작비용이 커지고, 벽강관 말뚝(100)의 중심간격이 커져 단위길이당 단면계수가 작아진다. 또한 계수강관(120)과 계수강관(120)을 연결하므로 벽강관 말뚝(100) 연결위치의 지지점 거리가 커져 구조적으로 불리하며, 양쪽의 계수강관(120) 내부를 모두 배토 및 그라우팅 해야 하므로 배토량과 그라우팅재가 많이 소모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한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벽강관 말뚝(100)에 비해 단면계수가 크고 지지점간의 거리가 작아지므로 단면성능이 훨씬 유리하다. 또한 제작절차가 간소해지고 배토 및 그라우팅량이 줄어듦으로서 경제성도 훨씬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은 계수강관(120)과의 결합을 위하여 항타가 이루어지는 본관(110)에 틈새(110a)를 형성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견고한 지반에서의 시공이 어려우며 틈새(110a)만큼의 선단지지력과 주변마찰력이 감소한다.
또한 말뚝 본관(110)의 하단에서는 틈새(110a)부위에 응력이 집중하는 단점을 갖고 있음으로서 본관(110)의 선단이 항타중에 변형되어 올바르게 그 단면형상을 유지하지 못함으로서 그 구조적인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항타시 틈새부위에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을 최소화하며, 견고한 지반에서의 항타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손상을 최소화하므로서 그 구조적인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계수강관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계수강관의 구성도 및 시공방식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단부 보강기구를 장착하여 시공한 계수강관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단부 보강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단부 보강기구가 계수강관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선단부 보강기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공간 10..... 내관
20.... 외관 30..... 이음블럭
40.... 지지체 100.... 벽강관 블록
110... 본관 120.... 계수강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을 항타하는 경우, 그 선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본관이 그 사이에 끼워지는 고리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내,외관; 상기 내,외관을 서로 연결시키되, 상기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본관의 틈새에 해당되는 두께를 형성하여 상기 본관의 틈새에 위치되는 이음블럭; 및 상기 내,외관의 하단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원통형의 구조를 이루는 고리형의 지지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을 항타하는 경우, 그 선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1)는 고리형의 공간(5)을 형성하는 내,외관(10)(20)을 갖는바, 상기 내,외관(10)(20)은 각각 동일길이를 갖추고, 외관(20)의 내측에 내관(10)이 위치되어 그 사이에 본관(110)이 삽입가능한 고리형 공간(5)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본관(110)이 그 사이의 공간(5)에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외관(10)(20)을 일측에서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이음 블럭(30)을 갖추며, 상기 이음블럭(30)은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본관(110)의 틈새(110a)에 해당되는 두께를 형성하여 상기 내,외관(10)(20)의 사이 공간(5)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외관(10)(20)의 공간(5)으로 벽강관 말뚝(100)의 본관(110)이 삽입되면, 상기 본관(110)의 틈새(110a)에 이음블럭(3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외관(10)(20)의 하단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원통형의 구조를 이루는 고리형의 지지체(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40)는 그 내경이 상기 내관(10)의 내경에 일치되고, 그 외경이 외관(20)의 외경에 일치하는 원통의 구조체로서 이는 상단부가 상기 내,외관(10)(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외관(10)(20)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선단부 보강기구(1)는 항타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벽강관 말뚝(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벽강관 말뚝(100)의 선단부가 내,외관(10)(20) 사이의 고리형 공간(5)으로 삽입되고, 본관(110)의 틈새(110a)가 있는 부분에 이음블럭(30)이 위치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벽강관 말뚝(100)의 선단부가 내,외관(10)(20)의 하단부까지, 즉 지지체(40)의 상부면까지 삽입되도록 깊숙하게 밀어 넣은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20)의 상단모서리와 본관(110)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으로 고정함으로서 항타하고자 하는 벽강관 말뚝(100)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로 항타작업이 이루어지면, 상기 벽강관 말뚝(100)의 선단부에 가해지는 응력은 지지체(40)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되고 응력의 집중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본관(110)의 틈새(110a)부분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형상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벽강관 말뚝(100)의 선단부의 파손 및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40)는 그 두께(t)가 내관(10), 벽강관 말뚝(100), 외관(20)의 합과 같으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크게 보강되어 벽강관 말뚝(100)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단일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시공시 발생하는 틈새(110a)의 막힘현상, 본관(110)에 있는 틈새(110a)로 인한 선단지지력의 감소 및 틈새(110a)에 의해 발생하는 선단부에서의 틈새(110a)주변 응력집중 등의 단점을 보안하여 단일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로인하여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장점인 향상된 단면성능과 저렴한 제조원가 및 배토/그라우트량의 감소 등의 경제성뿐만 아니라 이 보강기구로 인한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항타시 틈새(110a)부위에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을 최소화하며, 견고한 지반에서의 항타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단일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손상을 최소화하므로서 그 구조적인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을 항타하는 경우, 그 선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본관(110)이 그 사이에 끼워지는 고리형의 공간(5)을 형성하는 내,외관(10)(20); 상기 내,외관(10)(20)을 서로 연결시키되, 상기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100)의 본관(110)의 틈새(110a)에 해당되는 두께를 형성하여 상기 본관(110)의 틈새(110a)에 위치되는 이음블럭(30); 및 상기 내,외관(10)(20)의 하단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원통형의 구조를 이루는 고리형의 지지체(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
KR2019980025756U 1998-12-21 1998-12-21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 KR200235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756U KR200235016Y1 (ko) 1998-12-21 1998-12-21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756U KR200235016Y1 (ko) 1998-12-21 1998-12-21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99U KR20000012699U (ko) 2000-07-15
KR200235016Y1 true KR200235016Y1 (ko) 2001-09-06

Family

ID=6950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756U KR200235016Y1 (ko) 1998-12-21 1998-12-21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0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884B1 (ko) * 2012-07-16 2015-05-06 이대동 반원형 시트파일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10B1 (ko) * 2012-07-16 2015-03-11 (주)골든엔지니어링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884B1 (ko) * 2012-07-16 2015-05-06 이대동 반원형 시트파일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99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0586C (en) Composite pile
KR100992529B1 (ko) 조립식 강지보
CA2214598C (en) Truss arch for fabric covered buildings and the like
JP5284249B2 (ja) 鋼管矢板の継手構造および鋼管矢板基礎
KR200235016Y1 (ko) 단일 계수강관형 벽강관 말뚝의 선단부 보강기구
JPH1068287A (ja) ライナープレート
JP4882492B2 (ja) 鋼管杭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08260448A (ja) 耐圧円筒管及びその敷設方法
KR20090118728A (ko) 콘크리트 충진 복합단면 교각 및 복합단면 교각과 기초의연결구조
JP3426916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0733718B1 (ko) 강관 버팀보 중간 이음구조
CN211498871U (zh) 一种钢管斜向内撑基坑支护结构
JP3716973B2 (ja) 腹起し材
JP2009102981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体
KR200412813Y1 (ko) 강관 버팀보 중간 이음구조
JP4419456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部材と鋼管コンクリートとの接合方法
KR200286397Y1 (ko) 삼각형상의 앵커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CN218204340U (zh) 一种用于预制管桩的连接结构
CN210712834U (zh) 注浆钢花管锚杆加长连接结构
JP3573991B2 (ja) 鋼管矢板及び鋼管矢板の連結構造
CN221372503U (zh) 一种薄壁钢管柱与h型钢梁的局部加强连接节点
CN217231787U (zh) 深基坑支护用prc管桩
JPH08302673A (ja) 鋼管矢板
JPH06180006A (ja) 水域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JPH04190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