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870Y1 -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870Y1
KR200234870Y1 KR2020010006440U KR20010006440U KR200234870Y1 KR 200234870 Y1 KR200234870 Y1 KR 200234870Y1 KR 2020010006440 U KR2020010006440 U KR 2020010006440U KR 20010006440 U KR20010006440 U KR 20010006440U KR 200234870 Y1 KR200234870 Y1 KR 200234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bar
cap
reinforcing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혁
Original Assignee
(주)윈윈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윈개발 filed Critical (주)윈윈개발
Priority to KR2020010006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870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시공시에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되는 철근을 한번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끼워고정되는 철근의 주입 방향이 자유로운 원터치형(one-touch type)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철근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한 두 개이상의 조각편을 이용하여 철근 진입경로를 형성하고, 철근을 진입경로상에 밀어넣어 조각편의 각 방향에서 철근을 눌러 고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 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결합되는 철근에 의해 밀리면서 철근의 외경에 맞는 조각편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이 변화를 갖도록 하여 철근이 상기한 수단내로 진입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성하므로써, 철근을 작업자가 밀어넣는 동작만으로도 철근을 쉽게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상기의 조각편의 외부형상을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대응되는 조각편과 접하는 면의 형상또한 대응되는 반구형상의 내면을 갖도록 하므로써, 밀어넣는 철근의 방향이 자유롭도록 하는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시공시에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되는 철근을 한번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끼워고정되는 철근의 주입 방향이 자유로운 원터치형(one-touch type)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concrete)의 내부에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을 매립시킨 것으로, 시공의 용이성과 높은 내구성을 갖는 등의 장점에 따라 각종 건설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철근은 그 강도보강과 함께 콘크리트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해서, 도 1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의 외주에 그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리브(1)와 축선방향이외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마디(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철근은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긴 봉상으로 제작되는 바, 그 제작 및 운반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일정길이 단위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일정 길이로 제작된 철근을 교각이나 고층건물 등의 대형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에는 다수의 철근들을 수평 또는 수직 등의 방향으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는 철근들을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철근 연결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적절히 겹친 뒤 철사 등의 금속 와이어로 묶어주는 방법과,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용접으로 상호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금속 와이어에 의한 접속 방법은 작업성이 나빠 공기지연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특히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가 철근의 강도에 비해 크게 취약하여 쉽게분리되는 등 부실 공사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고, 용접에 의한 결속 방법은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아니라 용접에 의한 열변형이 발생하여 철근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두 철근을 기구적으로 연결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장치 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철근 연결 장치들은 철근의 상부와 하부측으로부터 철근을 잡아 고정시키는 수단과, 이 고정수단의 외측으로부터 이 고정수단들을 완전고정시키는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도 2는 이와 같은 종래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일본국 특개평 7-82841호에 제공된 철근 연결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반원통형상의 두 반체(101)로 된 커플러(100)의 각 반체(101) 내주에 다수의 톱니형 걸림돌기(102)들을 중간에 대해 대향되게 형성하고, 그 외주 양쪽에 각각 테이퍼나사부(103)를 형성하여, 연결할 두 철근(300)의 단부들을 감싸도록 커플러(100)의 두 반체(101)를 접촉시킨 뒤, 이들의 양단 외주에 테이퍼나사부(201)를 내주에 갖는 체결부재(200)를 각각 나사 결합하면, 커플러(100)의 각 압축부위들이 두 철근(300)을 강하게 눌러 주므로써, 상호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철근 연결 장치는 걸림돌기(102)가 한 면(102a)은 축방향에 대해 직교되고, 다른 면(102b)은 경사진 첨예한 삼각단면을 가지는 즉, 철근(3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을 갖는 형상으로,
걸림돌기(102)의 기계적 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철근(300)에 선접촉하게 되므로, 걸림돌기(102)만으로는 큰 힘을 받을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철근(300)에 강한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걸림돌기(102)의 첨예부가 쉽게 문드러져 두 철근(300)의 연결상태의 해제 우려가 매우 높았다.
더욱이 걸림돌기(102)가 커플러(100)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철근의 종류에 따라 마디(2)가 경사지거나 X자형 등으로 구성된 철근(1)에 사용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사용상의 제약이 수반된다.
또한, 커플러(100)의 두 반체(101)가 반원통형상을 가지므로 체결부재(200)의 조임에 의한 커플러(100)의 탄성변형이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두 체결부재(200)가 상호 분리된 채 커플러(100)의 양쪽 단부에만 각각 나사결합 되는 바, 조임력이 커플러(100)의 양쪽 단부에 집중되어 철근(300)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하여 강하게 잡아 줄 수 없게 된다.
또한, 커플러(100)의 양쪽 외주면이 일률적인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부재(200)의 조임에 매우 큰 힘이 요구되면서도 커플러(100)를 충분히 탄성 변형시키기 곤란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철근 연결 장치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철근에 대하여 설치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철근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한 두 개이상의 조각편을 이용하여 철근 진입경로를 형성하고, 철근을 진입경로상에 밀어넣어 조각편의 각 방향에서 철근을 눌러 고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 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결합되는 철근에 의해 밀리면서 철근의 외경에 맞는 조각편들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이 변화를 갖도록 하여 철근이 상기한 수단내로 진입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성하므로써, 철근을 작업자가 밀어넣는 동작만으로도 철근을 쉽게 고정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조각편의 외부형상을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대응되는 조각편과 접하는 면의 형상또한 대응되는 반구형상의 내면을 갖도록 하므로써, 철근을 원터치로 결합고정시킴에 있어, 밀어넣는 철근의 방향이 자유롭도록 한 원터치형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일반적인 철근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철근 연결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 있어, 결합상태의 다른 예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에 있어, 결합 완료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에 있어, 결합 완료된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의 외관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있어서, 걸림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은,
캡과의 연결을 위하여 외부 원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내부 중앙에는 내측에 게재될 탄성수단의 지지를 위한 탄성수단지지부가 형성되는 캡결합부가 구성되고, 탄성수단의 게재를 위하여 통공된 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철근고정편과의 밀착될 부위에 따른 원주곡면을 갖는 철근고정편지지부를 형성한 가이드와,
캡내에 위치하며 상기 캡결합부의 탄성수단지지부에 지지되어 철근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철근의 외경보다 좁은 내경을 갖는 통공을 이루고, 그 외면은 소정의 원주율을 갖는 원구형상으로부터 분할되는 둘 이상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며, 각 조각편의 내면에는 밀착된 철근을 잡아주기 위한 걸림돌기가 구성되고, 그 하부로는 탄성수단의 상부에 얹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걸림부가 형성되는 철근고정편과,
상기 가이드에 구성되는 캡결합부에 결합되며, 결합을 위하여 캡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수단과 철근고정편을 그 내측으로 게재시킬 수 있도록 통공되어 있으며, 캡결합부의 타측부로 형성된 철근의 주입구로부터 그 내측면이 소정의 원주율에 따라 점차 넓어지는 반구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캡(cap)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그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근(50)이 끼워지는 캡(40)과의 결합을 위하여 양측으로 캡결합부(12)가 구성되며, 캡결합부(12)의 외부면에는 캡(4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탄성수단인 스프링(20)을 지지하여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지지부(11)가 구성되며, 스프링(20)의 게재를 위하여 통공된 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철근고정편(30)과의 밀착될 부위를 고려한 소정의 원주율을 따르는 원주곡면부(13)를 갖는 가이드(10)와,
상기 가이드(10)의 스프링지지부(11)에 지지되어 그 타측으로 철근(5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철근고정편(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0)과,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50)의 외경보다 좁은 내경을 갖는 통공을 이루고, 그 외면은 소정의 원주율을 갖는 원구형상으로부터 분할되는 세 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며, 각 조각편의 내면은 밀착되는 철근(50)을 잡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림돌기(31)를 형성하고, 그 하부로는 상기 스프링(20)의 선단에 걸어 얹혀질 수 있도록 스프링걸림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고정편(30)과,
상기 결합되는 스프링(20)과 철근고정편(30)을 그 내측으로 게재하면서 상기 가이드(10)의 양측 캡결합부(12)에 결합되며, 가이드(10)와 결합되는 그 내면으로는 가이드(10)에 형성된 캡결합부(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는 철근(50)이 끼워지는 철근주입구(41)가 형성되고, 철근주입구(41)로부터 그 내면에는 소정의 원주율에 따라 점차 넓어지는 반구형상의 곡면부(42)로 이루어지는 통공을 갖는 캡(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고정편(3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1)는 철근(5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 실시예에 대하여 그 결합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10)의 일측 캡결합부(12)를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캡결합부(12)의 내측으로 스프링(20)을 놓는다.
이때, 스프링(20)은 캡결합부(12)내로 일부가 들어가게 되고, 그 내부중앙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부(11)에 의해 지지되어 더 이상 들어가지 않고, 상부 일부가 도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스프링(20)의 상부면을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고정편(30)을 얹게 되는 바, 철근고정편(3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걸림부(32)를 스프링(20)에 맞추어 얹게 되면, 세 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는 철근고정편(30)에 의해 형성되는 원구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세 개의 철근고정편(30)을 맞추게 되면,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50)의 외경보다 좁은 내경을 갖는 통공을 갖으면서, 상부가 절단된 원구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그 위로 캡(40)을 덮어, 스프링(20)과 철근고정편(30)을 캡(40)내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캡(40)을 눌러, 스프링(20)의 탄성력이 발생되는 상태에서 캡결합부(12)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완료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타측 가이드(10)상의 캡결합부(12)에 캡(40)을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을 완료하게 되면, 철근고정편(30)이 스프링(2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캡(40)의 철근주입구(41)까지 밀려나가게 되며, 세 개의 철근고정편(30)이 맞닿은 원구 형상을 이루면서 철근주입구(41)의 외부로 나오지는 않고 캡(40)내에서 철근주입구(41)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철근고정편(30)은 캡(40)안에 위치하면서, 스프링(20)으로부터 철근주입구(41)측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결합유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를 구성하게 되며, 이를 현장에서 사용하게 될 때, 그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철근(50)중 하나의 철근을 일측의 캡(40)에 형성되는 철근주입구(41)로 밀어넣게 되면, 철근(50)의 외경이 철근주입구(41)내에 위치하는 세 개의 철근고정편(30)에 의해 형성된 통공 내경보다 크므로, 철근고정편(30)내로 들어가지 않고, 철근고정편(30)을 상부를 밀게 된다.
철근고정편(30)의 후단에는 스프링(20)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철근(50)을 계속 하여 철근주입구(41)로 스프링(2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이상의 힘으로 밀어넣게 되면, 철근고정편(30)이 후단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철근고정편(30)이 원구형상을 이루고있고, 이에 대응되는 캡(40)내면의 곡면부(42)가 철근주입구(41)로부터 원구형상의 철근고정편(3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점차 넓어지는 원주면을 갖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밀어넣는 철근(50)이 비뚤어질 경우 이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철근고정편이 캡(40)내면의 곡면부(42)를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철근(50)의 주입방향과 상관없이 결합고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철근(50)을 철근주입구(41)와의 평행선상에서 주입하지 않더라도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철근고정편(30)은 세 개의 분할된 조각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캡(40)이 철근고정편(3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내경이, 넘차 넓어지는 반구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세 개의 철근 조각편(30)이 캡(40)의 내경이 넓어짐에 따라 조금씩 철근조각편(30)의 맞닿은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철근(50)의 외경과 동일한 시점으로부터 외경보다 넓어지게되면, 철근(50)이 세 개의 철근조각편(30)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내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후, 철근조각편(30)이 가이드(10)의 캡결합부(12)의 통공내까지 밀려들어가 선단에 형성된 원주곡면부(13)에 밀착되면, 철근고정편(30)은 더 이상 밀리지 않게 되고, 철근(50)에 가했던 힘을 놓게 되면, 스프링(2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철근고정편(30)의 형상이 유지되면서, 끼워진 철근(50)을 결합고정하게 된다.
즉, 원주곡면부(13)의 원주와 동일한 원주면을 갖는 철근고정편(30)의 외부면이 원주곡면부(13)에 밀착되면 더 이상 철근고정편(30)은 캡결합부(12)내로 밀려들어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철근(50)은 스프링(20)내로 진입하여 가이드(10)까지 진입할 수 있으며, 이의 설정은 세 개의 철근조각편(30)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공이 넓어지는 길이 즉, 캡(40)의 철근주입구(41)로부터 가이드(10)의 원주곡면부(13)까지의 길이 및 스프링(2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 등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철근고정편(30)의 철근진행방향에 대한 길이 즉, 철근고정편(30)의 외면 원주곡면율을 달리하여, 원주곡면부(13)에 의해 철근고정편(30)이 가이드(10)의 캡결합부(12)내로 밀려들어가는 길이 정도를 다르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주곡면부(13)의 원주율의 설정에 따라 원주곡면부(13)에 밀착되는 철근고정편(30)의 부위면을 다르게 결정하여 캡결합부(12)내로 밀려들어가는 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철근고정편(30)이 원구형상이므로, 중앙부위가 최대원주를 갖는 면이므로,원주곡면부(13)의 원주를 점점 크게 할수록 철근고정편(30)와의 밀착부위는 상측으로 이동될 수 뿐이 없게 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철근(50)은 어느정도 진행하게 되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되고, 세 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는 철근조각편(30)에 의해 세 방향에서 눌려 고정되므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각 철근조각편(30)의 철근(50)과 밀착되는 면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되어 있는 바, 걸림돌기(31)는 철근(5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드 형태의 경사면을 갖고 있어, 철근(50)이 진행함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철근(50)이 역으로 빠져나오게 됨에 있어서, 철근(50)의 마디에 걸려 다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때에는 캡(40)을 가이드(10)로부터 분리하여 연결된 철근(50)을 빼낼 수 뿐이 없다.
타측의 철근(50) 또한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철근(50)을 끼워넣을 수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결합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좌측은 철근(50)이 끼워지기 이전상태를, 우측은 철근(50)이 끼워져 결합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철근(50)의 주입방향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근(50)의 진입정도를 결정하는 수단들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철근(50)의 규격이 정해져 있지만, 철근(50)의 외경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고, 캡(40)내의 곡면부(42) 및 가이드(10)의 캡결합부(12)에 형성된 원주곡면부(13)의 원주율에 따라 철근(50)의 진입정도는 도 4에 제한되지않고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두 개의 철근을 하나의 연장선상에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철근(50)을 견고하게 눌러 고정시키기 위해 힘의 분배를 고려하여 삼방향으로 원구형상으로부터 분할된 3개의 조각편을 이용하였지만,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조각편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철근고정편(30)을 구성하게 될 경우, 각각의 고정편이 맞닿게 되는 사이를 소정의 이격된 거리(예 ; 약 3㎜)를 갖을 수 있도록 고정편의 크기를 설정하여, 각각의 고정편에 의하여 철근(50)이 고정됨에 있어서 철근(50)의 동일한 규격내에서의 약간의 외경 차이를 커버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효과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실시예로 상기 철근고정편(30)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편이 자성을 갖도록 하므로써, 스프링(20)에 얹어 결합하게 될 경우 그 조립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자성에 의해 캡(40)내에서 그 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10)의 캡결합부(12) 방향을 삼방향(3-way) 또는 열십자방향으로 각각 더 구성하게 될 경우 연결하는 철근(50)의 수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철근(5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한편, 도 9는 상기 철근고정편(30)에 있어, 걸림돌기(3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걸림돌기(31)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철근(50)의 규격에 따른마디(51) 형상에 따라 걸림돌기(31')의 형상을 달리하여 구성하도록 하여, 철근(50)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31')는 철근(50)의 규격별 각 마디(51)간 길이(L1)를 고려하여, 걸림돌기(31')의 돌기부분 길이(L2)를 설정하고, 철근(50)이 주입될 경우 철근(50)의 진행이 용이하도록 철근(5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31'a)을 갖으며,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간의 거리는 철근(50)의 마디(51)의 형상 및 폭에 따라 결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31')는 마디(51)를 갖는 철근(50))에 있어서, 규격별 또는 회사별로 정해진 그 형상 및 폭에 따라서, 걸림돌기(31')의 형상을 각각 구성하는 것으로, 철근(50)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철근(50)이 철근고정편(30)사이로 진입하게 되면, 철근(50)의 마디(51)부분이 걸림돌기(31')의 경사면(31'a)에 맞닿게 되고, 작업자의 가하는 힘에 의해 경사면(31'a)을 타고, 그 내부로 진행하게 된다.
진행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각 마디(51)가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사이에 위치하면서, 철근(50)을 완전하게 잡아주게 된다.
이때, 각 걸림돌기(31')간 거리는 철근(50)의 마디(51)간 오차를 커버할 수 있도록 약간의 편차를 고려하여 설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철근 연결 장치를 적용하게 되면, 작업자가 현장에서 쉽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철근을 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철근을 고정시키는 철근고정편이 원구형상으로 캡내에서 원주곡면을 따라 유동가능하므로, 철근의 주입방향이 자유로우므로써, 곡면으로 굽어지는 원형의 철근을 연결함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현장에서 작업에 사용되는 띠철근과 같이, 곡면부위의 연결에 있어서 적용가능하다.
또한, 철근을 결합고정시킴에 있어서, 철근의 규격마다 철근 직경에 대하여 약간의 오차가 발생해도 이의 고정에 있어, 충분한 여유를 제공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캡과의 연결을 위하여 외부 원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내부 중앙에는 내측에 게재될 탄성수단의 지지를 위한 탄성수단지지부가 형성되는 캡결합부가 구성되고, 탄성수단의 게재를 위하여 통공된 입구의 원주면을 따라 철근고정편과의 밀착될 부위에 따른 원주곡면을 갖는 철근고정편지지부를 형성한 가이드와,
    캡내에 위치하며 상기 캡결합부의 탄성수단지지부에 지지되어 철근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철근의 외경보다 좁은 내경을 갖는 통공을 이루고, 그 외면은 소정의 원주율을 갖는 원구형상으로부터 분할되는 둘 이상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지며, 각 조각편의 내면에는 밀착된 철근을 잡아주기 위한 걸림돌기가 구성되고, 그 하부로는 탄성수단의 상부에 얹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걸림부가 형성되는 철근고정편과,
    상기 가이드에 구성되는 캡결합부에 결합되며, 결합을 위하여 캡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수단과 철근고정편을 그 내측으로 게재시킬 수 있도록 통공되어 있으며, 캡결합부의 타측부로 형성된 철근의 주입구로부터 그 내측면이 소정의 원주율에 따라 점차 넓어지는 반구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고정편은 세 개의 고정편으로 이루어져 각 세 방향으로부터 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고정편은 각각의 고정편 사이가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둘 수 있도록 고정편의 크기를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고정편의 걸림돌기는 철근의 규격별 각 마디간 길이를 고려하여, 걸림돌기의 돌기부분 길이를 설정하고, 철근이 주입될 경우 철근의 진행이 용이하도록 철근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을 갖으며,
    걸림돌기와 걸림돌기간의 거리는 철근의 마디의 형상 및 폭에 따라 결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고정편은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그 중앙으로 철근의 진행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원형의 나사선 형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2020010006440U 2001-03-10 2001-03-10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200234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40U KR200234870Y1 (ko) 2001-03-10 2001-03-10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440U KR200234870Y1 (ko) 2001-03-10 2001-03-10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425A Division KR100372832B1 (ko) 2001-03-10 2001-03-10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870Y1 true KR200234870Y1 (ko) 2001-10-06

Family

ID=7309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440U KR200234870Y1 (ko) 2001-03-10 2001-03-10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8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035A (ko) 2015-10-02 2017-04-12 (주)백암이노베이션 쐐기형 철근 연결구
KR20170040038A (ko) 2015-10-02 2017-04-12 (주)백암이노베이션 타격식 철근 연결구
KR20170040037A (ko) 2015-10-02 2017-04-12 (주)백암이노베이션 클램프가 구성된 철근 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035A (ko) 2015-10-02 2017-04-12 (주)백암이노베이션 쐐기형 철근 연결구
KR20170040038A (ko) 2015-10-02 2017-04-12 (주)백암이노베이션 타격식 철근 연결구
KR20170040037A (ko) 2015-10-02 2017-04-12 (주)백암이노베이션 클램프가 구성된 철근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130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193033B1 (ko) 콘넥트 철근 커플러
KR101959076B1 (ko) 철근 커플러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KR200223657Y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102068303B1 (ko) 철근 커플러
KR100404425B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100372832B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200234870Y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20038291A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200257716Y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2167075B1 (ko) 순차 인서트 조립방식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102180951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20030079253A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KR102189193B1 (ko) 철근 커플러
KR100411242B1 (ko) 유니버셜 너트형 철근 연결 장치
KR10027274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KR200286102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390395Y1 (ko) 철근 커플러
KR20180032112A (ko) 철근 커플러
KR20200131163A (ko) 철근 커플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