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744Y1 - 벨트콘베어의자동식수세크리너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콘베어의자동식수세크리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744Y1
KR200234744Y1 KR2019960041215U KR19960041215U KR200234744Y1 KR 200234744 Y1 KR200234744 Y1 KR 200234744Y1 KR 2019960041215 U KR2019960041215 U KR 2019960041215U KR 19960041215 U KR19960041215 U KR 19960041215U KR 200234744 Y1 KR200234744 Y1 KR 200234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ter tank
return belt
return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219U (ko
Inventor
황명환
황대용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41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7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2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744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 현장에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종 원재료를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벨트 콘베어에서 이송 벨트가 원재료를 각 개소에 이송시킨후 다시 이송하기 위하여 연속 순환할 때, 원재료의 입자들이 리턴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채 리턴되면서 벨트 콘베어의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 콘베어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리턴 벨트의 폭방향으로 하부에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볼탑(11)이 설치되고 침전된 잔류물을 보조 헤드 슈트(12b)로 이송하기 위한 체인이 설치되는 부분을 구비한 물탱크(1)와; 리턴 벨트(15)를 물탱크의 물속에 잠기게 하도록 리턴 벨트 위에 설치된 푸쉬 롤러(2)와; 물탱크 위의 리턴 벨트 하 측에 설치되어 리턴 벨트 표면의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고무 크리너(3)와: 고무 크리너 전방의 리턴 벨트 하측에 설치되어 리턴 벨트 표면을 완전히 크리닝하기 위한 고무 코팅 롤러(14)와; 리턴 벨트 하부의 물탱크 외측에 설치된 하디 롤러(5)의 회전력을 스프로켓(6a,6b)과 체인(7)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되어 물탱크의 집적부에 모인 침전 잔류물을 콘베어 벨트 위로 운반하기 위해 작동되는 헤드 스프로켓(8) 및 테일 스프로켓(9), 이 스프로켓들(8,9) 사이에 장착된 다수의 버켓부(10a)를 구비한 스프로켓 체인(10)으로 이루어진 잔류물 이송기구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Description

벨트 콘베어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
본 고안은 산업 현장에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석탄, 철광석, 코크스, 슬래그 등을 비롯한 각종 원재료를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벨트 콘베어에 있어서 이송 벨트가 원재료를 각 개소에 이송시킨후 다시 원재료를 이송하기 위하여 연속 순환 복귀할 때, 원재료의 미세 입자들이 복귀하는 이송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리턴되면서 벨트 콘베어의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벨트 콘베어 (Belt Conveyor)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종 벨트 콘베어의 헤드 슈트(Head Chute) 내에는 리턴되는 고무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정식이나 이동식의 각종 형태의 크리너 장치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크리너 장치는 크리너의 마모와 고무 벨트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고, 고무 벨트가 이송되는 반면, 각종 크리너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잦은 교체 작업과 사후 관리에 많은 인력이 소요되었다.
특히, 이송 물질에 따라 고무 벨트 표면에 흠이 발생하여 크리너의 날부분과의 밀착 상태가 원활하지 못하고 잔류 물질이 크리너의 날부분과 이송 벨트 사이에 미세하게 끼인 상태를 형성하므로 미세 잔류물이 크리닝되지 않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원재료의 손실은 물론 각 부품의 조기 마모 및 잦은 교체와 많은 인력 소요로 원가 상승의 주요인이 되며 환경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종 벨트 콘베어에 의해 원재료를 이송한 다음 리턴되는 고무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잔류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자체 처리할 수 있도록 헤드 슈트의 전단에 고무 벨트의 표면을 물로 세척할 수 있도록 물탱크를 설치하고 수거된 잔류물을 자체 고무 벨트의 상부 또는 후공정의 고무 벨트로 이송되는 원재료와 같이 운송할 수 있도록 무동력으로 자체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벨트 콘베어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리턴 벨트의 폭방향으로 하부에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볼탑이 설치되고 침전된 잔류물을 보조 헤드 슈트로 이송하기 위한 체인이 설치되는 부분을 구비한 물탱크와; 리턴 벨트를 물탱크의 물속에 잠기게 하도록 리턴 벨트 위에 설치된 푸쉬 롤러와; 물탱크 위의 리턴 벨트 하측에 설치되어 리턴 벨트 표면의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고무 크리너와; 고무 크리너 전방의 리턴 벨트 하측에 설치되어 리턴 벨트 표면을 완전히 크리닝하기 위한 고무 코팅 롤러와; 리턴 벨트 하부의 물탱크 외측에 설치된 하디 롤러의 회전력을 스프로켓과 체인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되어 물탱크의 집적부에 모인 침전 잔류물을 콘베어 벨트 위로 운반하기 위해 작동되는 헤드 스프로켓 및 테일 스프로켓, 이 스프로켓들 사이에 장착된 다수의 버켓부를 구비한 스프로켓 체인으로 이루어진 잔류물 이송기구로 이루어진 벨트 콘베어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를 제공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콘베어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탱크 2 : 푸쉬 롤러
3 : 고무 크리너 5 : 하디 롤러
6a,6b : 체인 스프로켓 7 : 체인
8,9 : 콘베어 스프로켓 12a,12b : 헤드 슈트
14 : 고무코팅 롤러 15 : 리턴 벨트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벨트 콘베어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벨트 콘베어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가 도시되고 있는데, 본 고안의 장치는, 헤드 슈트(12a) 측의 리턴 고무 벨트(15)의 하부에 물탱크(1)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리턴 고무 벨트(15)의 표면이 물탱크(1) 내에 잠기도록 푸쉬롤러 (2)를 설치한다.
또한, 푸쉬 롤러(2)의 대향측 리턴되는 고무 벨트(15)의 하측에는 벨트 표면에 잔류한 부착물 및 물을 크리닝하도록 고무 크리너(3)를 설치하며, 마지막으로 물을 완전하게 크리닝하도록 고무 크리너(3)의 전방에 인접하게 고무 코팅 롤러(14)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거되어 물탱크(1)의 바닥에 모인 잔류물을 처리하기 위하며 물탱크(1)의 잔류물 집적부로부터 다른 콘베어 벨트(13b)로 운반하도록 콘베어 벨트(13b) 상부에 보조 헤드 슈트(12b)를 설치하고, 물탱크(1)의 잔류물 집적부와 보조 헤드 슈트(12b) 사이에 잔류물 이송용 스프로켓 체인(10)을 설치하는데, 물탱크(1)의 집적부에 양단부가 베어링 블록으로 고정된 축에 테일 스프로켓(9)을 설치하고 보조 헤드 슈트(12b) 상단 내측에도 베어링 블록으로 양단부가 고정된 축에 헤드 체인 스프로켓(8)을 설치하여 이양 스프로켓(8,9) 사이에 스프로 켓 체인(10)을 장착하도록 구성한다. 체인(10)에는 집적된 잔류물을 집적부로부터 보조 혜드 슈트로 이송시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켓부(10a)를 장착한다. 이러한 스프로켓들(8,9)과, 체인(10)이 잔류물 이송 기구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장치에서 체인(10)은 리턴 벨트(15) 하면에 설치된 물탱크(1) 와 측의 리턴 벨트(15) 하부에 설치된 하디 롤러(5)의 축을 베어링 블록을 개재하여 연장하도록 구성하여 이 연장축에 체인 스프로켓(6a)을 장착하며, 보조 헤드 슈트(12b) 측에 설치된 헤드 체인 스프로켓(8)의 구동축을 연장한 단부에도 스프로켓(6b)을 또한 설치하여, 이 스프로켓(6a,6b) 사이에 체인 스프로켓(7)을 장착하여 하디 롤러(5)의 구동력에 의해 체인(10)을 함께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물탱크(1)의 집적부에 침전된 잔류물을 처리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물탱크(1)에는 물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볼탑(Ball Top)(11)을 설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의 본 고안의 벨트 콘베어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벨트 콘베어의 이송 고무 벨트(13a)가 원재료를 목적하는 개소의 헤드 슈트(12a)에 이송하고 리턴되어 복귀하면서 물탱크(1)에 채워진 물에 원재료 수송 부분의 고무 벨트 표면이 잠겨지면서 표면에 부착된 잔류물이 물에 침전된다.
리턴 고무 벨트(15)가 물에 씻겨 나오면 다시 고무 크리너(3)에 의해 미세한 원재료 잔류물과 물이 크리닝되고 다시 고무 코팅 롤러(14)를 통과하면서 물과 잔류물이 완전히 제거된다.
이 제거된 잔류물은 침전되어 물탱크(1)의 잔류물 집적부로 모이면 리턴 고무 벨트(15) 하측에 설치된 하디 롤러(5)의 회전력에 의해 동시 회전 구동되는 스프로켓(8,9)과 체인(10)을 통해 버켓부(10a)로 잔류 침전되어 누적된 원재료를 보조 헤드 슈트(12b)로 이송하여 자체 이송 벨트나 후공정의 이송 벨트(13b) 위에 낙하하여 수송되는 원재료와 같이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침전된 잔류물을 다른 콘베어 벨트(13b) 위로 운반시켜 처리하는 실시예를 도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콘베어 벨트(13a)로 운반하여 처리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본 고안의 벨트 콘베어의 자동식 수세 크리너 장치에 의하면, 리턴 벨트의 표면에 잔류된 원재료 등이의 미세 잔류물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크리너 장치의 고장을 방지하고 고무 벨트의 표면을 항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 고무 벨트의 잦은 교체와 사후관리에 소요되던 비용이 절감 되어 원가 절감에 기여하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제거되는 등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리턴벨트(15)의 폭방향으로 하부에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볼탑(11)이 설치되고 침전된 잔류물을 보조 헤드슈트(12b)로 이송하기 위한 체인(10)이 설치 되는 부분을 구비한 물탱크(1)와; 상기 리턴벨트(15)를 물탱크(1)의 물속에 장기게 하도록 리턴벨트(15) 위에 설치된 푸쉬롤러(2)와; 물탱크(1) 위의 리턴벨트(15) 하측 에 설치되어 리턴벨트 표면의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고무크리너(3)와; 상기 고무 크리너(3) 전방의 리턴벨트(15) 하측에 설치되어 리턴벨트 표면을 완전히 크리닝하기 위한 고무코팅롤러(14)를 포함하여 구성된 벨트콘베어의 자동식 수세크리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1) 외측에 설치된 하디롤러(5)의 회전력을 스프로켓(6a,6b)과 체인(7)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되어 물탱크(1)의 집적부에 모인 침전 잔류물을 다른 콘베어벨트(13b) 위로 운반하도록 작동되는 헤드스프로켓(8) 및 테일스프로켓(9)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및 테일스프로켓(8,9)을 연결하며 그 일부에는 다수의 버켓부(10a)가 구비된 스프로켓체인(10)을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콘베어의 자동식 수세크리너 장치.
KR2019960041215U 1996-11-21 1996-11-21 벨트콘베어의자동식수세크리너장치 KR200234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215U KR200234744Y1 (ko) 1996-11-21 1996-11-21 벨트콘베어의자동식수세크리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215U KR200234744Y1 (ko) 1996-11-21 1996-11-21 벨트콘베어의자동식수세크리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219U KR19980028219U (ko) 1998-08-05
KR200234744Y1 true KR200234744Y1 (ko) 2001-11-22

Family

ID=5398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215U KR200234744Y1 (ko) 1996-11-21 1996-11-21 벨트콘베어의자동식수세크리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7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45B1 (ko) * 2006-12-27 2007-08-10 장원에스엠 주식회사 산적화물 회수장치
KR101388009B1 (ko) 2012-03-29 2014-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45B1 (ko) * 2006-12-27 2007-08-10 장원에스엠 주식회사 산적화물 회수장치
KR101388009B1 (ko) 2012-03-29 2014-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219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854B1 (ko) 컨베이어벨트용 클리닝장치
US5355992A (en) Belt cleaning apparatus
US4489823A (en) Scraper blade for a belt conveyor
KR101639340B1 (ko) 컨베이어 벨트 클린장치
KR200234744Y1 (ko) 벨트콘베어의자동식수세크리너장치
KR100825575B1 (ko) 컨베이어벨트 배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79268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이물질 스크랩핑 장치
KR20090021668A (ko) 컨베이어 벨트의 세척장치
KR200390604Y1 (ko)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용 컨베이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3261213A (ja)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US3414116A (en) Conveyor scraper means
US3891558A (en) Oil and debris removal unit
JPH10147420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の洗浄装置
KR20190001589U (ko) 컨베이어용 부착물 제거장치
US4155442A (en) Rotary devices for cleaning conveyor belts
CN213568184U (zh) 一种皮带机刮板清理装置
CN214166375U (zh) 沥青站的皮带运输机和沥青站
JP4224245B2 (ja) エプロンフィーダ
KR10207630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
KR20020048158A (ko) 전로의 폐열을 이용한 벨트컨베이어의 클리닝장치
CN210064310U (zh) 一种尾部滚筒清扫装置
JP3647101B2 (ja) 砂ごみ分離搬出装置
SU12343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ленты конвейера
JP2002248492A (ja) 沈砂及びし渣の処理装置
KR100905110B1 (ko) 벨트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따라 자동탈착이 가능한클리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