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705Y1 - 디스플레이장치의전계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전계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705Y1
KR200234705Y1 KR2019980009622U KR19980009622U KR200234705Y1 KR 200234705 Y1 KR200234705 Y1 KR 200234705Y1 KR 2019980009622 U KR2019980009622 U KR 2019980009622U KR 19980009622 U KR19980009622 U KR 19980009622U KR 200234705 Y1 KR200234705 Y1 KR 200234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sensor
reverse
pulse sensor
reverse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272U (ko
Inventor
기 협 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9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70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70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CRT 전면 외곽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일단이 접지된 전도성 재질의 메탈플레이트와, 상기 메탈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 절연 접착제로 부착되고 그 외면으로 절연테이프로 밴딩되어 상기 CRT의 편향요크에 인가되는 펄스와 동일 주파수 대역의 역위상 펄스를 확산시키는 동판의 역펄스센서와, 상기 역펄스센서에 역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펄스센서는 일단에 형성되는 센서와이어와 접속되는 솔더링부와, 초박형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동판 외면 전체에 얇은 두께로 피복부재를 코팅 처리한 슬림형 역펄스센서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어서 최근 CRT의 평면화 추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론트 케이스 전면부에 대한 제품 디자인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역펄스센서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므로서 제조 단가를 줄이도록 하고 전계 제거 기능의 성능을 안정화시켜 균일한 품질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전계 제거 장치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RT의 외곽으로 방출되는 전계 유해파 성분을 상쇄시키기 위해 프론트케이스와 CRT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메탈플레이트의 후면 일측에 부착되는 역펄스센서의 두께를 슬림화한 구조로 개선하여 제품 디자인의 변화를 주도록 하면서도 균일한 품질화와 대량 생산화에 따른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사용자들이 전자제품(예를 들어 TV, 컴퓨터등)에서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자 국제적으로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각 국에서 EMI 규격에 적합한 제품의 생산을 위한 EMI 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CRT에서 방출되는 전계와 자계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게 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의 규제 기관이 활동하고 있다.
이와같이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자계와 전계의 발생 요인으로는 자계는 편향코일에 걸리는 전압에 그 원인이 있으며, 전계는 애노드에 걸리는 전압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두가지 방법 중에서 자계는 CRT의 전자총에 부착되는 편향 코일의 보정 및 편향 코일에 별도의 캔슬링 코일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는데 반하여, 애노드에 걸리는 전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계는 차폐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전계의 차폐 방법(예를들면 CRT의 전면에 특수필터를 부착시키는 방법, CRT의 코팅 저항 값을 최대한 낮추는 방법등)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었으나, 차폐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문제와 함께 제조공정의 복잡성과 생산성이 떨어져서 가격 경쟁력에 뒤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면서도 차폐 효과가 양호한 전계 제거 장치가 선행기술로 개시된바 있다. 선행 기술로 개시된 것은 한국 특허등록출원 제96-720호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25526호가 있다.
상기 전계 제거장치의 기술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첫 번째로서, CRT의 외곽으로 방출되는 전계 유해파 성분을 감쇄 시키기 위해 프론트 케이스와 CRT의 조립 시에 형성되는 공간(D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CRT의 전면 외곽부를 감싸도록 사각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이 접지 된 전도성 재질의 메탈 플레이트에 의한 방법이 있다.
그리고, 두 번째로서 CRT의 전면부로 방출되는 전계 유해파 성분을 감쇄 시키기 위해 상기 메탈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간(D1)에 설치되어 CRT의 수평 편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펄스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역위상 펄스를 CRT 전면부에 확산시키는 얇은 동판으로 이루어진 역펄스 센서를 이용한 것이 있으며, 상기 역펄스 센서에는 CRT의 수평 편향 출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역펄스를 전달하는 센서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한편, 세 번째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필터나 특수 코팅 처리하여 표면 저항 값을 낮추는 기술의 도입 없이도 일반적인 멀티레이어 코팅 처리된 CRT(1)을 사용하여 상기 CRT(1)의 외곽부(1a)와 전면부(1b)의 전계를 모두 효과적으로 제거시키는 방안으로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2)의 소정 위치에 상기 역펄스 센서(3)를 부착하여 구성 하므로서 전계 유해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전계 제거 장치의 기술 중에서 세 번째의 경우에는 실제 제품에 적용했을 경우 상기 메탈 플레이트(2)의 상단부 배면에 센서 와이어(4)가 연결된 상태의 역펄스 센서(3)를 양면테이프 등의 절연접착제(5)로서 접착을 시킨 다음 역펄스 센서(3)의 노출된 부분과 솔더링부(3a)의 절연을 위해 다시 절연테이프(6)로서 밴딩 처리한 후 상기 메탈 플레이트(2)를 프론트 케이스(7)의 배면에 장착시켰다.
이에 따라 상당한 두께를 갖게 되는 전계 제거 장치를 상기 프론트케이스(7)와 CRT(1)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는데에 따른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근 CRT의 평면화 추세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7)의 전면부(7a)를 컴팩트하게 디자인 하는데 제약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전계 제거 장치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조립 작업이 수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게 되므로서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역펄스 센서(3)로 쓰이는 매우 얇은 두께의 동판을 수작업으로 취급하는 과정에 있어 그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로 인하여 센서 기능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서 전계 제거 장치의 기능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역펄스 센서의 두께를 슬림화 한 구조로 개선하여 최근 CRT의 평면화 추세에 대응하는 제품 디자인의 변화를 주도록 함은 물론 균일한 품질화와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므로서 제조 단가를 줄이도록 하고 전계 제거 기능의 성능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계 제거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계 제거 장치에 있어서, 역펄스 센서는 일단에 형성되는 센서와이어와 접속되는 솔더링부와, 초박형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동판 외면 전체에 얇은 두께로 피복부재를 코팅 처리한 슬림형 역펄스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계 제거 장치를 제공 한다.
도 1는 종래의 전계 제거 장치에 따른 설치 상태를 보이는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전계 제거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계 제거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계 제거 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요부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CRT(음극선관) 12 : 프론트 케이스
13 : 메탈플레이트 20 : 역펄스 센서
21 : 동판 22 : 피복부재
23 : 절연접착제 24 : 솔더링부
25 : 센서와이어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전계 제거 장치는 CRT(11)과 프론트케이스(12)의 조립 시에 형성되는 공간(D2)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CRT(11)의 전면 외곽부(11a)를 감쌀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메탈 플레이트(13)를 포함한다.
상기 메탈 플레이트(13)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그라운드로 접지하기 위한 접지와이어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메탈 플레이트(13)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의 배면 테두리부에 장착되도록 사각 창문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메탈 플레이트(13)의 소정 부위 즉, 상단 일측에는 CRT(11)의 수평 편향 출력 펄스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역위상 펄스를 CRT(11) 전면 주변에 확산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슬림형 역펄스 센서(20)가 구성된다.
상기 슬림형 역펄스 센서(20)는 초박형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동판(21)에 플렉시블 PCB 형태의 절연구조를 가지도록 외면 전체에 피복부재(22)가 얇은 두께로서 코팅 처리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초박형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슬림형 역펄스 센서(20)는 플렉시블 PCB 제조 공정에 따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며, 동판(21) 전체가 피복부재(22)에 의해 절연 처리 된 상태에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3)에 양면테이프 등의 절연접착제(23)로 접착 되므로서 절연 처리가 완벽하게 되어 조립 과정에 있어 취급이 용이해져 작업성을 좋게 해줄 뿐 아니라 전계 제거 기능을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서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림형 역펄스 센서(20)는 도면에 표현된 비례적인 두께보다 실제 두께가 매우 얇은 초박형의 두께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양면테이프로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13)에 접착된 상태에서의 총 두께가 대략 1㎜이상을 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두께가 상당히 얇아져서 상기 CRT(11)와 프론트케이스(12) 사이의 협소한 공간(D2)으로 충분히 장착할 수 있게 되고, 최근 들어 CRT의 전면부(11b)가 평면화 추세로 가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디자인 변화 중에서 특히 프론트 케이스(12) 전면부(12a)의 디자인을 콤팩트 하게 디자인 하는데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림형 역펄스 센서(20)의 일단에는 내부의 상기 동판(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솔더링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솔더링부(24)에는 상기 CRT(11)의 수평 편향 출력부로부터 역위상 펄스를 상기 슬림형 역펄스 센서(20)에 전달하기 위한 센서와이어(25)가 코킹 또는 솔더링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메탈 플레이트(13)는 CRT(11)의 주변으로 확산되는 펄스를 흡수하여 그라운드로 접지 된 접지와이어선(미도시)을 통해 제거 된다.
또한, CRT(11) 내부의 수평 편향 출력부에서 발생되는 펄스와 동일한 주파수대역의 역위상 펄스를 상기 센서와이어(25)를 통해 검출해 낸다.
상기 센서 와이어(25)에 의해 검출된 역위상 펄스는 그 끝단에 연결된 상기 슬림형 역펄스 센서(20)에 전달되어 CRT(11) 전면부(11b) 주변 전체로 확산 된다.
이때, 상기 역펄스 센서(20)로부터 확산되는 펄스는 CRT(11)의 애노드단(14)에 공급되는 펄스에 대해 역위상을 가지므로 두 펄스가 서로 상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부에 나타나는 전계가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계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펄스 센서가 동판의 외면전체에 피복부재를 초박형으로 코팅 처리하여 플렉시블 PCB형으로 구성되므로서 역펄스 센서의 두께를 슬림화시켜 메탈 플레이트에 부착시켜서 CRT와 프론트 케이스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도 충분한 여유를 가지도록 장착시킬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최근 CRT의 평면화 추세에 대응하는 제품 디자인을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균일한 품질화와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므로서 제조 단가를 줄이도록 하고 전계 제거 기능의 성능을 안정화시켜 균일한 품질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CRT 전면 외곽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일단이 접지된 전도성 재질의 메탈플레이트와, 상기 메탈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 절연 접착제로 부착되고 그 외면으로 절연테이프로 밴딩되어 상기 CRT의 편향요크에 인가되는 펄스와 동일 주파수 대역의 역위상 펄스를 확산시키는 동판 재질의 역펄스센서와, 상기 역펄스센서에 역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계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펄스센서는 일단에 형성되는 센서와이어와 접속되는 솔더링부와, 초박형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동판 외면 전체에 얇은 두께로 피복부재를 코팅 처리한 슬림형 역펄스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계제거장치.
KR2019980009622U 1998-06-05 1998-06-05 디스플레이장치의전계제거장치 KR200234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22U KR200234705Y1 (ko) 1998-06-05 1998-06-05 디스플레이장치의전계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22U KR200234705Y1 (ko) 1998-06-05 1998-06-05 디스플레이장치의전계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72U KR20000000272U (ko) 2000-01-15
KR200234705Y1 true KR200234705Y1 (ko) 2001-10-25

Family

ID=6951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622U KR200234705Y1 (ko) 1998-06-05 1998-06-05 디스플레이장치의전계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7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72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672B1 (ko) 쉴드 캔용 고정 장치
KR20050014756A (ko) 노이즈 차폐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20646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6252159B1 (en) EMI/RFI and vibration resistant electronics enclosure
CA2038281C (en) Crt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reducing means
KR200234705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전계제거장치
KR970001779Y1 (ko) 전자파 시일드(shield)형 회로 유니트
JPH05205661A (ja) Crt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216581A (ja) 電子機器用シ―ルド筐体
JPH10163669A (ja) シールド部材
JPH0222558B2 (ko)
JPH0513981A (ja) 陰極線管デイスプレイ装置
US6188017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apparatus
JPH0625993Y2 (ja) シールドケース
KR200155997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계 제거 장치
JPH08298391A (ja) 電子機器の電磁シールド構造
KR013955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계 제거 장치
EP2208408B1 (en) Tuner housing
JPH09233358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電界除去装置
KR970002143B1 (ko) 화상표시장치의 차폐기구
JP3619051B2 (ja) 映像表示装置
JPH0951192A (ja) 基板のシールド方法
KR200179593Y1 (ko) 음극선관의 누설전자계 차폐장치
KR20000056198A (ko) 쉴드커버
JPH02297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