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450Y1 - 고정볼트의록킹장치 - Google Patents

고정볼트의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450Y1
KR200234450Y1 KR2019980009125U KR19980009125U KR200234450Y1 KR 200234450 Y1 KR200234450 Y1 KR 200234450Y1 KR 2019980009125 U KR2019980009125 U KR 2019980009125U KR 19980009125 U KR19980009125 U KR 19980009125U KR 200234450 Y1 KR200234450 Y1 KR 200234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ocking device
fixing
horizontal bar
fixe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030U (ko
Inventor
오흥삼
Original Assignee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국
Priority to KR2019980009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450Y1/ko
Publication of KR19990042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450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너 실 클램프(cono seal clamp) 고정볼트의 헤드부에 체결가능한 소켓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바로 록킹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소의 설비(13)에 장착된 고정볼트(1,2)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11,12)의 헤드부(14)를 끼울 수 있는 다수의 소켓부(21,22)들과, 상기 소켓부(21,22)들의 사각 형상의 상부 내경(24)에 삽입되는 하부(32)에서 연장하는 원형링 형상의 상부에 결합구(31)가 형성된 다수의 수직바(30)들과, 상기 수직바(30)들의 결합구(31)에 관통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21,22)들과 상기 수직바(30)들을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하는 수평바(4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40)에는 상기 수직바(30)의 결합구(31)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 쪽 단부에 핀(19)을 결합시키는 핀구멍(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 단부에 헤드부(41,41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수평바(40)의 헤드부(41a)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51)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쪽 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걸쇠부(52)가 형성된 어댑터바(50)는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설비(13)의 측면(18)에서 상기 소켓부(21,22)들과 상기 수직바(30)들과 상기 수평바(40)를 이탈시키지 않게 부가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정볼트의 록킹장치
본 고안은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코노 실 클램프(cono seal clamp)에 체결된 고정볼트의 헤드부에 삽입가능한 소켓(socket)과 다수의 고정바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볼트의 분해결합시에 수행되는 록킹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는 터빈 발전기 요구에 따른 증기공급을 위한 원자로 출력제어와 핵증기 공급계통을 안전하고, 신뢰성있으며, 경제적으로 운전하기 위해 계측 및 제어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계측 및 제어설비중에는 노심 전체의 출력분포를 알기 위한 노심 계측 설비가 있다. 이런 노심 계측 설비는 지정된 노심위치에서의 중성자속 분포와 연료 집합체 출구측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런 노내 계측 설비중에는 지정된 위치에서 연료 집합체 출구측 냉각재 온도를 측정하며 노심의 반경 방향 출력분포와 노냉각재 엔탈피 분포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열전대(thermocouple)가 있다. 이런 열전대는 노심의 내부에 40개 정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런 열전대를 밀봉하기 위해서 코노 실 클램프(cono seal clamp)가 사용된다.
코노 실 클램프의 분해 및 조립작업은 원자력발전소의 계획예방정비기간 내에 수행되는 중요한 정비항목으로서, 노심 계측 열전대 입구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자로 헤드 벽측에 있는 코노 실 클램프를 고정볼트로 체결하는 작업이다. 이런 코노 실 클램프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들은 안전상 록킹되어 있다.
이렇게 안전상 록킹된 고정볼트들은 기계진동에 의한 고정볼트의 풀림방지 목적으로서, 엔진, 항공기, 터빈등과 같은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기계설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코노 실 분해 및 조립작업시에 사용되는 고정볼트 록킹방법은 도 1a 및 도 1b에 보이듯이 병렬로 배치된 고정볼트를 와이어로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고정볼트(1,2)들의 원주면에는 와이어(3)가 삽입가능한 구멍(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고정볼트(1,2)들의 구멍(4,5)에 와이어(3)가 삽입되어 있다. 이렇게 삽입된 와이어(3)는 고정볼트(1,2) 두개를 한조로 하여 서로 연결하며, 이런 와이어(3)의 중간부위를 와이어 트위스터(wire twister)와 같은 소정의 공구로 비틀어 돌려서 고정볼트(1,2)들이 서로 풀리지 않게 된다.또한, 동일한 체결방법으로 다수개의 고정볼트들을 서로 엮어서 움직이지 않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볼트 록킹방법은 고정볼트들을 와이어로 꼬아서 록킹시키기 때문에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비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노심하부에 배치된 코노 실 고정볼트의 록킹작업은 방사능 피폭량이 많고, 장소가 협소한 작업여건 속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수십개나 되는 고정볼트들을 일일이 와이어로 록킹작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 대중에 대한 국제 방사선방어 위원회의 방사선 피폭 규정치의 최대 허용 피폭선량이 50 mRem/일 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피폭량에 의한 피해를 최소한 하기 위해서 다수의 작업자가 코노 실 고정볼트의 록킹작업에 투여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코너 실 클램프의 고정볼트의 헤드부에 체결가능한 소켓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바로 록킹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볼트의 록킹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단한 저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 : 고정볼트 19 : 핀
21,22 : 소켓 30 : 수직바
40 : 수평바 50 : 어댑터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소의 설비에 장착된 고정볼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부를 끼울 수 있는 다수의 소켓부들과, 상기 소켓부들의 사각 형상의 상부 내경에 삽입되는 하부에서 연장하는 원형링 형상의 상부에 결합구가 형성된 다수의 수직바들과, 상기 수직바들의 결합구에 관통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들과 상기 수직바들을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평바에는 상기 수직바의 결합구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 쪽 단부에 핀을 결합시킬 수 있는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며, 다른 쪽 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설비의 측면에서 상기 소켓부들과 상기 수직바들과 상기 수평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바의 헤드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쪽 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걸쇠부가 형성된 어댑터바가 부가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록킹장치는 원자력발전소에서 고정볼트(11,12)들이 하방향으로 결합된 코너 실 클램프(13)의 수평한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두개의 고정볼트(11,12)의 상방향에는 본 고안의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두개의 소켓부(21,22)의 하부 내경(23)이 상기 고정볼트(11,12)의 헤드부(14)를 감싸게 배치되어 있다. 이런 소켓부(21,22)의 상부 내경(24)에는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구(31)가 형성된 두개의 수직바(3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런 두개의 수직바(30)의 각각의 결합구(31)에는 수평바(40)가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본 고안의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소켓부(21,22)는 통상적인 볼트를 풀고 조이는데 사용하는 일반적인 소켓 렌치용 소켓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소켓부(21,22)는 원자력 발전소의 코너 실 클램프(13)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1,12)의 헤드부(14)와 통상적인 다양 다종류의 볼트의 헤드부에 체결가능한 하부 내경(23)과 상기 소켓 렌치의 결합부위가 삽입가능한 정사각 형상의 상부 내경(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바(30)의 하부(32)는 이런 소켓부(21,22)의 상부 내경(24)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가능하게 정사각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하부(32)와 연장하는 상부는 결합구(31)가 형성된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바(40)는 상기 수직바(30)의 결합구(31)에 관통하게 삽입가능한 직경의 몸체부의 한 쪽의 끝단부에 턱이 형성된 헤드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끝단부에 분할핀(19)의 결합이 가능한 핀구멍(42)이 지름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소켓부(21,22)의 상부 내경(24)에는 수직바(30)의 정사각 단면의 하부(32)가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되며, 또한, 각각의 소켓부(21,22)가 회전하지 않게, 각각의 수직바(30)의 결합구(31)에는 수평바(40)가 관통하게 삽입된다. 또한, 이런 수평바(40)가 상기 결합구에서 빠지지 않게 수평바(40)의 핀구멍(42)에는 분할핀(19)이 결합된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장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코너 실 클램프(13)에 체결된 고정볼트(11,12)들의 헤드부(14)를 감싸게 끼워넣은 두개를 한쌍으로 하는 소켓부(21,22)에 수직바(30)의 하부(32)를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고정볼트(11,12)를 록킹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수직바(30)의 결합구(31)들이 수평선상에서 관통하게 일치시킨 후에 수평바(40)를 각각의 수직바(30)의 결합구(31)에 삽입한다. 또한 수평바(40)가 수직바(30)의 결합구(31)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분할핀(19)을 수평바(40)의 하부에 형성된 핀구멍(42)에 핀결합한다. 이렇게 간단한 설치방법으로 설치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록킹장치는 코너 실 클램프(13)에 결합된 고정볼트(11,12)들을 회전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 각각의 고정볼트(11,12)들을 수평바(40)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11,12)들이 록킹된다.
<제2실시예>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실 클램프의 측면에 결합된 고정볼트들을 록킹시키기 위한 소켓들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평바와 어댑터바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내지 도 5까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소정부위를 절단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장착방법을 설명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11,12)의 록킹장치는 원자력발전소에서 고정볼트(11,12)들이 체결된 코너 실 클램프(13)의 측면(18)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런 측면(18)에 배치된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소켓부(22)에 결합된 수직바(30)의 각각의 결합구(31)에는 너트형상의 헤드부(41a)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평바(4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런 수평바(40)의 헤드부(41a)의 내경에는 한 쪽의 단부가 나사결합된 어댑터바(50)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수평바(40)의 너트형상의 헤드부(41a)는 코너 실 클램프(13)의 측면(18)에 체결된 고정볼트(11,12)의 헤드부(14)를 덮고있는 소켓부(21,22)들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어댑터바(50)를 지지하도록 어댑터바(50)의 한 쪽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51)에 대응한 내경을 갖는다.
또한, 이런 어댑터바(50)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상기 코너 실 클램프(13)의 소정부위의 턱(17)에 걸릴 수 있게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걸쇠부(5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수평바(40)는 각각의 소켓부(21,22)가 회전하지 않도록 삽입된 수직바(30)의 결합구(31)를 각각 관통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렇게 관통한 수평바(40)의 끝단부에는 이런 수평바(40)가 수직바(30)의 결합구(31)에서 빠지지 않게 수평바(40)에 분할핀(19)이 핀결합된다. 또한, 이런 수평바(40)의 헤드부(41a)의 내경에는 소켓부(21,22)와 수직바(30) 및 수평바(40)가 고정볼트(11,12)에서 이탈하지 않게 어댑터바(50)의 나사산(51)이 형성된 단부가 나사결합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의 장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일직선상에 결합구(31)를 일치시킨 수직바(30)들이 각각 삽입된 소켓부(21,22)를 코너 실 클램프(13)의 측면(18)에 체결된 고정볼트(11,12)의 헤드부(14)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어댑터바(50)를 수평바(40)의 너트형상의 헤드부(41a)에서 나사회전시켜서 상기 어댑터바(50)의 걸쇠부(52)를 코너 실 클램프(13)의 소정위치의 턱(17)에 걸 수 있게 어댑터바(50)의 축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어댑터바(50)와 수평바(40)는 "ㄷ"자 형상을 이루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수평바(40)가 수직바(30)의 결합구(31)들에 관통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어댑터바(50)의 걸쇠부(52)가 코너 실 클램프(13)의 턱(17)에 걸리게 된다. 또한, 분할핀(19)를 수평바(40)에 체결하여 고정볼트(11,12)를 록킹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어댑터바(50)에 의해서 장착된 소켓부(21,22)와 수직바(30)와 수평바(40)는 코너 실 클램프(13)의 측면(18)에 수직한방향으로 체결된 고정볼트(11,12)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볼트의 록킹장치는 단순히 고정볼트의 헤드에 소켓을 끼우고, 이런 소켓들을 수직바와 수평바로 회전시키지 않게 체결하기 때문에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쉽고 빠르며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볼트의 록킹장치는 통상적인 소켓 렌치용 소켓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장비의 고정볼트들에도 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볼트의 록킹장치는 사용방법이 매우 간단하므로 짧은 시간내에 다수의 고정볼트들이 장착된 원자력 발전소의 코너 실 작업에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되므로써,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원자력발전소의 설비(13)에 장착된 고정볼트(1,2)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11,12)의 헤드부(14)를 끼울 수 있는 다수의 소켓부(21,22)들과, 상기 소켓부(21,22)들의 사각 형상의 상부 내경(24)에 삽입되는 하부(32)에서 연장하는 원형링 형상의 상부에 결합구(31)가 형성된 다수의 수직바(30)들과, 상기 수직바(30)들의 결합구(31)에 관통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켓부(21,22)들과 상기 수직바(30)들을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하는 수평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40)에는 상기 수직바(30)의 결합구(31)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 쪽 단부에 핀(19)을 결합시키는 핀구멍(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 단부에 헤드부(41,4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설비(13)의 측면(18)에서 상기 소켓부(21,22)들과 상기 수직바(30)들과 상기 수평바(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바(40)의 헤드부(41a)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5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쪽 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걸쇠부(52)가 형성된 어댑터바(50)가 부가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볼트의 록킹장치.
KR2019980009125U 1998-05-29 1998-05-29 고정볼트의록킹장치 KR200234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125U KR200234450Y1 (ko) 1998-05-29 1998-05-29 고정볼트의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125U KR200234450Y1 (ko) 1998-05-29 1998-05-29 고정볼트의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30U KR19990042030U (ko) 1999-12-27
KR200234450Y1 true KR200234450Y1 (ko) 2001-10-25

Family

ID=6951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125U KR200234450Y1 (ko) 1998-05-29 1998-05-29 고정볼트의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4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30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5771A (en) Reactor core shroud repair using splice plate to bridge weld seam
US6783101B2 (en) Clamp for securing multiple, spaced-apart tubes
TWI404079B (zh) 爐心噴灑用噴灑器t型盒附裝組件
US85481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jet pump line support
JPH076537B2 (ja) 支持ピン装置
US20080031395A1 (en) Core spr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KR200234450Y1 (ko) 고정볼트의록킹장치
MX2007012424A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reparacion de soldadura de difusor de bomba de chorro.
JPH01217295A (ja) 原子炉用の案内ピン組立体
TWI536395B (zh) 固夾噴射泵感測線支撐器之方法及裝置
EP1241679B1 (en) Upper T-box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core spray system
US6195892B1 (en) Method for replacing cracked core spray supply piping in a boiling water reactor
EP2128504B1 (en) System for dampening the vibration experienced by a line
EP2097664B1 (en) A mechanical assembly for secur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a pipe joint
JPH0643287A (ja) セグメント状計装管
JPH0210298A (ja) 制御棒スパイダ組立体
MX2008009537A (es) Ensambles de abrazadera de caja-t de aspensor de rocio central y metodos para utilizar los mismos.
JP4444411B2 (ja) 原子炉容器への炉心スプレー上部tボックスの取付
JP5785982B2 (ja) 機械的な接続器および方法
US200900601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utting off an orifice of a bundle wrapper of a steam generator of a pressurized-water nuclear reactor
US11014114B2 (en) Feedwater sparger repair
KR100317234B1 (ko) 원자로용스터드볼트체결부보호장치
KR200310000Y1 (ko) 가스터빈의 온도감지장치
KR200224105Y1 (ko) 볼트의신장량조정용각도기
JPS5814093A (ja) リテ−ナ用ボルト遠隔取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