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063Y1 - 교통 신호등용 렌즈 - Google Patents

교통 신호등용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063Y1
KR200234063Y1 KR2020010007181U KR20010007181U KR200234063Y1 KR 200234063 Y1 KR200234063 Y1 KR 200234063Y1 KR 2020010007181 U KR2020010007181 U KR 2020010007181U KR 20010007181 U KR20010007181 U KR 20010007181U KR 200234063 Y1 KR200234063 Y1 KR 200234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outside
traffic light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교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7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063Y1/ko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고안은 교통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등 렌즈의 이면부에 다수개의 제1오목면들을 형성하여 조명등에서 조사되어 외부로 나가는 빛은 확산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반면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모아서 반사가 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다수개의 제1오목면들 사이에는 다수개의 돌출편들을 형성하여 상기 제1오목면과 제1오목면 사이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빛을 하향 굴절시키는 동시에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신호등 내부의 하측으로 굴절시켜 신호등의 렌즈를 보는 운전자에게 선명한 점등 상태를 나타나 보이도록 된 교통 신호등용 렌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 신호등용 렌즈{LENS FOR SIGNAL LAMP}
본고안은 교통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등 렌즈의 이면부에 다수개의 제1오목면들을 형성하여 조명등에서 조사되어 외부로 나가는 빛은 확산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반면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모아서 반사가 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다수개의 제1오목면들 사이에는 다수개의 돌출편들을 형성하여 상기 제1오목면과 제1오목면 사이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빛을 하향 굴절시키는 동시에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신호등 내부의 하측으로 굴절시켜 신호등의 렌즈를 보는 운전자에게 선명한 점등 상태를 나타나 보이도록 된 교통 신호등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통 신호등의 구성은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 및 조명등의 빛을 외부로 조사하여 신호를 기다리는 자동차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렌즈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 렌즈의 구성은 평면상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빛을 확산시키기 위해 요철부를 형성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신호등 렌즈는 조명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데 역점을 두었을뿐 외부의 태양 광선이 렌즈를 통해 신호등으로 유입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이 없었다.
즉, 상기 태양 광선이 렌즈를 통해 신호등 내부로 유입되면 신호등 내부에 장착된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면서 다시 렌즈로 조사되어 외부로 확산되기 때문에 빛의 산란이 불규칙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환영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의 신호등을 보고 있는 운전자들에게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되는 문제점과 선명한 신호등의 불빛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조명등에서 조사되어 외부로 나가는 빛은 확산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반면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모아서 반사가 되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 나가는 빛을 하향 굴절시켜 신호등의 렌즈를 보는 운전자에게 선명한 점등 상태를 나타나 보이도록 하고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신호등 내부의 하측으로 굴절시켜 역반사에 다른 환영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신호등 렌즈의 이면부에 다수개의 제1오목면들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제1오목면들 사이에는 다수개의 돌출편들을 형성시키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고안 교통 신호등용 렌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고안 교통 신호등용 렌즈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고안 교통 신호등용 렌즈의 구성을 나타낸 렌즈의 단면도
도4는 본고안 교통 신호등 렌즈의 요부를 확대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5는 본고안 교통 신호등 렌즈의 요부를 확대해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렌즈 102-표면부
103-이면부 104-제1오목면
105-돌출편 106-제2오목면
107-경사면
본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명등에서 조사되어 외부로 나가는 빛은 확산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반면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모아서 반사가 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신호등(111) 렌즈(101)의 이면부(10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오목면(104)과,
상기 제1오목면(104)과 제1오목면(104)사이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빛을 하향 굴절시키는 동시에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신호등(111)내부의 하측으로 굴절시켜 신호등(111)의 렌즈(101)를 보는 운전자에게 선명한 점등 상태를 나타나 보이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제1오목면(104)들 사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편(106)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105)의 굴절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개의 돌출편(105)에 형성되는 경사면(107)을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돌출편(105)을 통해 외부로 나가는 빛은 확산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반면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모아서 반사가 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돌출편(105)표면에 형성되는 제2오목면(106)을 더 구비하였다.그리고, 상기 제1오목면(104)들과 돌출편(105)들을 상호 교호로 여러쌍을 형성하여 렌즈(101)의 이면부(103)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도록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고안의 렌즈(101)는 통상의 조명등과 반사경(도시안됨)이 내장되어 있는 신호등(111)의 전면으로 도3과 같이 결합되어 사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에서 조사된 빛과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는 빛은 모두 렌즈(101)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렌즈(101)를 통과하는 빛은 렌즈(101)의 이면부(103)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오목면(104)을 통과하면서 수평적으로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확산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오목면(104)들 사이로 형성되는 돌출편(105)의 제2오목면 (106)을 빛이 통과할 때에도 수평적으로 확산되면서 외부로 조사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제1오목면(104)과 돌출편(105)의 제2오목면(106)으로 외부의 태양 광선이 조사되어 들어올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렌즈(101)를 통과하여 유입된 태양광선은 렌즈(101)의 이면부 (103)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오목면(104)을 통과하면서 모아지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오목면(104)들 사이로 형성되는 돌출편(105)의 제2오목면 (106)을 통과하는 태양광선도 신호등(111)의 내부로 모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등(111)내부로 모아지면서 유입된 태양광선은 반사경으로 반사되지 못하거나 미미하게 반사되어지므로 우수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편(105)은 경사면(107)에 의해 상측부와 하측부의 두께가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상기 경사면(107)을 통해 조면등 및 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불빛이 통과시 빛의 굴절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매질이 두꺼운쪽으로 굴절이 일어나는 빛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함으로서 상기의 경사면을 빛이 통과하면서 약 2-5°의 하향 굴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등(111)이 높이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빛을 하향 굴절 시켜 하측 방향으로 도4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신호등 (111)의 렌즈(101)를 보는 운전자에게 선명한 점등 상태를 나타나 보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렌즈(101)에 형성된 돌출편(105)의 경사면(107)으로 외부의 태양 광선이 통과하여 신호등(111)내부로 유입될 경우에는 도4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두께가 얇은쪽의 경사면 (107)을 통과시에는 빛의 굴절이 적게 되고 두께가 두꺼운쪽의 경사면(107)을 통과시에는 빛의 굴절이 많이 되면서 신호등(111)내부의하측방향으로 조사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신호등(111)내부의 하측으로 굴절되어지기 때문에 역반사에 다른 환영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오목면(104)들과 돌출편(105)들을 상호 교호로 여러쌍을 형성하여 렌즈(101)의 이면부(103)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도록 구비하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작용이 렌즈(101)의 전면적에서 균일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신호등 렌즈의 이면부에 다수개의 제1오목면들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제1오목면들 사이에는 다수개의 돌출편들을 형성시킴으로서,
조명등에서 조사되어 외부로 나가는 빛은 확산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반면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모아서 반사가 되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 나가는 빛을 하향 굴절시켜 신호등의 렌즈를 보는 운전자에게 선명한 점등 상태를 나타나 보이도록 하고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신호등 내부의 하측으로 굴절시켜 역반사에 다른 환영의 발생등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조명등에서 조사되어 외부로 나가는 빛은 확산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반면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모아서 반사가 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신호등(111) 렌즈(101)의 이면부(10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오목면(104)과,
    상기 제1오목면(104)과 제1오목면(104)사이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빛을 하향 굴절시키는 동시에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신호등(111)내부의 하측으로 굴절시켜 신호등(111)의 렌즈(101)를 보는 운전자에게 선명한 점등 상태를 나타나 보이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제1오목면(104)들 사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편(10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용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105)의 굴절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개의 돌출편(105)에 형성되는 경사면(107)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용 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105)을 통해 외부로 나가는 빛은 확산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반면 외부로 부터 조사되어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모아서 반사가 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돌출편(105)표면에 형성되는 제2오목면(106)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용 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목면(104)들과 돌출편(105)들을 상호 교호로 여러쌍을 형성하여 렌즈(101)의 이면부(103)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등용 렌즈.
KR2020010007181U 2001-03-16 2001-03-16 교통 신호등용 렌즈 KR200234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81U KR200234063Y1 (ko) 2001-03-16 2001-03-16 교통 신호등용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81U KR200234063Y1 (ko) 2001-03-16 2001-03-16 교통 신호등용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063Y1 true KR200234063Y1 (ko) 2001-10-08

Family

ID=7309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181U KR200234063Y1 (ko) 2001-03-16 2001-03-16 교통 신호등용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0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1988B2 (en) Lamp for vehicles
JP2007109654A (ja) 光学ガイドを有する自動車用の照明または信号装置
CA2838087C (en) Surveillance device
RU2507442C2 (ru) Све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P1008801A3 (en) A projection-type automobile light
KR910005089A (ko) 후방투사 스크린 및 그 스크린을 포함한 후방투사 시스템
CN111427229A (zh) 一种投影屏幕和投影系统
WO1985004944A1 (en) Motor vehicle lamp, and a light unit for motor vehicles incorporating such lamps
KR200234063Y1 (ko) 교통 신호등용 렌즈
EP1106905A3 (de) Leuchte
CN100405155C (zh) 背光模组
KR20200101773A (ko) 빛공해 억제형 조명장치
CN218409784U (zh) 防眩光透镜及透镜模组
KR100289721B1 (ko) 프로젝터용스크린
CN213630273U (zh) 一种出光面为晶亮倾斜无花纹的组合厚壁件光学系统
FR2708082A1 (fr) Feu de signalisation à voyant et écran intermédiaire pour véhicule automobile.
KR101942495B1 (ko) 차량 버튼 인식용 무드 링
JPS5913121B2 (ja) 車輛用灯具
JPH02206000A (ja) 信号灯
JP2004063083A (ja) 車両用信号灯具
CN203560746U (zh) 一种反射式照明灯
JP2002319304A (ja) 車両用灯具
KR19990001516U (ko) 교통신호등의 차광판
JP3482030B2 (ja) 信号灯
JP3447441B2 (ja) 交通信号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