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635Y1 -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635Y1
KR200233635Y1 KR2020010005645U KR20010005645U KR200233635Y1 KR 200233635 Y1 KR200233635 Y1 KR 200233635Y1 KR 2020010005645 U KR2020010005645 U KR 2020010005645U KR 20010005645 U KR20010005645 U KR 20010005645U KR 200233635 Y1 KR200233635 Y1 KR 200233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redetermined
automatic transmission
value
determined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섭
Original Assignee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섭 filed Critical 이양섭
Priority to KR2020010005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635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잠금 클러치의 체결 압력 제어량의 학습을 적절하게 하고, 써징인가 쇼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는 잠금 클러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잠금 클러치(23)의 체결압력 제어량으로서의 제어 듀티(DOUT)를 기어 위치 (NGRAT)에 따라 산출하고 (S134∼S144) , 엔진 수온 (TW)가 소정 온도 (TWLCREF)보다 높은경우 학습 치(LREFFB3), (LREFFB4)를 산출한다 (S148, S149) .엔진 수온 (TW)가 소정 온도 (TWLCREF) 이하일 경우 학습치의 산출이 금지된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locking control apparatu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본 고안은 자동 변속기의 잠금 기구의 작동 및 잠금 클러치의 체결 용량을 제어하는 잠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압식 잠금 클러치를 구비하는 액압 토크 컨버터에 있어서, 작동오일의 온도가 낮은경우 미끄럼량의 피드백 제어를 정지하고, 소정의 제어치를 이용하고 잠금 클러치의 미끄럼 량을 제어하도록 하는 미끄럼 제어 장치 (일본국 특개평 1-120479호 공보) 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또한, 특정하는 운전 상태에 있어 잠금 클러치의 체결 용량 제어량을 학습하고 학습치를 기억 장치에 기억해 두고, 그 기억하는 학습치를 상기 특정 운전 상태로 이행하는 직후의 체결 용량 제어량의 초기치로서 이용하는 제어 (이른바 학습 제어) 도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제어 수법으로는 학습 제어를 하는 경우를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상존해왔다.
즉, 저온시는 작동유의 점성이 높아지고 잠금 클러치의 유압 제어계의 유로 저항이 커지기 경우문에, 동일하는 체결 용량을 얻기 위하는 제어량이 기계를 따뜻하게한 후와는 다른다.따라서 그러한 저온시에 체결 용량 제어량의 학습을 하고, 고온시에 그 학습치를 이용하면, 써징이나 쇼크를 발생시키는 우려가 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이러하는 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 잠금 클러치의 체결 용량 제어량의 학습을 적절하게 하고, 써징인가 쇼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는 잠금 클러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의 하는 형태에 관련된 차량에 탑재된 자동 변속기 및 그 제어 장치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도는 유압제어 기구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 오프 제어를 하는 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제 3 도는 유압제어 기구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 오프 제어를 하는 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처리로 사용하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5 도는 유압제어 기구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듀티 제어를 하는 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제 6 도는 유압제어 기구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듀티 제어를 하는 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제 7 도는 유압제어 기구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듀티 제어를 하는 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제 8 도는 제 5 도의 처리로 사용하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9 도는 제 5도의 처리의 일부의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 10 도는 내리막 주행의 판정을 하는 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전자 컨트롤 유닛
3... 스로틀 밸브개방도 센서
4... 엔진 수온 센서
21... 자동 변속 기
22... 액압 토크 컨버터
23... 잠금 클러치
24... 기어 기구
25... 유 압제어 기구
27... 기어 위치 센서
28... 차량속도 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 자동 변속기의 잠금 클러치의 미끄럼 량이 소정의 목표치에 도달하도록 해당 잠금 클러치의 체결 용량을 제어하는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운전 영역에서 상기 잠금 클러치의 체결 용량 제어중의 체결 용량 제어량(DOUT)을 학습하는 학습 수단과, 상기 학습 수단에 의하여 학습된 학습치 (LREFDEC, LREFFB) 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소정의 운전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소정의 운전 영역으로 이행하는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학습치에 근거하여 상기 체결 용량 제어량의 초기치를 설정하는 초기치 설정 수단과, 상기 자동 변속기에 접속된 엔진의 냉각수온(TW) 또는 상기 자동 변속기의 오일온도 (TOIL)이 소정 온도(TWLCREF)이하일 경우, 상기 학습 수단에 의한 학습을 금지하는 학습 금지 수단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 변속기에 접속된 엔진의 냉각수온 또는 자동 변속기의 오일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경우, 잠금 클러치의 체결 용량 제어량의 학습이 금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고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량에 탑재된 자동 변속기 및 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내연 엔진(1)의 크랭크 축 (20)에는 자동 변속기(21)이 접속되어 있다.자동 변속기(21)은 크랭크축(20)에 연결되어, 펌프 날개(22a) 및 터빈 날개 (22b)를 보유하는 액압 토크 컨버터(22)와, 펌프 날개(22a)와 터빈 날개(22b)를 연결하기 위한 잠금 클러치(23)과, 액압 토크 컨버터(22)의 출력측에 연결된 기어 기구 (24)와, 잠금 클러치(23) 및 기어 기구(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제어 기구(25)를 갖추고 있다.
유 압제어 기구(25)는 잠금 클러치(23)의 체결/비체결을 바꾸는 온 오프 형태의 솔레노이드 밸브 (이하「A 솔레노이드 밸브」라고 말하다) (25a)와, A 솔레노이드 밸브 (25a)가 온 되어, 잠금 클러치 (23)이 체결 상태에 있는 경우의 체결압력 (체결 용량) 을 제어하는 듀티 제어형의 솔레노이드 밸브 (이하「B 솔레노이드 밸브」라고 말하다) (25b)와 , 기어 기구 (24)의 기어비를 제어하는 변속 액추에이터(25c)를 갖추고 있다.A 솔레노이드 밸브 (25a), B 솔레노이드 밸브 (25b) 및 변속 액추에이터 (25c)는 자동 변속기 제어용의 전자 컨트롤 유닛 (이하「ECU] 라고 말하다) (2)에 접속되어 있고, ECU 2는 A 솔레노이드 밸브(25a) 및 B 솔레노이드 밸브 (25b)를 통하여 잠금클러치 (23)의 체결 상태의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변속 액추에이터(25c)를 통하여 기어 기구(24)에 기어 위치의 제어를 한다.
자동 변속기(21)에는 기어 기구 (24)의 기어 위치(NGRAT)를 검출하는 기어 위치 센서(27)이 마련되어 있고, 그 검출 신호는 ECU(2)에 공급된다.
엔진(1)의 출력은 크랭크 축(20)에서 액압 토크 컨버터(22), 기어 기구(24), 차동 장치(31)을 순차적으로 거치고, 좌우의 구동바퀴(32, 33)에 전달되어, 이들을 구동한다.또, 자동 변속기(21)의 출력측에는 해당 차량의 차량 속도(VP)를 검출하는 차량속도 센서(28)이 설치되어 있고, 그 검출 신호는 ECU(2)에 공급된다.
엔진(1)에는 흡기관의 도중에 마련된 스로틀 밸브 (도시하지 않음) 의 개방도((THW)를 검출하는 스로틀 밸브개방도 센서(3)과, 엔진 냉각수 온(TW)를 검출하는 엔진 수온 센서(4)와, 엔진 회전수(NE)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 5가 구비되어, 이러한 센서의 검출 신호가 ECU(2)에 공급된다.엔진 회전수 센서(5)는 크랭크 축(20)의 180°회전마다 소정 크랭크 각도 위치에서 TDC 신호 펄스를 출력하고, ECU(2)에 공급한다.
ECU(2)에는 또한 자동 변속기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는 시프트 리버 위치 (이하「시프트 위치」라고 한다) 를 검출하는 시프트 위치 센서(29)가 접속되어 있고, 그 검출 신호가 ECU(2)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로는 드라이브 레인지를 1단으로부터 4단의 범위에서 기어 위치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D4 레인지와 , 1단으로부터 3단의 범위에서 기어 위치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D3 레인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ECU(2)는 엔진(1)에 공급하는 연료량 (연료 분사 밸브의 개방시간) 및 점화 시기등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는 엔진 제어용 전자 컨트롤 유닛과 접속되어 있고,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서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CU(2)는 상술한 각종 센서로 부터의 입력 신호 파형을 정형하고 전압 레벨을 소정 레벨에 수정하여, 아날로그 신호치를 디지털 신호치로 변환하는 등의 기능을 보유하는 입력 회로와, 중앙 처리 회로(CPU)와, 해당 CPU에서 실행된 각종 연산 프로그램인가 후술하는 각종 맵 및 연산 결과등을 기억하는 ROM 및 RAM으로 된 기억 회로와, A 솔레노이드 밸브(25a), B 솔레노이드 밸브(25b) 및 변속 액추에이터(25c)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를 갖추고 있고, 각종 센서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잠금 클러치 (23)의 체결 상태 및 기어 위치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하에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처리흐름은 ECU(2)의 CPU에서 실행된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A 솔레노이드 밸브(25a)의 제어를 하는 처리의 플로우챠트이고, 처리는 소정 시간 (예를 들면 80msec) 마다 실행된다. 또한, A 솔레노이드밸브 (25a)의 온/오프에 대응하고, 잠금 클러치(23)은 체결 상태/비 체결 상태로 된다.
우선, 단계(S1)에서는 상기 각종 센서의 이상이 검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검출되어 있지 않으면 엔진 수온 (TW)이 소정 수온 (TWLC0) (예를 들면 30℃)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2) .그리고, 센서의 이상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 또는 (TW) ≤ (TWLC0)인경우, 다운 카운트 타이머 (tmDLY0) (단계 S14 참조) 에 소정 시간 (TDLY0)을 세트하여 스타트 시키고 (단계 S13) , 잠금 클러치(23)의 체결 영역을 「1」로 나타내는 잠금 플래그(FLCS)를 「0」에 설정함과 함께, A 솔레노이드 밸브 (25a)를 오프하여(도면 3, 단계 S36) ,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에서 (TW) >(TWLC0)인경우, 해당 자동차가 내리막 주행중인 것을 「1」에서 나타내는 내리막 플래그(FBK)가 「1」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3) , 내리막 주행중이라면 단계 S4로 진행되어, 엔진 회전수(NE)가 소정 회전수(NLCBK) (예를 들면 860rpm)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NE) ≤(NLCBK)인 경우, A 솔레노이드 밸브(25a)를 오프해야 하고 상기 단계 S13로 진행되어, (NE) > (NLCBK)인경우, 단계 S6로 진행된다.
또한, 단계 S3에서 내리막 플래그 FBK=0이 내리막 진행중이 아니면, 단계 S5에서 엔진 회전수(NE)가 소정 회전수(NLC0, 예를 들면 1000rpm)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그리고, NE ≤ NLC0인경우, A 솔레노이드 밸브(25a)를 오프해야 하고 상기 단계 S13로 진행되어, NE > NLC0인경우 단계 S6로 진행된다.
단계 S6에서는 시프트 위치가 D4 레인지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D4 레인지가 아니면 D3 레인지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9) .그리고, D4 또는 D3 레인지의 어느 쪽도 아닌경우, 상기 단계 S13로 진행되어, A 솔레노이드 밸브(25a)를 오프한다.
D3 레인지인경우, 단계 S10로 상기 잠금 플래그(FLCS)가 「1」로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FLCS=0인경우 즉, FLCS=1인경우, 다운 카운트 타이머(tmLCOFF)에 소정 시간(TLCOFF)을 세트하여 스타트시키고 (단계 S11) , 단계 S12로 진행된다.단계 S12는 후술하는 단계 S7로 세트된 다운 카운트 타이머(tmDLY2)의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D4 레인지로부터 D3 레인지로 이행하는 직후는 tmDLY2 > 0이기 때문에 ,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되어, tmDLY2=0으로 되면 단계 S14로 진행된다.
한편, D4 레인지인 경우, 단계 S7로 다운 카운트 타이머(tmDLY2)에 소정 시간(TDLY2)를 세트하여 스타트시키고, 상기 단계 S11로 세트하는 타이머(tmLCOFF)의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시프트 위치가 D3 레인지에 있을 경우 단계 S11로 타이머(tmLCOFF)가 세트된경우, 단계 S8의 응답은 당초 부정 (NO) 으로 되어, 곧바로 단계 S15로 진행된다.또 tmLCOFF=0인 경우, 단계 S14로 진행되어, 단계 S13로 세트하는 타이머(tmDLY0)의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tmDLY0 > 0인경우는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되어, A 솔레노이드 밸브(25a)를 오프한다.
단계 S14로 tmDLY0=0으로 되면 , 단계 S15로 진행되어 엔진 회전수(NE)의 감소량 DNE (=NE (n-1) -NE (n) ) 이 소정치 DNPANIC (예를 들면 80msec의 사이에 200rpm 저하된 경우에 대응하는 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한다.그리고,DNE>DNPANIC이고 엔진 회전수(NE)의 감소량이 큰경우, 다운 카운트 타이머(tmDLY1)에 소정 시간(TDLY1)을 세트하여 스타트시키고 (단계 S16) , 상기 단계 S3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5에서 DNE ≤ DNPANIC이고 NE 값의 감소량이 작은경우, 단계 S16에서 세트하는 타이머(tmDLY1)의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단계 S17) , tmDLY1 > 0인경우는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되어, tmDLY1=0으로 되면 , 단계 S18 (제3도) 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서는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소정 아이들 개방도(THIDLE)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하고, THW ≤ THIDLE인경우, 기어 위치(NGRAT)가 2단보다 고단측인가 (3단 또는 4단인가 ) 아닌가를 판별한다 (단계 S25) .그 결과 NGRAT ≤2이고1단 또는 2단경우 ,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되어, A 솔레노이드 밸브(25a)를 오프시킨다.
단계 S25로 NGRAT >2이고3단 또는 4단인경우, 자동차속도(VP)가 소정의 자동차속도(VDECLCi,예를 들면 38km/h)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26) .여기에서 , i는 기어 위치에 의하여 다른 값을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즉, 기어 위치가 3단경우 3단용의 소정 차량속도(VDECLC3)을 이용하고, 4단경우 4단용의 소정 차량속도(VDECLC4)를 이용한다.그리고 VP ≤ VDECLCi인 경우,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되어, VP > VDECLCi인경우, 감속 연료차단 중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27) .여기에서, 감속 연료차단중일 경우 곧 단계 S29로 진행되어, 감속 연료차단 중이 아닌 경우 내리막 플래그(FBK)가 「1」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S28) .FBK=0이고 내리막이 아닌경우,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되어, FBK=1이고 내리막인 경우 단계 S29로 진행된다.이것에 의해, 내리막인경우 잠금클러치(23)가 체결된 영역이 확대된다.
한편, 단계 S18에서 THW>THIDLE인경우, 차량속도(VP)가 고단측 소정 차량속도 VLCSDjH (예를 들면 100km/h)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19) , VP ≤ VLCSDjH인경우이거나 저단측 소정 차량속도 VLCSDjL (예를 들면 20km/h)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0) .여기에서, j는 시프트 위치가 D3인가 D4로 다른 값을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즉, 시프트 위치가 D3경우 VLCSD3H, VLCSD3L을 이용하고, D4경우 VLCSD4H, VLCSD4L을 이용한다.
단계 S19에서 , VP > VLCSDjH인경우, 곧 단계 S29로 진행되어, 단계 S20에서 VP ≤ VLCSDjL인경우, 다운 카운트 타이머 (tmDLY3)에 소정 시간 (TDLY3)을 세트하여 스타트시키고 (단계 S23) ,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된다.또한, VLCSDjL < VP≤VLCSDjH인 경우, 단계 S21로 진행되어, 차량속도(VP)에 따라 THLCSj 테이블을 검색하고, 단계 S22에서 사용하는 소정의 개방도(THLCSj)를 산출한다.THLCSj 테이블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속도(VP)가 높아지는 정도 소정 개방도(THLCSj)가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여기에서 j는 D3 레인지와 D4 레인지로 다른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것이고, 시프트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테이블을 이용한다.설정 경향은 D3, D4 레인지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단계 S22로는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소정 개방도(THLCSj)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THW ≥ THLCSj인경우 상기 단계 S23로 진행된다.또한, THW< THLCS인 경우, 단계 S23로 세트하는 타이머(tmDLY3)의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단계 S24) .그리고 tmDLY3 > 0인 경우는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되어, tmDLY3=0인 경우 단계 S29로 진행된다.
단계 S29로는 잠금 플래그(FLCS)가 「1」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FLCS = 1인 경우 곧 단계 S35로 진행되어, A 솔레노이드 밸브(25a)를 온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FLSC=0인 경우, 스로틀 밸브개방도(THW)의 변화량 DTH(=THW (n) -THW (n- 1) ) 가 「0」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30) , DTH ≤ 0인 경우, 변화량(DTH)의 절대치 │DTH │가 제1 소정 변화량(DTHLCOND_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31) , │DTH │> DTHLCOND이고 스로틀 밸브개방도가 복귀하는 방향으로 변화량이 큰경우, 다운 카운트 타이머(tmLCS)에 소정 시간(TLCS)를 세트하여 스타트시키고 (단계 S33) ,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된다.
단계 S30로 DTH>0인 경우, 또는 단계 S31로 │DTH │ ≤ DTHLCOND인 경우, 변화량(DTH)이 제1 소정 변화량(DTHLCOND)보다, 큰 제2 소정 변화량(DTHLCON)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32) , DTH > DTHLCON인 경우, 상기 단계 S33로 진행된다.또한, DTH ≤ DTHLCON인 경우, 단계 S33으로 세트하는 타이머(tmLCS)의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단계 S34), tmLCS > 0인 경우는 상기 단계 S36로 진행되어, tmLCS = 0으로 된다면 단계 S35로 진행되어, 잠금 플래그 FLCS를 「1」로 설정함과 동시에 A 솔레노이드 밸브(25a)를 온시킨다.
이상과 같이 제 2도 및 제 3도의 플로우챠트에 의하면, 센서의 이상을 검지하는 경우, 엔진 수온 (TW)이 낮은 경우 또는 엔진 회전수(NE)가 낮은경우 (단계SS1, S2, S5) , 다른 조건과 무관하게 A 솔레노이드 밸브(25a)가 오프(잠금 클러치비 체결) 되고, 그것 이외의 경우에는 , 시프트 위치, 기어 위치, 스로틀 밸브개방도(THW), 스로틀 밸브개방도(THW)의 변화량(DTH), 차량속도(VP) 및 내리막 주행중인가 아닌가에 따라, A 솔레노이드 밸브(25a)의 온, 오프 (잠금 클러치의 체결/비 체결) 가 결정된다.
제 5, 6 및 7도는 B 솔레노이드 밸브(25b)의 듀티 제어를 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고, 본 플로우챠트는 제 2 도 및 제 3도의 프로우 챠트와 같이 소정 시간 (예를 들면 80msec) 마다 실행된다.
다음, 단계 S41으로는 후술하는 단계 S52의 판별에 사용하는 소정 개방도(THLCCj)를 하기식에 의하여 산출한다.
THLCCj=THLCSj-DTHLC
여기에서 , THLCSj는 전술한 제3도의 단계 S21에서 산출하는 소정의 개방도이고, DTHLC는 차량속도VP에 따라 산출된 감산항이다. 또한, j는 시프트 위치 (D3 레인지 또는 D4 레인지) 에 따라 다른 값을 이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단계 S42에서는 후술하는 제6도의 단계 S68, S69에서 사용하는 고부하측 소정 개방도(THLCiH )및 저부하측 소정 개방도(THLCiL)를 제8도에 도시한 THLCi 테이블을 차량속도(VP)에 따라 검색하고 산출한다.THLCi 테이블은 차량속도(VP)가 높아지는 정도(THLCi)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또한, i는 기어 위치가 3단 또는 4단인지에 따라 다른 값을 이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제8도에서 명확하는 도시한 바와같이 THLC4H>THLC3H, THLC4L>THLC3L 으로 되는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단계 S43에서는 엔진 수온 (TW)가 소정 수온 (TW)LC1 (예를 들면 30℃)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TW) ≤ (TW)LC1인 경우, 후술하는 단계 S46에서 감소 되어, 단계 S47에서 참조된 다운 카운터(CLCCWU)에 소정치(C0)을 세트하고 (단계 S44) , B솔레노이드 밸브(25b)의 제어 듀티(DOUT) 및 후술하는 DEC 모드나 피드백 모드로 (DOUT) 값의 산출에 사용하는 적분항(DI)를 함께 「0」으로 하고 (제6도, 단계 S57) , 잠금 클러치(23)을 체결시키지 않는 중지 모드로서 (단계 S58) , 단계 S85로 진행되어, 제어 듀티 (DOUT)를 출력을 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단계 S43에서 (TW)>(TW)LC1인 경우, 차량속도(VP)가 소정 차량속도VLCCWU (예를 들면 35km/h)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45) , VP ≤ VLCCWU인 경우, 또는 VP>VLCCWU인 경우 카운터 CLCCWU를 「1」만 감소하여, 단계 S47로 진행된다.단계 S47으로는 카운터 CLCCWU의 값이 「0」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하고, CLCCWU>0인 경우는 상기 단계 S57로 진행된다.CLCCWU의 값이 「0」이하인경우, 잠금 플래그(FLCS)가 「1」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단계 S48) , FLCS=0인 경우, 상기 단계 S57로 진행되어, 중지 모드S58로 간다.
FLCS=1인 경우,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소정 아이들 개방도(THIDLE)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49) , THW ≤ THIDLE인 경우, 단계 S50로 진행되어, 기어위치 (NGRAT)가 3단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그리고, (NGRAT) ≥3인 경우 차량속도(VP)가 소정 차량속도(VDECLS, 예를 들면 70km/h) 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NGRAT) < 3인 경우 또는 VP ≥ VDECLCS인 경우, 상기 단계 S57로 진행되어, 중지 모드로 진행한다. 또한, (NGRAT) ≥3 또는 VP < VDECLCS인 경우, 후술하는 DEC 모드 (감속 모드) 의 처리를 하고 제어 듀티 (DOUT)를 결정하고 (단계 S59) , 상기 단계 S85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 S49로 THW > THIDLE인 경우, 또한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단계 S41로 산출하는 소정 개방도(THLCCj)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52) , THW ≥ THLCCj인 경우, 다운 카운트 타이머(tmLCC)에 소정 시간(TLCC)를 세트하여 스타트시키고 (단계 S53) , 상기 단계 S57로 진행된다 (중지 모드) .
단계 S52로 THW < THLCCj인 경우, 단계 S53로 세트하는 타이머(tmLCC)의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단계 S54) , tmLCC > 0인 경우는 상기 단계 S57로 진행되어, tmLCC = 0으로 되면, 단계 S55 (제6도) 로 진행된다.
단계 S55로는 시프트 위치가 D3 레인지 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D3 레인지일 경우 차량속도(VP)가 소정 차량속도(VD3FUL, 예를 들면 130km/h)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56) , VP ≤ VD3FUL인 경우, 상기 단계 S57로 진행되어 (중지 모드) , VP > VD3FUL인 경우, 단계 S73로 진행되어, 하기식에 의하여 제어 듀티 (DOUT)를 산출한다.
(DOUT)=(DOUT) (n- 1) +DDATON
여기에서 , (DOUT) (n - 1) 는 제어 듀티 (DOUT)의 전회의 수치, DDATON은 소정의 가산 항이다.
단계 S74에서는 (DOUT) 값이 소정치(DATON)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DOUT) < DATON인 경우, 단계 S73의 처리에 의하여 (DOUT) 값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가산 모드로서 (단계 S81) , 상기 단계 S85로 진행된다. 단계 S74에서 (DOUT)≥ DATON인 경우, 제어 듀티 (DOUT) 및 적분 항(DI)을 동시에 100% (체결압력 최대) 로 설정하고 (단계 S75) , 100% 모드로서 (단계 S76) , 상기 단계 S85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 S55에서 D3 레인지가 아닌경우, 단계 S60로 진행되어, 차량속도(VP)가 소정 차량속도(VLCFB, 예를 들면 60km/h) 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VP ≥ VLCFB인 경우, 상기 단계 S73로 진행된다. 한편, VP > VLCFB인 경우, 단계 S61, S62에서 기어 위치 (NGRAT)가 4단인지 여부 또는 3단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1) 기어 위치 (NGRAT)가 4단경우, 단계 S66, S67에서 차량속도(VP)가 소정 차량속도(VLCL4, 예를 들면 40km/h) 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소정 차량속도(VLCREF4, 예를 들면 20km/h)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그리고, VP ≤ VLCREF4인 경우, 상기 단계 S57로 진행되어 (중지 모드) , VLCREF4 < VP < VLCL4인 경우, 단계 S70로 진행되어, VP ≥VLCL4인 경우, 단계 S68로 진행된다.
우선 단계 S70 이하의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S70에서는 후술하는 단계 S71에서 참조된 다운 카운트 타이머(tmLCFB)에 소정 시간(TLCFB)를 세트하여 스타트시키고, 제7도의 단계 S77로 진행되어, 후술하는 학습 제어량(DOUTR)의 산출 처리를 한다.또한, 본처리의 전회 실행 시기가학습 제어량(DOUTR)을 이용하는 REF 모드 (학습 모드)에서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78) , REF 모드가 아닌경우, 제어 듀티(DOUT)의 전회치(DOUT) (n-1) 가 학습 제어 량(DOUTR)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79) .그리고, 전회 REF 모드이였던 경우 또는 (DOUT) (n-1)≥(DOUTR)인 경우, 적분항(DI)를 학습 제어량(DOUTR)으로 설정하고 (단계 S82) , 제어 듀티 (DOUT)를 그 적분항(DI)에 설정하고 (단계 S83) , REF 모드로서 (단계 S84) , 상기 단계 S85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 S79에서는 DOUT (n-1) < DOUTR인 경우, 하기식에 의하여 제어 듀티 (DOUT)를 산출하고 (단계 S80), 가산 모드로서 (단계 S81) , 상기 단계 S85로 진행된다.
(DOUT)=(DOUT) (n-1) +DDI
여기에서 , DDI는 소정의 가산 항이다.
다음에 단계 S68 이하의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S68, S69에서는 ,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단계S42에서 산출하는 고부하측 소정 개방도(THLCiH)보다 작은지 아닌지 및 저부하측 소정 개방도(THLCiL)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한다.그리고, THW ≥THLCiH 또는 THW ≤THLCiL인 경우, 상기 단계 S70로 진행되어 (REF 모드 또는 가산 모드) , THLCiL < THW < THLCiH인 경우, 단계 S70에서 세트하는 타이머(tmLCFB)의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 S71) .그 결과, tmLCFB > 0인 경우는 상기 단계 S77로 진행되어 (REF 모드 또는 가산 모드) , tmLCFB = 0으로 된다면 F/B 모드(피드백 모드) 에 의한 (DOUT) 값의 산출 처리하고 (단계 S72) , 상기 단계 S85로 진행된다.
(2) 기어 위치 (NGRAT)가 3단경우
단계 S64, S65에서 , 차량속도(VP)가 소정 차량속도(VLCL3, 예를 들면 30km/h) 보다 낮은지 아닌지, 및 소정 차량속도(VLCREF3, 예를들면 20km/h) 보다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그리고, VP ≤ VLCREF3인 경우, 상기 단계 S57로 진행되어 (중지 모드) , VLCREF3 < VP < VLCL3인 경우, 상기 단계 S70로 진행되어 (REF 모드 또는 가산 모드) , VP ≥ VLCL3인 경우, 상기 단계 S68로 진행된다 (F/B 모드, REF 모드 또는 가산 모드) .
(3) 기어 위치 (NGRAT)가 1단 또는 2단경우
단계 S63로 진행되어, 차량속도(VP)가 소정 차량속도(VLCL2, 예를 들면 20km/h)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VP ≤ VLCL2인 경우, 상기 단계 S57로 진행되어 (중지 모드) , VP > VLCL2인 경우, 상기 단계 S77로 진행된다 (REF 모드 또는 가산 모드) . 또한, 여기에서 VP > VLCL2가 성립하는 것은 기어 위치 (NGRAT)가 2단의 경우에 한정된다.
이상과 같이 제 5, 6 및 7도의 처리에 의하면, 엔진 수온 (TW)이 낮은 경우 (단계 S43, TW ≤ TW LC1) 또는 A 솔레노이드 밸브(25a) 오프경우 (단계 S48, FLCS=0) 는 다른 조건과 무관계하게 중지 모드로 되어 (단계 S58) , 그것 이외의 경우, 차량속도(VP), 스로틀 밸브개방도(THW), 기어 위치 및 시프트 위치에 따라 중지 모드, DEC 모드, F/B 모드, 100%모드, 가산 모드 또는 REF 모드의 어느 쪽인가가 선택되어, B 솔레노이드 밸브(25b)의 제어 듀티 (DOUT)가 결정된다.
제 8 는 제6도의 단계 S77에 있어서 (DOUT)R 산출 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다음, 단계 S161에서는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제5도의 단계 S42에서 산출된 저부하측 소정 개방도(THLCiL)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하고, THW ≤ THLCiL인 경우, 학습 제어 량(DOUTR)을 소정 치(DOUTRL)에 설정하고 (단계 S162) , 단계S170로 진행된다.
단계 S161에서 THW >THLCi인 경우, 기어 위치(NGART)가 2단인 지 여부를 판별하고, 2단인 경우, 하기식에 의하여 학습 제어 량(DOUTR)을 산출하고 (단계 S164) , 단계 S170로 진행된다.
DOUTR=LREFFB3 ×KR
여기에서 , (LREFFB3)은 F/B 모드에서 산출된 3단용의 학습 값이고,
KR은 스로틀 밸브개방도THW에 따라 제 9 (a) 도에 도시된 KR 테이블을 검색하고 산출된 보정 계수이다.KR 테이블은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증가하는 정도, KR 값이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처럼, 단계 S163, S164에 의하여, 2단에 있어도 잠금 클러치(23)을 체결시키고, 3단에 있어서 학습치(KREFFB)를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따라 보정하고 제어 듀티 (DOUT)를 산출하는것과 같이했기 경우에 ECU2의 기억 장치의 용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 저단에서의 잠금 제어를 운전성의 손상없이 하는 것이 가능한다.
상기 단계 S163에서 2단이 아닌 경우,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고부하측 소정 개방도(THLCiH)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165) , THW ≤ THLCiH인 경우, 학습 제어 량(DOUTR)을 학습치(LREFFBi)에 설정하고 (단계 S166) , 단계 S170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 S165에서 THW > THLCiH인 경우, 스로틀 밸브개방도(THW)와 고부하측 소정 개방도(THLCiH)와의 편차 DTHR (=THW-THLCiH) 을 산출하고 (단계 S167) , 편차 DTHR에 따라 제 9 (b)도에 도시된 DDOUTRj 테이블을 검색하고, 보정량DDOUTRj를 산출한다.DDOUTRj테이블은 편차(DTHR)이 증가하는 정도 보정량(DDOUTRj)가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j는 시프트 위치가 D3인가 D4로 다른 설정치의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붙이고 있다.또한, 설정의 경향이 제 9 (b) 도에 도시되어 있다.
계단된 단계 S169에서는 , 하기식에 의하여 학습 제어 량(DOUTR)을 산출하고, 단계 S170로 진행된다.
DOUTR=LREFFBi+DDOUTRj
단계 S170에서는 학습 제어 량(DOUTR)이 소정 상한치(DOUTRH)보다 큰지 여부를 판별하고, (DOUT)R≤(DOUTRH)인 경우 곧, 또 DOUTR> DOUT RH인 경우 (DOUTR) 값을 소정 상한치(DOUTRH)에 설정하고 (단계 S171) ,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 8 도의 처리에 의하면,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하한 소정 개방도(THLCiL)보다 작은경우, 학습 제어 량(DOUTR)은 소정치(DOUTRL)에 설정되어 그것 이외의 경우, 기어 위치, 시프트 위치 및 스로틀 밸브개방도(THW)에 따라 학습 치(LREFFBi) 또는 이것을 보정하는 값에 설정된다.
제 10 도는 내리막 모드인지 아닌지, 즉 내리막 주행중인가 아닌가의 판별을 하는 처리의 플로우챠트이고, 이 처리는 TDC 신호 펄스의 발생마다 실행된다.
우선 단계 S181에서는 센서 등의 이상이 검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검출되어 있는 경우, 후술하는 소정 주행 상태인 것을 「1」로 나타내는 (단계 S195) 소정 상태 플래그 FDH를 「0」에 리셋하고 (단계 S192) , 내리막 플래그(FBK)를 「0」에 설정하고 (단계 S196) ,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81의 답이 부정 (NO) 으로 있고 센서 등의 이상이 검출되어 있지 않는 경우, 시프트 위치가 D레인지 (D3, D4) 또는 R후진) 레인지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182) , D 레인지 또는 R 레인지인 경우, 에어컨이 오프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183) , 에어컨 오프경우 , 엔진 수온 (TW)이 소정 수온 (TWBK)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184) , TW > TW BK인 경우, 차량속도(VP)가 하한 차량속도(VPBK 1 , 예를 들면 35km/h)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185) , VP > VPBK1인 경우, 상한 차량속도(VPBK4 , 예를 들면 70km/h) 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186) , VP < VPBK4인 경우, 엔진 회전수(NE)의 감소량(DNE)가 소정치(DNEBK)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 S187) , DNE < DNEBK인 경우, 스로틀 밸브개방도(THW)가 소정 아이들 개방도(THIDLE) 이하인지 아닌가를 판별하고 (단계 S188) , THW ≤ THIDLE인 경우, 엔진 회전수(NE)가 소정 회전수(NBK, 예를들어 700rpm)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189) .
이상의 단계 S182∼S186, S188 또는 S189의 어느 쪽인가의 답이 부정경우 (NO) 는 다운 카운트 타이머(tmBK)에 소정 시간(TBK, 예를들면 5∼10 초) 를 세트하여 스타트시키고 (단계 S191) , 상기 단계 S192로 진행된다.또한, 단계 S187의 답이 부정경우 (NO) 는 곧 상기 단계 S196로 진행된다.
단계 S182∼S189의 답이 전부 긍정경우 (YES) 는 단계 S191로 세트하는 타이머(tmBK)의 값이 「0」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단계 S190) , tmBK > 0인 경우는 상기 단계 S196로 진행되어, tmBK = 0으로 된다면 단계 S193로 진행되어, 소정 상태 플래그(FDH)가 「1」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최초는 FDH=0이기 때문에 , 단계 S194로 진행되어, 차량속도(VP)가 제1 판정 차량속도(VPBK2, 예를들면 45km/h) 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별하고, VP ≥ VPBK2인 경우, 곧 상기 단계 S196로 진행된 한편, VP < VPBK2인 경우, 상기 소정 주행 상태라고 판정하고 플래그 FDH를 「1」에 설정하고 상기 단계 S196로 진행된다.
그리고, 소정 상태 플래그(FDH)가 「1」에 설정되면 , 단계 S193의 답이 긍정 (YES) 으로 되어, 단계 S197로 진행되어, 차량속도(VP)가 제2 판정 차량속도(VPBK3, 예를 들면 55km/h)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별한다.그 결과, VP ≤ VPBK3인 경우, 본단계의 처리를 종료하고, VP > VPBK3으로 된다면 내리막으로 판정하고 내리막 플래그(FBK)를 「1」에게 설정하고 (단계 S198) ,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하한 차량속도(VPBK1), 상한 차량속도(VPBK4), 제1 판정 차량속도(VPBK2) 및 제2 판정 차량속도(VPBK 3)은 VPBK 1 < VPBK2 < VPBK3 < VPBK4 로 되는 관계를 보유한다.
제 10 도의 처리에 의하여, 단계 S182∼S189의 답이 전부 긍정 (YES) 의 상태가 소정 시간 (TBK) 이상 연속하고, 차량속도(VP)가 VPBK1 < VP < VPBK3인 상태에서 VP > VPBK3인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내리막이라고 판정된다.즉, 이 처리는 차량의 가속도에 근거하여 내리막 판단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 예를 들면 길은 부드러운 내리막길을 내리막으로 하고 가속도가 작은 경우에도 정확하게 내리막 판단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처럼 하여 설정된 내리막 플래그(FBK)를 제3도의 단계 S28를 참조하고, 내리막의 경우 A 솔레노이드 밸브(25a)를 체결시키고, 잠금 클러치(23)이 체결되는 영역을 확대하도록 했기 때문에, 엔진 브레이크를 효과적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자동 변속기에 접속된 엔진의 냉각수온 또는 자동 변속기의 오일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경우, 잠금 클러치의 체결 용량 제어량의 학습이 금지되기 때문에 , 저온시에 학습하는 학습치를 고온시에 이용하는 것에 의한 써징 또는 쇼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다.또, 고온시에 학습하는 학습치를 저온시에 이용해도 써징 등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저온시에 있어도 잠금 클러치를 체결시키고 연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다.

Claims (1)

  1.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 자동 변속기의 잠금 클러치의 미끄럼량이 소정 목표치로 도달하도록 해당 잠금 클러치의 체결 용량을 제어하는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운전 영역에서 상기 잠금 클러치의 체결 용량 제어중 체결 용량 제어량을 학습하는 학습수단과,
    상기 학습 수단에 의하여 학습된 학습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소정의 운전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소정의 운전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학습치에 근거하여 상기 체결 용량 제어량의 초기치를 설정하는 초기치 설정 수단과,
    상기 자동 변속기에 접속된 엔진의 냉각수온 또는 상기 자동 변속기의 오일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일경우, 상기 학습 수단에 의한 학습을 금지하는 학습 금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
KR2020010005645U 2001-03-02 2001-03-02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 KR200233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45U KR200233635Y1 (ko) 2001-03-02 2001-03-02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45U KR200233635Y1 (ko) 2001-03-02 2001-03-02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635Y1 true KR200233635Y1 (ko) 2001-09-26

Family

ID=7309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645U KR200233635Y1 (ko) 2001-03-02 2001-03-02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6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4888B1 (en) Axle torque estimating system
EP0760443B1 (en) Lock-up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s
EP0805060B1 (e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233635Y1 (ko)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
JP3193244B2 (ja) 車両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JP4178466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H06207660A (ja) 車輌用駆動力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20071079A (ko) 자동 변속기의 잠금 제어 장치
JP3650180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3131920B2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3218373B2 (ja) 自動車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827788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出力トルク制御装置
JP3135488B2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3683340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3520828B2 (ja) 自動車の制御装置
JP3446786B2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H01147130A (ja) 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JPH09100904A (ja) 内燃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6109117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