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495Y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495Y1
KR200233495Y1 KR2020010005193U KR20010005193U KR200233495Y1 KR 200233495 Y1 KR200233495 Y1 KR 200233495Y1 KR 2020010005193 U KR2020010005193 U KR 2020010005193U KR 20010005193 U KR20010005193 U KR 20010005193U KR 200233495 Y1 KR200233495 Y1 KR 200233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ntenna
coil spring
connecting means
radio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5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95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안테나와 전파 송수신단자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을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며 전파 송수신 단자가 구비된 회로기판과, 전파 송수신 단자에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연결수단과, 제 1연결수단과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안테나와 전파 송수신단자간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와 단말기 내부의 전파 송수신단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에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안테나는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전파 송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것이다.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는 전파 송수신단자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들어온 전파신호를 각 구동회로로 전달하고, 내부에서 형성된 송신신호를 기지국으로 발신할 수 있게 되어있다.
따라서, 안테나는 전파 송수신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이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교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된다.
그러므로, 단말기 내에는 안테나와 전파 송수신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와 전파 송수신단자 간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말기 측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부 확대 사시도이다.
단말기의 전면 케이스(1)와 후면 케이스(3)가 결합하여 단말기 몸체를 이루고, 단말기 몸체 내에는 단말기의 각종 동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회로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5)이 설치되어 있다.
회로기판 상에는 기지국과의 교신을 위해 전파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전파 송수신단자(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기 몸체 상면에는 안테나(9) 설치를 위한 홀(4)이 형성되어 있고, 홀 내부로 원통형의 부쉬(bush)(15)가 삽설된다.
원통형으로 된 부쉬(15)에는 홈이 형성되어 안테나(9)가 삽입되고, 홈 측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부쉬(15)에 삽입된 안테나(9)의 말단부에도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안테나와 부쉬(15)는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부쉬(15)가 홀에 삽설되어 단말기에 고정되므로 안테나(9)는 단말기에 고정 되어진다. 그리고, 안테나(9)와 부쉬(15)는 모두 전도성 재질로 되어 있다.
안테나(9)를 고정한 채 단말기에 결합되어있는 부쉬(15)의 몸체둘레로 판스프링 결합체(10)가 삽입된다.
판스프링 결합체(10)는 중앙에 끼움홀(11)이 형성된 사각판 일면에 판 스프링(14)이 길게 돌출되어있고, 사각판 양측면에는 고정지지편(12)이 각각 돌출되어 있다.
끼움홀(11)이 부쉬(15)몸통 외면으로 삽입되고, 판스프링 결합체(10)가 부쉬(15) 몸체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지지편(12)이 부쉬(15) 몸통외면으로 가압접촉하므로써 판스프링 결합체(10)는 부쉬(15)와 결합된다.
이때, 부쉬(15) 외면에 삽입된 판스프링 결합체(10)는 연장 돌출된 판 스프링(14)이 인쇄회로기판(5)의 전파 송수신단자(6) 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또, 판스프링(14)과 전파 송수신단자(6)사이의 이격거리를 판스프링의 길이보다 작게하여 판스프링(14)과 전파 송수신단자(6)간 접촉시 판스프링에 소정크기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판스프링(14)이 송수신단자(6)로부터 쉽게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송수신 단자(6)는 전도성인 판 스프링 결합체(10)와 부쉬(15)를 통해 안테나(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단말기를 사용하다보면 단말기를 떨어뜨리거나, 단말기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충격에 의해 판스프링(14)은 변형되었다가 다시 복원되지만 이러한 충격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탄성력이 점차 저하된다.
또한, 판스프링(14)은 변형에 대한 복원력이 강하지 못해 충격이 가해지면 탄성한계 이상의 변형이 발생되기 쉬워 판스프링(14)과 전파 송수신단자(6) 간의 접촉이 끊어져 안테나(9)와 송수신 단자(6)간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므로써 단말기의 전파 송수신에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외부 충격이나 장기 사용에 따른 변형에도 안테나와 전파 송수신단자간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며 전파 송수신 단자가 구비된 회로기판과, 전파 송수신 단자에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연결수단과, 제 1연결수단과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제 1연결수단은 단말기 내부에 고정되고 상하면에 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내에 삽설된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 상면에 접촉하여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며, 몸체부 상으로 두부가 돌출되어 전파 송수신단자에 접촉하는 단자접촉핀과, 코일 스프링 하면에 접촉되고 몸체부 외부로 도출되는 도출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 결합체이며, 코일 스프링과 단자접촉핀 및 도출핀이 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진다.단자접촉핀 표면 일부에는 테두리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 2연결수단은 제 1연결수단과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 와이어이거나 안테나와 제 1연결수단를 연결하는 고체면에 칠해진 전도성 도료이다.
또, 제 1연결수단과 제 2연결수단이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측면의 부분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횡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의 횡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코일스프링 결합체ㄴ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전면 케이스 32:후면 케이스 35: 인쇄회로기판
36:전파 송수신단자 37: 안테나 40: 코일스프링 결합체
41:단자 접촉핀 42:코일스프링 43:도출핀
44:몸체부 47:테두리 50:금속와이어
51:전도성 도료 52:고정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횡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휴대용 단말기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고안의 코일스프링 결합체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단말기 내에 설치되며 전파 송수신단자(36)가 구비된 회로기판(35)과, 전파 송수신단자(36)에 코일스프링(4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연결수단과, 제 1연결수단과 안테나(3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파 송수신단자(36)와 안테나(37)는 제 1연결수단 및 제 2연결수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단말기 몸체는 전면 케이스(31)와 후면 케이스(32)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몸체 내에는 단말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가 인쇄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35)이 설치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35)은 케이스 내면에서 돌출된 기판 고정대(33)에 삽입 고정된다.
인쇄회로기판(35)에는 동작회로 외에도 단말기 외부로 발신될 전파의 송신 및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 내로 들어오는 전파의 수신을 위한 전파 송수신단자(3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신전파와 송신전파는 모두 전파 송수신 단자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된다.
그리고, 단말기에는 전파의 입력과 출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해 안테나(37)가 설치된다.
안테나(37)는 실린더형상을 가진 안테나 부쉬(38)에 결합되고, 안테나부쉬는 단말기 후면 케이스(32)에 형성된 안테나 홀(34)에 삽입고정되므로써 안테나(37)가 단말기에 고정된다.
안테나 부쉬(38)에는 안테나(37)가 인입될 수 있는 부쉬홀(39)이 형성되어 있고, 홀(39)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홀로 삽입되는 안테나(37)의 표면에도 부쉬(38)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나사결합에 의해 안테나(37)와 안테나 부쉬(38)가 결합하게 된다.
안테나(37)와 안테나 부쉬(38)는 모두 전도성 재질로 되어있고 서로 결합되므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본 고안에서는 회로기판상에 형성된 전파 송수신 단자(36)에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제 1연결수단으로써 핀과 코일 스프링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코일스프링 결합체(40)를 제공한다.
코일 스프링은 판스프링보다 탄성복원력이 더 크므로 비교적 큰 변형에 대해서도 쉽게 영구변형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코일스프링 결합체(40)는 상하면에 홀(45,46)이 형성된 몸체부(44) 내에 코일 스프링(42)이 삽설되고, 코일 스프링의 상면에는 전파 송수신 단자(36)에 접촉되는 단자접촉핀(41)이, 하면에는 도출핀(43)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단자접촉핀(41) 및 코일 스프링(42), 도출핀(43)은 모두 전도성 물질로 되어 있다.
몸체부(44) 상면에는 핀홀(45)이 형성되어 단자접촉핀(41) 두부가 핀홀을 통해 상면으로 돌출되며, 단자접촉핀의 두부는 곡면을 이루어 송수신 단자(36)와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몸체부(44) 내부에 위치한 단자접촉핀(41) 표면에는 테두리(47)가 돌출형성되어있다.
이 테두리(47)가 걸림턱 역할을 하여 단자접촉핀(41)이 핀홀(45)을 통해 코일스프링 결합체의 몸체부(44)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몸체부(44) 내면의 단자 접촉핀(41) 하면으로 코일 스프링(42)이 결합되고, 코일 스프링(42) 하면에는 도출핀(43)이 결합된다.
도출핀(43)은 코일스프링 결합체(40)의 몸체부(44) 하면에 형성된 도출핀 홀(46)을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 결합체(40)의 각 구성요소 즉, 단자접촉핀(41)과 코일스프링(42), 도출핀(43)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후면 케이스(32) 벽면에는 코일스프링 결합체(40)를 단말기 내에 고정되게하는 고정틀(55)이 형성되어 있고, 코일스프링 결합체(40)의 몸체부(44)가 고정틀(55) 내에 삽입 고정되고, 단자 접촉핀(41)과 도출핀(43)은 각각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고정틀(55)의 형성위치는 고정틀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 결합체(40)의 단자접촉핀(41) 두부가 인쇄회로기판(35) 상의 전파 송수신단자(36)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하고, 코일 스프링(42)이 약간의 탄성력을 갖도록 압축되며 접촉할 수 있게한다. 이는, 단자접촉핀(41)과 송수신단자(36)간의 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단자 접촉핀(41)은 전파 송수신 단자(36)에 계속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도 변형에 대한 복원력이 강한 코일 스프링이(42) 압축되었다가 다시 복원하면서 계속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그러므로, 전파 송수신단자(36)로부터 도출핀(43)까지는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안테나(37)와 안테나 부쉬(38)는 전도성 재질로 되어있고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안테나(37) 혹은 안테나 부쉬(38)와 도출핀(43)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전파 송수신단자(36)로부터 안테나(37)까지의 전기적연결이 이루어지게된다.
본 고안에서는 코일스프링 결합체(40)와 안테나(37)간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제 2연결수단으로써 도출핀(43) 및 안테나 부쉬(38)에 양끝단이 각각 납땜으로 고정된 금속와이어(50)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또다른 실시예로 제 2연결수단으로써 안테나 부쉬(38)로부터 고정틀(55)에 이르는 케이스 벽면과 케이스 벽면에서 도출단자에 이르는 고정틀(55) 표면에 칠해지는 전도성 도료(51)를 제공한다.
안테나(37)로 들어온 전파는 금속 와이어(50) 또는 전도성 도료(51)를 따라 도출핀(43)까지 전달되고, 도출핀에서 코일 스프링(42)과 단자 접촉핀(41)을 통해 전파 송수신단자(36)까지 전달된다. 단말기에서 외부로 전파가 송신되는 경우는 역의 경로를 따라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회로기판상의 전파 송수신단자와 안테나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으로써 탄성복원력이 좋은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코일스프링 결합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단말기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연결수단의 파손또는 변형의 염려가 없어 전파 송수신단자와 안테나간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되고, 따라서 단말기의 전파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며 전파 송수신 단자가 구비된 회로기판과,
    상기 전파 송수신 단자에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연결수단과,
    상기 제 1연결수단과 상기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수단은
    단말기 내부에 고정되고 상하면에 홀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내에 삽설된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며, 상기 몸체부 상으로 두부가 돌출되어 상기 전파 송수신단자에 접촉하는 단자접촉핀과,
    상기 코일 스프링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몸체 외부로 도출되는 도출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 결합체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과 단자접촉핀 및 도출핀이 전도성물질로 된 것이 특징인 휴대용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접촉핀 표면에는 테두리가 돌출형성된 것이 특징인 휴대용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수단은
    상기 제 1연결수단과 상기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 와이어인 것이 특징인 휴대용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수단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제 1연결수단를 연결하는 고체면에 칠해진 전도성 도료인 것이 특징인 휴대용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수단과 제 2연결수단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휴대용 단말기.
KR2020010005193U 2001-02-27 2001-02-27 휴대용 단말기 KR200233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93U KR200233495Y1 (ko) 2001-02-27 2001-02-27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93U KR200233495Y1 (ko) 2001-02-27 2001-02-27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495Y1 true KR200233495Y1 (ko) 2001-09-28

Family

ID=7309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193U KR200233495Y1 (ko) 2001-02-27 2001-02-27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4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07188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7396238B2 (en) Battery contact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233495Y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404096Y1 (ko) 스위치 기능을 갖는 안테나 연결용 커넥터
KR200356488Y1 (ko) 내장형 안테나의 터미널 구조
JP2001339225A (ja) 平面アンテナの接続装置
US6503106B1 (en) Electric jack
US6443751B1 (en) Input/output connector
KR200293955Y1 (ko)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KR200233827Y1 (ko) 휴대폰용 안테나
KR200333729Y1 (ko) 무선전화기용 안테나의 접속구조
KR20070109331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조립체
KR200350268Y1 (ko) 휴대용 무선기기의 내장형 안테나 접속구조
KR200253515Y1 (ko)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CN217522220U (zh) 天线连接结构及电子设备
KR20010104434A (ko) 휴대폰 안테나의 접점장치
KR101295052B1 (ko) 휴대 단말기
KR200187228Y1 (ko)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접속 장치
KR102341975B1 (ko) 신호 전송 커넥터용 소켓 조립체
KR200291156Y1 (ko) 휴대폰 안테나의 터미널구조
KR100580778B1 (ko) 장착형 피씨비 안테나 및 그 장착형 피씨비 안테나의 제조방법
JP2001110482A (ja) 圧接実装型部品・圧接実装型部品実装構造
WO2003053028A1 (en) On-board holder
KR1007834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