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515Y1 -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515Y1
KR200253515Y1 KR2020010025706U KR20010025706U KR200253515Y1 KR 200253515 Y1 KR200253515 Y1 KR 200253515Y1 KR 2020010025706 U KR2020010025706 U KR 2020010025706U KR 20010025706 U KR20010025706 U KR 20010025706U KR 200253515 Y1 KR200253515 Y1 KR 200253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ixing piece
contact
hous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림
Original Assignee
원종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림 filed Critical 원종림
Priority to KR2020010025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5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515Y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단자 연결부(11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회로기판에 접지됨으로써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
그(200)를 통해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된 제 1핀(300)과 제 2핀(4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핀(300) 및 제 2핀(400)을 고정 지지해주는 하판(500);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핀(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310); 상기 고정편(31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고정편(310)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구부림성형되고, 상방향으로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330)와, 하향경사진 제 1경사부(340);를 구비한 제 1탄성접촉편(320); 상기 제 1경사부(34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제 1경사부(340)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구부림성형된 제 2탄성접촉편(350); 및 상기 제 2탄성접촉편(350)에서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가 삽입되어 탄성변형될 때 상기 고정편(310)에 탄성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편(31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2접촉부(3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핀(4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410); 및 상기 고정편(410)에서 상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 1핀(300)의 제 1경사부(340)에 선 또는 점접촉되는 제 3접촉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RADIO FREQUENCY SWITCH OF MOBILE}
본 고안은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에프 스위치에 삽입되는 플러그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각 핀의 접촉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부품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기인 개인용 휴대폰은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급속도로 전파되어 하나의 개인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개인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갖춘 휴대폰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은 기지국에서 쏘아 올리는 공중파에 의해 각 개인이 서로간에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인바, 이를 위하여 휴대폰의 내부에 각종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해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휴대폰의 제작시 초기 셋팅을 위해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입력용 케이블(1)을 휴대폰(2)에 연결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시키되,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1)의 선단에 형성된 플러그(3)와 휴대폰(2)에 설치된 알에프(RF ; Radio Frequency) 스위치(4)를 연결시킴으로써 신호 입력용 케이블(1)의 신호가 알에프 스위치(4)를 통해 휴대폰(2) 내부의 회로기판에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외부의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된 상기 알에프 스위치(4)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에프 스위치(4)의 외형을 이루는 금속재의 몸체(5)와, 상기 몸체(5)의 전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1)의 플러그(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단자 연결부(6) 및 상기 몸체(5)의 내측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회로기판에 접지됨으로써,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1)을 통해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된 핀(7)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알에프 스위치(4)의 내측에 설치된 핀(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탄성력을 가지면서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이 회로기판에 접지될 수 있도록 된 제 1핀(8)과, 상기 제 1핀(8)의 후방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면서 그 하단이 회로기판에 접지되는 제 2핀(9)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1)의 플러그(3)를 상기 알에프 스위치(4)의 단자 연결부(6)에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플러그(3)가 알에프 스위치(4)의 제 1핀(8) 내측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제 1핀(8)이 하향되고, 이에 따라 제 1핀(8)과 제 2핀(109)의 접촉부가 분리되며, 반대로 상기 플러그(3)를 뽑게 되면 다시 제 1핀(8)이 상향되면서 제 2핀(9)과 접촉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1)의 사용이 장시간 반복되게 되면 플러그(3)에 의해 제 1핀(8)의 탄성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3)와 제1핀(8)과의 접촉불량을 일으키게 되며, 상기 제 1핀(8)과 제 2핀(9)의 접촉 내구성도 약화되어 신호의 입력이나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알에프 스위치에 삽입되는 플러그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각 핀의 접촉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부품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에 신호 입력용 케이블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알에프 스위치의 핀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결합사시도
도 5a 또는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에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에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하우징 200 : 플러그
300 : 제 1핀 400 : 제 2핀
500 : 하판 600 : 알에프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단자 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회로기판에 접지됨으로써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된 제 1핀과 제 2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핀 및 제 2핀을 고정 지지해주는 하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편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구부림성형되고, 상방향으로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와, 하향경사진 제 1경사부;를 구비한 제 1탄성접촉편; 상기제 1경사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제 1경사부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구부림성형된 제 2탄성접촉편; 및 상기 제 2탄성접촉편에서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탄성변형될 때 상기 고정편에 탄성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편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2접촉부;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제 2핀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에서 상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 1핀의 제 1경사부에 선 또는 점접촉되는 제 3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알에프 스위치(RF ; Radio Frequency)의 제 1핀의 제 1탄성접촉편 및 제 2탄성접촉편에 의해 보다 큰 탄력성을 가지면서 설치되기 때문에 삽입되는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를 견고한 상태로 잡아줄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러그의 접촉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신호 입력이 용이해지며, 상기 제 2핀이 제 1핀과 점접촉 혹은 선접촉되기 때문에 그 접촉 내구성이 향상되고, 알에프 스위치의 부품 안정성이 향상되어 보다 질 좋은 휴대폰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600)를 도시한 일부 절개 결합사시도로서, 휴대폰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단자 연결부(11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회로기판에 접지됨으로써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를 통해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된 제 1핀(300) 및 제 2핀(4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핀(300) 및 제 2핀(400)을 고정 지지해주는 하판(5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핀(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3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31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고정편(310)에 대하여 제 1탄성접촉편(320)이 일정각도로 구부림성형되며 이때, 상기 제 1탄성접촉편(320)은 상방향으로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330)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방향으로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 1경사부(3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경사부(34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제 1경사부(34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제 2탄성접촉편(350)이 일정각도 구부림성형되며 이때, 상기 제 2탄성접촉편(350)은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가 삽입되어 탄성변형될 때 상기 고정편(310)에 탄성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편(31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2접촉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핀(400)은 상기 제 1핀(300)과 대향되게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4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410)에서 상방향으로 제 3접촉부(420)가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 1핀(300)의 제 1경사부(340)에 선 또는 점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알에프 스위치(600)의 특징은 그 내측에 설치된 제 1핀(300)과 제 2핀(400)에 있는 바, 상기 제 1핀(300)의 고정편(310)에 대해 일정각도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된 제 1탄성접촉편(320)과 더불어 상기 제 1탄성접촉편(320)에 연장형성된 제 2탄성접촉편(350)이 굴곡을 가지면서 성형됨으로써, 그 탄성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고, 상기 제 1핀(300)과 접촉되는 제 2핀(400)이 점접촉 또는 선접촉될 수 있도록 성형된 것에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알에프 스위치(600)의 제 1핀(300)은 그 고정편(31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과 더불어 하부의 제 1탄성접촉편(320)에 의해 탄력이 부여되고, 또한 상기 제 1핀(300)의 제 1탄성접촉편(320)이 경사진 상태로 굴곡을 가지면서 제 2탄성접촉편(350)이 성형되기 때문에 상방향에서 보다 큰 힘을 작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1핀(300)의 제 1경사부(340)에 접촉되는 제 2핀(400)의 제 3접촉부(420) 선단이 접촉됨으로써, 접촉면이 점 혹은 선을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 스위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a 또는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로서, 먼저, 휴대폰의 초기 셋팅에 필용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600)에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를 삽입하게 될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200)의 선단이 단자 연결부(110)에 삽입되면서, 제 1핀(300)의 제 1탄성접촉편(320)에 탄력적으로 결합고정되고, 이때, 상기 제 1핀(300)의 제 2탄성접촉편(350)이 상기 고정편(310)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플러그(2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핀(300)의 변형으로 인해 상기 제 2핀(400)의 제 3접촉부(420)로부터 제 1핀(300)의 후단 제 1경사부(340)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플러그(200)를 알에프 스위치(6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제 1핀(300)의 제 1탄성접촉편(350)이 복원되면서 상기 제 2핀(400)에 접촉되는 바, 상기 제 1핀(300)의 제 1경사부(340)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핀(300)의 제 1경사부(340)와 제 2핀(400)의 제 3접촉부(420)선단이 점접촉 또는 선접촉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핀의 휨에 의해서도 그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접촉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알에프 스위치(600)의 부품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에 의하면, 알에프 스위치의 제 1핀이 제 1탄성접촉편 및 제 2탄성접촉편에 의해 보다 큰 탄력성을 가지면서 설치되기 때문에 삽입되는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를 견고한 상태로 잡아줄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러그의 접촉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신호 입력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에프 스위치의 제 2핀이 제 1핀과 점접촉 혹은 선접촉되기 때문에 그 접촉 내구성이 향상되고, 알에프 스위치의 부품 안정성이 향상되어 보다 질 좋은 휴대폰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휴대폰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 단자 연결부(11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회로기판에 접지됨으로써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를 통해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된 제 1핀(300)과 제 2핀(4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핀(300) 및 제 2핀(400)을 고정 지지해주는 하판(500);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핀(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310);
    상기 고정편(31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고정편(310)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구부림성형되고, 상방향으로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330)와, 하향경사진 제 1경사부(340);를 구비한 제 1탄성접촉편(320);
    상기 제 1경사부(34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제 1경사부(340)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구부림성형된 제 2탄성접촉편(350); 및
    상기 제 2탄성접촉편(350)에서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신호 입력용 케이블의 플러그(200)가 삽입되어 탄성변형될 때 상기 고정편(310)에 탄성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편(31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 2접촉부(3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핀(4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410); 및
    상기 고정편(410)에서 상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 1핀(300)의 제 1경사부(340)에 선 또는 점접촉되는 제 3접촉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KR2020010025706U 2001-08-24 2001-08-24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KR200253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06U KR200253515Y1 (ko) 2001-08-24 2001-08-24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06U KR200253515Y1 (ko) 2001-08-24 2001-08-24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515Y1 true KR200253515Y1 (ko) 2001-11-22

Family

ID=7310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706U KR200253515Y1 (ko) 2001-08-24 2001-08-24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5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16B1 (ko) * 2008-12-29 2011-04-2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Rf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16B1 (ko) * 2008-12-29 2011-04-2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Rf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823B1 (ko)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US6305960B1 (en) SIM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detecting switch
KR20070033465A (ko) 휴대 무선 통신장치용 안테나 배열부 및 그 안테나배열부을 포함하는 휴대 무선 통신장치
JPH11103209A (ja) 電波受信装置
US7097480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substantially S-shaped switch
EP1648045B1 (en) A battery contact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40015375A (ko)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커넥터
JP2004533144A (ja) アンテナ装置
KR200253515Y1 (ko) 휴대폰의 알에프 스위치
KR100844589B1 (ko)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안테나 연결용 커넥터
KR200404096Y1 (ko) 스위치 기능을 갖는 안테나 연결용 커넥터
US6503106B1 (en) Electric jack
JP2001060816A (ja) アンテナ構造
KR200218541Y1 (ko) 휴대폰의 신호 입력용 모빌 스위치
JPH11250954A (ja) 高周波電子機器
KR200266630Y1 (ko) 신호 입력용 단자핀 및 이를 이용한 모빌 스위치
KR200293955Y1 (ko)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KR200333729Y1 (ko) 무선전화기용 안테나의 접속구조
KR200166388Y1 (ko) 이동전화단말기용안테나컨텍트구조
KR200305331Y1 (ko) 안테나 터미널
KR200193707Y1 (ko) 휴대폰의 안테나 결합구조
KR200233495Y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168562Y1 (ko) 휴대폰의 테스터 커넥터
KR200164368Y1 (ko) 휴대폰의 안테나 고정장치
KR100597628B1 (ko) 접촉 소자를 안테나부 내에 장착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