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218Y1 - 셔터잠금장치구조 - Google Patents

셔터잠금장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218Y1
KR200233218Y1 KR2019990010974U KR19990010974U KR200233218Y1 KR 200233218 Y1 KR200233218 Y1 KR 200233218Y1 KR 2019990010974 U KR2019990010974 U KR 2019990010974U KR 19990010974 U KR19990010974 U KR 19990010974U KR 200233218 Y1 KR200233218 Y1 KR 200233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door
rocker
gea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059U (ko
Inventor
김기정
Original Assignee
김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정 filed Critical 김기정
Priority to KR2019990010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21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218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셔터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일반 셔터는 문틀 상단부의 일정 공간에 마련한 셔터플리에 연결링크로 연결된 셔터봉,또는 힌지식으로 조립된 셔터바를 감거나 풀어내려 셔터박스 하방양측의 문틀에 형성한 셔터레일 사이로 셔터를 올리거나 내려 출입문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장치인데,상기와 같은 셔터중 특히 셔터봉으로 구성된 문의 셔터잠금장치는 셔터 문틀 하방에 셔터고리를 매입한후,하단의 셔터바에 마련한 문고리에 자물쇠를 채우는 방법이 보편적이였다.이와 같은 방법의 문제점으로는 자물쇠 고리만 절단기로 끊어버면 쉽게 문이 해제 오픈되는 단점이 있었고,또한 사용자가 문을 오픈 할때면 구부리고 앉아서 열쇠를 잠그거나 해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이에 본 고안은 셔터문의 잠금장치를 상단의 셔터박스 직하방의 셔터봉에 근접 용접설치하여 외부의 침입자가 쉽게 파손할수 없게 하며,이의 잠금 해제방법도 원격리모콘에 의해 조작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와 함께 방법등에 안전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도록 한 잠금장치를 제공 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셔터잠금장치구조{SHUTTER LOCKING SYSTEM STRUCTURE}
본 고안은 셔터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셔터는 문틀 상단부의 일정 공간에 마련한 셔터플리에 연결링크로 연결된 셔터봉,또는 힌지식으로 조립된 셔터바를 감거나 풀어내려 셔터박스 하방양측의 문틀에 형성한 셔터레일 사이로 셔터를 올리거나 내려 출입문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장치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셔터중 특히 셔터봉으로 구성된 문의 셔터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이와같은 셔터문에 형성된 통상의 잠금장치는 셔터 문틀 하방에 셔터고리를 매입한후,하단의 셔터바에 마련한 문고리에 자물쇠를 채우는 방법이 보편적이였다.이와 같은 방법의 문제점으로는 자물쇠 고리만 절단기로 끊어버면 쉽게 문이 해제 오픈되는 단점이 있었고,또한 사용자가 문을 오픈 할때면 구부리고 앉아서 열쇠를 잠그거나 해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셔터문의 잠금장치를 상단 셔터박스 직하방에 근접 용접설치하여 외부의 침입자가 쉽게 파손할수 없게 하며,이의 잠금 해제방법도 원격리모콘에 의해 조작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와 함께 방법등에 안전한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도록 한 잠금장치를 제공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해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상태의 사용상태 참고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해제상태의 사용상태 참고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잠금장치 200:코드감개
1:블록(block) 1':로커포켓( locker pocket)
2:기어판넬 3:상부뚜껑
4:로커(locker) 5:사각로커축(locker shaft)
6:로커키홈 7:잠금볼트
8:배선공 9:스텝모터(stepping moter)
10:원동기어 11:중간기어
12:로커작동기어 13:외경멈춤링
14:중간기어축 15:셔터박스
16:셔터플리 17:셔터봉
18:연결링크 19:전선
20:셔터레일 21:문틀
22:로커걺턱
위와같은 목적을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일정두께로 전면이 'Ш'형인 블록(1)의 좌우에 각 형성한 로커포켓(1') 저면에 블록(1)과 같은 두께의 로커(4)의 로커키홈(6)에 사각로커축(5)을 고정시켜,블록(1) 상부에 잠금볼트(7)로 가조립한 기어판넬(2)의 상면에 돌출되게한 상기 각 사각로커축(5) 머리는 로커작동기어(12)를 외경멈춤링(13)으로 조립한후,로커작동기어(12)와 연동되게 상기 기어판넬(2) 상에 돌출고정 시킨 중간기어축(14)에 중간기어(11)를 축설치한후,원동기어(10)를 외경멈춤링(13)으로 조립한 스텝모터(9)를 내벽중앙에 조립한 상부뚜껑(3)를 상기 블록(1)상단 양편을 잠금볼트(7)로 조립해 원동기어(10)가 중간기어(11)에 연동되게 조립한 것이다.
도면중 미도시된 부분은 잠금장치(100)의 상부뚜겅(3) 내에는 공지의 스텝모터(9) 리모콘송수신및 컨트롤라 기판과 전선의 배치가 생략된 것이다.
실시예2.
상기와 같이 구성조립된 잠금장치의 작용실시로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통상의 셔터박스(15)내에 그대로 적용할수 있음을 도해 한것이다.
즉,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일정간격의 연결링크(18)로 조립된 셔터봉(17)간의 일구간 중간에 용접조립한 것으로서,본 장치와 별개로 본 장치의 스텝모터(9)의 배선은 셔터박스(15)내부의 일측부에 설치한 코드감개(200)에 의해 셔터플리(16)에 셔터봉(17)이 감기거나 풀릴때 따라서 코드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부수적 조처가 선행 수반되어야 한다.
이어 본 고안의 작동을 알아보면 도 4의 도시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상태의 사용상태 참고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셔터박스(15)의 하단부에 로커걺턱(22)에 위치한 셔터봉(17)및 직하방의 셔터봉(17) 구간에 본 고안 장치인 잠금장치(100)를 용접 설치한 잠금상태를 나타낸것으로서,로커(4)가 블록(1)의 로커포켓(1')으로 부터 90°회전해 돌출된 상태로, 통상 마련된 로커걺턱(22) 하단틈새에 걸려 셔터레일(20)상에 설치된 셔터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로 부터 잠금장치의 해제로는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본 고안의 잠금장치(100)에 적용된 스텝모터(9)를 통상의 원격리모콘(도시되지 않았음)으로 외부에서 조작해,로커(4)가 블록(1)과 같은 면상으로 진행되게,사각로커축(5)이 90°회전함으로서,로커걺턱(22)의 틈새에 걸려 내부의 셔터플리(16)에 감기지 않고 있던 셔터문을 해제시켜 셔터플리(16)에 감겨올라 셔터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본 잠금장치(100)외 부수적으로 수반장치된 코드감개(200)에는 셔터플리(16)에 셔터봉(17)과 연결링크(18)가 감길때 함께 감겼다가,역으로 다시 풀리도록 공지의 코드감개(200)를 셔터박스(15) 내부에 설치 하도록 하여 본 장치가 원활하게 구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 작동되는 본 고안의 잠금장치(100)의 일실시 작용효과로는 먼저,종래와 같이 셔터 문틀(21)에 설치된 셔터고리나 통상의 잠금장치는 셔터 문틀 하방에 셔터고리를 매입한후,하단의 셔터바에 마련한 문고리에 자물쇠를 채우는 불편한 방식으로 부터 외부에서 리모콘을 이용해 셔터박스(15) 하단에 걸린 로커(4)을 90°돌려 로커걺턱(22)을 통과해 셔터플리(16)에 감기게 됨으로서,사용자가 문을 오픈 할때면 구부리고 앉아서 열쇠를 잠그거나 해제해야 하는 불편을 덜수 있게 하였다.
또한,잠금장치가 셔터 문틀 상단의 셔터봉(17)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절단기로 부수기 곤란하게 하여 더욱 안전한 방범책을 제공 하면서도 종전의 셔터장치문에도 용이하게 시공될수 있도록한 유용한 고안 인 것이다.

Claims (1)

  1. 일정두께로 전면이 'Ш'형인 블록(1)의 좌우에 각 형성한 로커포켓(1') 저면에 블록(1)과 같은 두께의 로커(4)의 로커키홈(6)에 사각로커축(5)을 고정시켜,블록(1) 상부에 잠금볼트(7)로 가조립한 기어판넬(2)의 상면에 돌출되게한 상기 각 로커축(5) 머리는 로커작동기어(12)를 외경멈춤링(13)으로 조립한후, 로커작동기어 (12)와 연동되게 상기 기어판넬(2) 상에 돌출고정 시킨 중간기어축(14)에 중간기어 (11)를 축설치한후,원동기어(10)를 외경멈춤링(13)으로 조립한 스텝모터(9)를 내벽중앙에 조립한 상부뚜껑(3)를 상기 블록(1)상단 양편을 잠금볼트(7)로 조립해 원동기어(10)가 중간기어(11)에 연동되게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잠금장치구조.
KR2019990010974U 1999-06-19 1999-06-19 셔터잠금장치구조 KR200233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974U KR200233218Y1 (ko) 1999-06-19 1999-06-19 셔터잠금장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974U KR200233218Y1 (ko) 1999-06-19 1999-06-19 셔터잠금장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059U KR19990037059U (ko) 1999-10-05
KR200233218Y1 true KR200233218Y1 (ko) 2001-09-29

Family

ID=5475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974U KR200233218Y1 (ko) 1999-06-19 1999-06-19 셔터잠금장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2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059U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680B2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US5657578A (en) Easy out fire escape window gate
FI91910C (fi) Lukituslaite
US6250119B1 (en) Mortise lock
US4213315A (en) Key actuated security entry system
KR200233218Y1 (ko) 셔터잠금장치구조
US5458178A (en) Lattice and security device for emergency escape
HU224565B1 (hu) Ajtózár
KR100724309B1 (ko) 건축단지용 방범창틀구조
KR20220000692U (ko) 현관문용 안전고리
JPH0137095Y2 (ko)
KR102053952B1 (ko) 도어 파손에 의한 개방을 방지하는 도어락 장치
KR101294769B1 (ko) 도어락 장치
JPS6224689Y2 (ko)
KR200392352Y1 (ko) 절단방지 기능을 가지는 셔터용 잠금장치
JP2001220931A (ja) 建 具
JP2634506B2 (ja) 開閉戸板の施錠装置
EP0750094A1 (en) Roller shutter auto-lock assembly
WO2001012944A1 (en) Lock mechanism for blinds
KR900007486Y1 (ko) 셔터 시건장치
KR200196443Y1 (ko) 주택의 베란다용 안전창
KR960000122Y1 (ko) 금고문의 비상 조치 장치
JPH063991Y2 (ja) パイプ式シャッター構造
JPS6133115B2 (ko)
JP2005076323A (ja) 開口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