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486Y1 - 셔터 시건장치 - Google Patents

셔터 시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486Y1
KR900007486Y1 KR2019880003506U KR880003506U KR900007486Y1 KR 900007486 Y1 KR900007486 Y1 KR 900007486Y1 KR 2019880003506 U KR2019880003506 U KR 2019880003506U KR 880003506 U KR880003506 U KR 880003506U KR 900007486 Y1 KR900007486 Y1 KR 900007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lever
shutt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372U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2019880003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486Y1/ko
Publication of KR890019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3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셔터 시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시건장치의 열림상태 작용 단면도로서, a)는 잠김상태, b)는 시건레버의 해지상태, c)는 걸핀의 분리상태.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시건장치의 닫힘상태 작용 단면도로서, a)는 걸핀에 의한 레버 해지틀의 작동상태도, b)는 걸핀의 걸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시건틀 2a, 2b : 힌지축
3a, 3b : 곡선부 4 : 핀스프링
5a, 5b : 고정핀 6 : 작동실
8a, 8b : 해지틀 9a, 9b : 해지핀
10 : 안내구멍 11 : 힌지핀
12 : 시건레버 12a : 걸림홈
12b : 걸림턱 13 : 슬리이브
14 : 스프링 15 : 연동로드
16, 16a, 16b : 경사부 17 : 레버헤지틀
18 : 유도홈 19 : 걸핀
C, C' : 상, 하부케이싱 H : 손잡이
S : 셔터 G : 지면
본 고안은 통상 건물의 입구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하는 셔터(shutter) 시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셔터의 회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인의 강제 해지 가능성을 배제하여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 할 수 있게된 셔터 시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설치, 사용되는 셔터 시전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의 경첩 등을 셔터와 지면에 매설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고리 부위에 자물쇠를 채워두는 정도이거나, 또는 걸림고리 부위에 자물쇠가 들어갈 정도의 보호통을 씌워 외부인의 강제 해지 가능성을 방지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셔터 시건장치에 있어서는, 우선 경첩의 걸림고리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되므로 굵은 철사 등을 절단할 수 있게된 휴대용 절단기등으로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시건장치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이러한 휴대용 절단기의 사용 공간을 축소시키기 위해 걸림고리부위에 보호통을 씌워 놓을 경우에도 우선 사용자의 잠금, 해지를 위한 동작에 과대한 불편이 있게 됨은 물론, 자물쇠와 보호통등이 전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 침입자의 제거 작업은 지연시킬 수 있으나 침입 자체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한 상태는 아닌바,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시건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가장 큰 이유를 대별하여 보면, 첫째,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만한 시건장치가 충분히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점.
둘째, 시중에 보급된 기성의 시건장치는 고가이므로 실사용자가 외면하게 되는 점.
셋째,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잦은 고장을 유발하며, 고장시 전문가에게 의뢰해야만 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즉시 보수하지 않거나 늦은 시간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관계자가 수리 완료시까지 건물내에 상주하고 있어야만 하는 점.
넷째, 이러한 불이익을 감수하며 설치하여도 안정성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게 되는 점등이 지적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첩 및 자물쇠로 구성되는 셔터 시건장치를 사용할 경우 이는 결국 외부인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근본 이유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폐. 단점들을 감안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염가로 구성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 침입자의 시건장치 해지 기도에 강력히 대치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셔터 시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명확히 도시를 위해 케이싱(casing)은 생략하였으나, 시건틀(1a, 1b)의 상부 양측은 케이싱(C)에 고정된 힌지축(hinge shaft : 2a, 2b)에 고정되어 곡선부(3a, 3b)로 맞물려 있고, 양 힌지축(2a, 2b)에 연결된 핀스프링(pin-spring :4)은 하부로 연장되어 고정핀(5a, 5b)에 고정되며, 곡선부(3a, 3b)하부의 작동실(6) 전면에는 케이싱(C)에 고정된 열쇠뭉치(7) 후방의형 해지틀(8a)이 위치하고 케이싱(C) 후면에 고정되어 손잡이(H)로 작동되는 해지틀(8b)은 작동실(6)의 후면에 끼워져 양 해지틀(8a, 8b)의 전면에 구비한 해지핀(9a, 9b)이 일치되게 조립된다.
양 시건틀(1a, 1b)을 관통하며 작동실(6)로 연통된 안내구멍(10)에는 시건틀(1b)에 힌지핀(11)으로 고정된 시건레버(12)가 시건틀(1a)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중간부에 하면에 형성시킨 걸림홈(12a)이 양 해지핀(9a, 9b)의 상부에 얹혀 걸림턱(12b)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시건틀(1a)의 안내구멍(10)으로 돌출된 시건레버(12)에는, 시건틀(1a)의 측면에 형성시킨 슬리이브(sleeve : 13)에 지지되어 스프링(14)으로 인장력을 부여한 연동로드(15)가 힌지 이음되고, 연동로드(15)의 하단에는 경사부(16)를 구비한형 레버 해지틀(17)이 시건틀(1a)의 유도홈(18)내에 설치되며, 양 시건틀(1a, 1b)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16a, 16b)의 상부에는 하부 케이싱(C')에 고정된 걸핀(lock pin : 19)이 끼워지는 걸림홈(20)이 구비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S)는 셔터이고, (G)은 지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작용효과를 우선 셔터(S)가 잠겨있는 상태를 가상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케이싱(C')은 지면(G)에 매설되고, 상부케이싱(C)은 하부케이싱(C')의 걸핀(19)에 대응하는 위치의 셔터(S)에 고정설치되어 셔터(S)외면으로는 열쇠뭉치(7)의 열쇠구멍만이 노출되게 설치되는바, 제2도 (a)는 셔터(S)의 잠김상태 즉, 시건틀(1a, 1b)의 걸이홈(20)이 걸핀(19)에 걸려 있는 상태를 상부케이싱(C)후면에서 본 상태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 시건틀(1a, 1b)은 양 힌지축(2a, 2b)에 설치되어 고정핀(5a, 5b)에 고정시킨 판스프링(4)에 의해 맞물려진 상태로서, 시건틀(1b)에 힌지핀(11)으로 고정시킨 시건레버(12)는 그 하단의 걸림홈(12a)이 작동실(6)에 끼워진 해지틀(8a)의 해지핀(9a)에 얹혀 있게 되고, 시건틀(1a)의 외부로 돌출된 시건레버(12)는 슬리이브(13)에 스프링(14)을 탄력 설치한 연동로드(15)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며, 레버해지틀(17)은 시건틀(1a)의 유도홈(18)하부로 하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면(G)과 셔터(S)의 접촉간격이 긴밀하여 외부 침입자가 지면(G)과 셔터(S)사이로 공구를 밀어 넣어 양시건틀(1a, 1b)을 벌리기가 매우 곤란하게 되고, 또한 공구를 집어넣었다 하더라도 시건틀(1b)에 고정된 시건레버(12)의 걸림홈(12a)이 해지핀(9a)에 걸려 있게 되어 양 시건틀(1a, 1b)은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잠김상태에서 열쇠, 또는 손잡이(H)를 돌려주게 되면(도면에서는 반 시계방향이며 열쇠와 손잡이(H)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 반향이 된다) 해지틀(8a)이 작동실(6)을 벌이는 동시에 해지핀(9a)이 걸림홈(13a)일측의 걸림턱(12b)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이때 해지핀(9a)이 시건레버(12)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시건레버(12)는 안내구멍(10)상부로 올라가게 되어 연동로드(15)도 스프링(14)을 인장시키면서 그 하부의 레버 해지틀(7)이 유도홈(18)내로 삽입되면서, 양 시건틀(1a, 1b)은 벌어지게 되는데, 양 힌지축(2a, 2b)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시건틀(1a, 1b)은 그 상부의 맞물림 부위에 곡선부(3a, 3b)가 형성되어 작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제2도 (b)참조)
이와 같이하여 양 시건틀(1a, 1b)이 벌어지면 걸이홈(20)이 개방되어 하부케이싱(C')의 걸핀(19)과 분리되므로 셔터(S)를 밀어 올리면 제2도 (c)에서와 같이 지면(G)으로부터 분리, 즉 셔터(S)의 열림상태가 된다.
셔터(S)가 열리고 나면 열쇠를 다시 잠금상태로하여 빼낸 뒤 보관하게 되면 이때 양 시건틀(1a, 1b)은 하부케이싱(C')의 걸핀(19)과 분리된 상태로 최초의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셔터(S)를 닫을 경우에는 제3도 (a)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싱(C')과 분리된 상태로 시건틀(1a, 1b)이 잠겨져있는 셔터(S)를 내리게 되면, 시건틀(1a)의 유도홈(18)하부로 내려와 있는 연동로드(15)하단의 레버해지틀(17)이 걸핀(19)과 접촉하게 되는데 셔터(S)가 하강하는 힘에 의해 시건틀(1a, 1b)이 하강함에 따라 레버 해지틀(17)이 걸핀(19)에 압박되어 연동로드(15) 및 시건레버(12)는 레버 해지틀(17)이 유도홈(18)상면에 밀착될때까지 계속 상승하여 결국 시건레버(12)의 걸림홈(12a)이 해지핀(9a)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즉, 걸림홈(12a)일측의 걸림턱(12b)이 해지핀(9a)의 작동제한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위치이며 이러한 상태는 시건틀(1a, 1b)의 구속력이 해지되어 외력에 의해 벌어질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한편, 걸핀(19)에 의해 레버해지틀(17)이 상승한 상태에서, 양 시건틀(1a, 1b) 및 레버해지틀(17)의 하면은 내향된 경사부(16, 16a, 16b)를 구비하고 있어서, 양 시건틀(1a, 1b)의 이음부, 즉 걸이홈(20)의 하부로 걸핀(19)을 유도함은 물론, 그 경사부(16, 16a, 16b)를 따라 걸핀(19)이 계속 상승(실제로는 시건틀이 하강함)하면서 양 시건틀(1a, 1b)을 좌우로 벌려주게 된다. (제3도 (b)참조)
이후, 계속하여 셔터(S)가 하강하면 양 시건틀(1a, 1b)을 걸핀(19)의 좌우로 벌어져, 걸핀(19)이 걸이홈(20)내로 밀려들어가고 나면 양 시건틀(1a, 1b)을 연결한 판스프링(4)에 시건틀(1a, 1b)은 잠기고 시건레버(12)는 스프링(14)에 의해 안내구멍(10)하부로 내려오게 되므로 결국 제2도 (a)에서와 같이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은 결론적으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작업공수 및 부품수를 최소한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대폭적인 원가절감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설치가 쉽고 오작동이 없이 유지, 보수비가 거의 필요치 않으며, 잠김상태가 견고함은 물론 예상되는 외부인의 침입 기도에 강력히 대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난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상부케이싱(C)에 힌지축(2a, 2b)으로 고정되고, 곡선부(3a, 3b)로 맞물리며, 고정핀(5a, 5b)에 고정된 판스프링(4)으로 탄력설치한 시건틀(1a, 1b)의 작동실(6)내에, 상부케이싱(C)의 전후면에 고정되어, 열쇠 및 손잡이(H)로 작동되는 해지틀(8a, 8b)을 끼워 해지핀(9a, 9b)이 일치되게 설치하고, 시건틀(1b)의 안내구멍(10)에 힌지핀(11)으로 고정되고, 중앙 하부에 형성시킨 걸림턱(12a) 일측의 걸림홈(12b)으로 해지핀(9a, 9b)상부에 얹혀 지지되게 설치한 시건레버(12)의 타단을 시건틀(1a)의 안내구멍(10)외부로 연장하여, 시건틀(1a) 측면의 슬리이브(13)에 끼워져 스프링(14)으로 탄력 설치되고, 하부에는 시건틀(1a) 하부의 유도홈(18)내에 설치되며 하면에 경사부(16)가 형성된 레버해지틀(17)을 구비한 연동로드(15)를 힌지 이음하며, 하면에 각각 내향된 경사부(16a, 16b)를 구비한 시건틀(1a, 1b)의 상부에는 걸이홈(20)을 구비하여, 하부케이싱(C')의 중앙에 고정된 걸핀(19)이 끼워지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시건장치.
KR2019880003506U 1988-03-16 1988-03-16 셔터 시건장치 KR900007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506U KR900007486Y1 (ko) 1988-03-16 1988-03-16 셔터 시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506U KR900007486Y1 (ko) 1988-03-16 1988-03-16 셔터 시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372U KR890019372U (ko) 1989-10-05
KR900007486Y1 true KR900007486Y1 (ko) 1990-08-18

Family

ID=1927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506U KR900007486Y1 (ko) 1988-03-16 1988-03-16 셔터 시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4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372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461A (en) Safety gate for children
US4127967A (en) Burglar-resistant door assembly
US4103949A (en) Safety door latch
US5255471A (en) Friction stays
US7387076B2 (en) Locking system for a door of an enclosure
US4435921A (en) Safety door
US3270536A (en) Combined casement window latch with locking means
US4679353A (en) Security door
US4472143A (en) Method for securing doors, and the like
CA2246211A1 (en) Deadbolt combination locking system with automatic locking spring bolt
KR900007486Y1 (ko) 셔터 시건장치
US4243090A (en) Burglar proof fire safe window covering
KR100883631B1 (ko) 금고문의 다기능 빗장장치
US4878699A (en) Latch mechanisms
KR101122312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US3468142A (en) Key-actuated latch for casement windows
HU224565B1 (hu) Ajtózár
KR20010016844A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EP0147448B1 (fr) Bloc-porte de securite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GB2310449A (en) Lockable turnbuckle blocking device
KR102381680B1 (ko) 유리문 잠금장치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US4025097A (en) Security lock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