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129Y1 - 진공청소기용흡입장치와그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흡입장치와그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129Y1
KR200233129Y1 KR2019980024230U KR19980024230U KR200233129Y1 KR 200233129 Y1 KR200233129 Y1 KR 200233129Y1 KR 2019980024230 U KR2019980024230 U KR 2019980024230U KR 19980024230 U KR19980024230 U KR 19980024230U KR 200233129 Y1 KR200233129 Y1 KR 200233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device
connector
communication devic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996U (ko
Inventor
김내정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ublication of KR19990032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129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와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마루 또는 융단을 청소할 때 흡입장치의 흡입구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전환이 용이하면서 구조도 간단하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300)에 연통장치(200)를 매개로 설치되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400)는, 마루와 융단을 구별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2개의 흡입구가 소정각도로 분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흡입장치가 연통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10,250)에 상기 흡입장치의 접속부(410,610)가 끼워져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의 내주면에서 축중심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되 연결구의 선단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211,253)이 상기 흡입장치의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640)의 선단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유로가 흡입구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공기유로안내격벽에서 축방으로 돌설된 스프링안착부(211a,254)에 안착된 판스프링(500)에 의해 연결구에 흡입장치의 연결관부(411,611)가 끼워져 흡입장치를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흡입장치의 회전이 멈춰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와 그 설치구조
본 고안은 구동수단의 흡입력에 의해서 청소를 수행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루 또는 융단을 청소할 때 흡입장치의 흡입구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전환이 용이하면서 구조도 간단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와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주요구성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100)와, 이 흡입장치(100)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장치(200)및, 이 연통장치(200)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3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100)는,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의 전방에 융단을 청소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솔이 심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장치(200)는, 상기 흡입장치(100)의 후단에 구비된 연결관부(120)의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플라스틱재질의 연결구(210)와, 이 연결구(210)와 결합되어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조작하도록 된 전원스위치 또는 풍속의 강약을 조작하도록 된 풍속조절스위치가 부착된 손잡이조절부(220)및, 이 손잡이조절부(220)와 연통되도록 결합됨은 물론 굴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된 흡입호스(2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구(210)는, 상기 연결관부(120)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연결관부(120)에서 상하로 출몰할 수 있도록 설치된 출몰돌기(110)에 끼워지는 일정길이의 제1연장관(211)과, 상기 손잡이조절부(220)의 구멍(221)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연장관(212)와, 상기 제1,2연장관(211,212)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3연장관(21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본체(300)는, 흡입호스(230)의 끝단부가 접속되도록 된 흡입호스접속구(310)와, 포집된 먼지의 양이 표시되도록 된 먼지표시기(320)와, 양측부에 설치된 2개의 제2이송바퀴(330)와, 작업장소의 이동을 위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된 운반용손잡이(340)및,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플러그(35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3연장관(211,212,213)을 조립하여 연결구(210)를 구성하여 일단은 흡입장치(100)에 결합하고 타단은 연통장치(200)의 흡입호스(230)와 연결된 손잡이조절부(220)에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연통장치(200)의 흡입호스(230)를 흡입호스접속구(310)에 결합한다.
이후 청소작업자가 본체(300)에 전원을 인가시킴과 더불어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도시되어있지 않음)가 고속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됨과 더불어 연통장치(200)를 거쳐 상기 본체(300)로 흡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210)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경우에는 사람의 신장과 청소구역에 따라 길이조절을 선택적으로 하여 청소하면 상기 흡입장치(100)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흡입장치(100)는 마루 또는 융단의 청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레버(130)를 조작하여 사용하여야 하나 이를 확실하게 인식하지 못하여 청소조건에 맞지 않은 상태로 청소를 함으로서 청소작업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흡입장치(100)의 바닥면에 마루 또는 융단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흡입장치의 흡입구가 마루와 융단청소용으로 분기된 구조로 됨과 더불어, 연통장치를 구성하는 연결구에 각각의 흡입구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조립되어,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전환이 용이하면서 구조도 간단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와 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와 그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연통장치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흡입장치의 연결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와 그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연통장치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B,C,D: 흡입구 200: 연통장치
210,250: 연결구 211,253: 공기유로안내격벽
300: 본체 400: 흡입장치
410,610: 접속부 420,620: 마루청소부
430: 융단청소부 432,632: 솔
440,640 : 흡입구유로선택격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에 연통장치를 매개로 설치되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가 마루와 융단을 구별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소정각도로 분기되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에 연통장치를 매개로 설치되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연통장치가 설치된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통장치의 하부에 구비된 연결구에 상기 흡입장치의 접속부가 끼워져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의 내주면에서 축중심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되 연결구의 선단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이 상기 흡입장치의 흡입구유로선택격벽의 선단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유로가 각각의 흡입구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공기유로안내격벽에서 축방으로 돌설된 스프링안착부에 안착된 판스프링에 의해 연결구에 흡입장치의 연결관부가 끼워져 흡입장치를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흡입장치의 회전이 멈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와 그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 1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1실시예는,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300)에 연통장치(200)를 매개로 설치되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400)는, 마루와 융단을 구별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2개의 흡입구(A,B)가 90도 방향으로 분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400)는, 상기 연통장치(200)에 끼워지는 접속부(410)와, 이 접속부(41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상기 흡입구(A)가 설치된 마루청소부(420)와, 상기 접속부(41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유입되다가 일정위치에서 하부로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상기 흡입구(B)가 설치된 융단청소부(430)와, 상기 접속부(41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상기 마루청소부(420)와 융단청소부(430)로 분기되도록 돌출형성된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속부(410)는, 상기 연통장치(200)의 외주와 일치하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 연결관부(411)와, 이 연결관부(411)의 내주면에서 직경이 확경되어 계단진 연통장치걸림턱(412)과,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의 상하에 위치되도록 연결관부(411)의 내부구멍에는 연통장치걸림턱(412)까지 후술하는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1)가 안착되도록 반원 또는 요(凹)형상의 홈(4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루청소부(420)는,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과 흡입구(A)를 통해 일정면적에 떨어진 이물질과 먼지가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마루밀착부(421)와, 이 마루밀착부(421)의 앞뒷쪽 중앙부에 일정높이로 절취되어 앞뒷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이 본체(300)로 유입되도록 한 전후방공기유입부(422,423)와, 이 후방공기유입부(423)의 중앙에 일정폭과 높이로 부착되어 상기 흡입구(A)로 유입되지 못한 먼지등이 흡입장치(400)의 전방이동시 함께 전방으로 밀려가도록 설치된 먼지포집테잎(424)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융단청소부(430)는,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과 흡입구(B)를 통해 일정면적의 융단에 근접하도록 된 직 4각형 형상의 융단근접면(431)와, 이 융단근접면(431)를 따라 융단에 떨어진 이물질과 먼지를 털어낼 수 있도록 설치된 솔(432)과, 이 솔(432)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앞뒷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이 본체(300)로 유입되도록 한 먼지포집리브(43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장치가 연통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10)에 상기 흡입장치(400)의 접속부(410)가 끼워져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210)의 내주면에서 축중심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되 연결구(210)의 선단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211)이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의 선단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유로가 상기 흡입구(A,B)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210)의 외주면 선단에는 상기 접속부(410)를 구성하는 연결관부(411)의 내주면에서 직경이 확경되어 계단진 연통장치걸림턱(412)에 안착되도록 돌기를 갖춘 플랜지(212)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 플랜지(212)가 상기 연결관부(411)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연결구(210)의 선단에는 일정길이의 슬롯(213)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연결구(210)의 내주면에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211)에서 축방향으로 스프링안착부(211a)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안착부(211a)에 안착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가 상기 플랜지(212)의 윗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슬롯(213)의 사이에 돌출부안착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10)에 설치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를 상기 흡입장치(400)의 연결관부(411)에 형성된 홈(414)에 맞춰어 끼우게 되면, 상기 연결구(210)에 끼워진 흡입장치(400)는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되지 않고 회전만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210)의 내주면에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211)과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의 선단과 밀착되면서 공기유로가 상기 흡입구(A,B)중 한 곳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후 상기 흡입장치(4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스프링안착부(211a)에 안착되어 돌출부안착홈(214)으로 돌출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가 상기 연결관부(411)의 내주에 형성된 또하나의 홈(414)에 안착되면서 180도만 회전하게 되어 상기 흡입구(A 또는 B)중 처음과 다른 흡입구(A 또는 B)와 연통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다음 또 다시 흡입장치(400)를 회전시키면 최초의 흡입구와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300)에 연결된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10)에 흡입장치(400)의 접속부(410)를 끼워서, 상기 연결구(210)의 플랜지(212)가 접속부(410)의 연통장치걸림턱(412)에 안착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10)에 설치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를 상기 흡입장치(400)의 연결관부(411)에 형성된 홈(414)에 맞춰어 끼우게 되면, 상기 연결구(210)에 끼워진 흡입장치(400)는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되지 않고 회전만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210)의 내주면에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211)과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의 선단과 밀착되면서 공기유로가 상기 흡입구(A,B)중 한 곳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청소를 해야할 곳이 마루인 경우에는 도 4의 상태에서 180도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구(210)에 설치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가 상기 흡입장치(400)의 연결관부(411)에 형성된 홈(414)에 안착되어 회전이 제어되는 상태가 됨과 더불어, 이때 본체를 구동시키면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10)에 형성된 공기유로안내격벽(211)을 따라 흡입공기가 흡입구(A)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장치(400)의 마루청소부(420)가 하부로 향하게 한 다음 마루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공기유로안내격벽(211)의 선단과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의 선단이 밀착되어 흡입구(A)와 연통장치(200)가 연통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전방공기유입부(422)로 공기와 먼지가 유입되어 흡입구(A)와 연통장치(200)를 거쳐 본체(300)에 포집되게 된다.
이때 상기 먼지포집테잎(424)은 상기 흡입구(A)로 유입되지 않은 먼지 또는 이물질을 밀고 가면서 재차 상기 흡입구(A)로 유입되게 모으게 된다.
한편 융단등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청소할 경우에는 상기 마루청소부(420)와 융단청소부(430)를 손으로 잡고 180도 회전시켜 상기 연결구(210)에 설치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가 연결구(210)의 중심으로 이동되어 회동되다가 상기 흡입장치(400)의 연결관부(411)에 형성된 반대쪽 홈(414)에 안착되어 회전이 제어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솔(432)로 융단등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털어가면서 비산시켜 먼지포집리브(433)와 흡입구(B)를 통해 연통장치(200)를 매개로 본체(300)로 포집하게 된다.
즉 다시한번 정리하면, 상기 마루청소부(420)와 융단청소부(430)를 손으로 잡고 180도 회전시키킨 상태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되면, 상기 본체(300)의 구동과 함께 마루청소부(420)를 바닥에 밀착시킬 때 상기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10)에 형성된 공기유로안내격벽(211)을 따라 흡입공기가 흡입구(A)와 연통되어 마루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시킨 상태가 도 4와 반대가 되면, 상기 공기유로안내격벽(211)의 선단과 흡입구유로선택격벽(440)의 선단이 밀착되어 흡입구(B)와 연통장치(200)가 연통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솔(432)로 융단등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털어가면서 비산시켜 흡입공기에 의해 먼지포집리브(433)와 흡입구(B)를 통해 연통장치(200)를 매개로 본체(300)로 포집하게 된다.
본 고안의 2실시예는,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300)에 연통장치(200)를 매개로 설치되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마루와 융단을 구별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2개의 흡입구(C,D)가 소정각도로 분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연통장치(200)의 후술하는 연결구(250)에 끼워지는 접속부(610)와, 이 접속부(6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상기 흡입구(C)가 설치된 마루청소부(620)와, 상기 접속부(6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방향에 상기 흡입구(D)가 설치된 융단청소부(630)와, 상기 접속부(61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상기 마루청소부(620)와 융단청소부(630)로 분기되도록 호형선택홈(641)이 형성된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속부(610)는, 상기 연통장치(200)의 외주와 일치하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 연결관부(611)와,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의 상하에 위치되도록 연결관부(611)의 내부구멍에는 상기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가 안착되도록 반원 또는 요(凹)형상으로 형성된 홈(612)과, 이 홈(612)과 90도 변위된 위치에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50)에 구비된 후크(251)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결합홈(6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루청소부(620)는,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과 흡입구(C) 를 통해 일정면적에 떨어진 이물질과 먼지가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마루밀착부(621)와, 이 마루밀착부(621)의 앞뒷쪽 중앙부에 일정높이로 절취되어 앞뒷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이 본체(300)로 유입되도록 한 전후좌우방공기유입부(622,623,624,625)와, 이 좌우방공기유입부(624,625)의 중앙에 일정폭과 높이로 부착되어 상기 흡입구(C)로 유입되지 못한 먼지등이 흡입장치(600)의 전방이동시 함께 전방으로 밀려가도록 설치된 먼지포집테잎(626)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융단청소부(630)는,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과 흡입구(D)를 통해 일정면적의 융단에 근접하도록 된 직 3각형형상의 융단근접면(631)와, 이 융단근접면(631)를 따라 융단에 떨어진 이물질과 먼지를 털어낼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앞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된 솔(632)과, 이 솔(632)의 심어지지 않아 공기가 유입되도록 된 공기유입부(63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의 접속부(610)와 결합되는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50)는, 외주면 선단에 상기 접속부(610)를 구성하는 연결관부(611)의 내주면에 안착되도록 후크(251)와 돌기(252)가 180도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한편, 상기 연결구(25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에 형성된 호형선택홈(641)과 맞춰지도록 돌출성형된 공기유로안내격벽(253)과, 이 공기유로안내격벽(253)에서 상기 돌기(252)가 구비된 쪽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부(254)와, 이 스프링안착부(254)에 안착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가 상기 돌기(252)의 뒷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안착홈(255)과, 이 돌출부안착홈(255)의 뒤쪽으로 직경이 확경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접속부(61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플랜지(25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장치가 연통장치의 연결구와 결합되는 구조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50)에 상기 흡입장치의 접속부(610)가 끼워져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250)의 내주면에서 축중심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되 연결구(250)의 선단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253)이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의 호형선택홈(641)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유로가 상기 흡입구(C,D)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50)에 설치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를 상기 연결구(250)의 스프링안착부(254)에 안착된 상태로 돌출부안착홈(255)으로 돌출되도록 끼우게 되면, 상기 연결구(250)에 가압되어 끼워진 흡입장치(600)는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되지 않고 회전만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250)의 내주면에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253)과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의 호형선택홈(641)과 밀착되면서 공기유로가 상기 흡입구(C,D)중 한 곳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흡입장치(6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스프링안착부(254)에 안착되어 돌출부안착홈(255)으로 돌출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가 탄성변형되어 내측으로 들어가서 상기 연결관부(611)의 내주에 형성된 또하나의 홈(612)에서 돌출되어 안착되면서 180도만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흡입구(C 또는 D)중 처음과 다른 흡입구(C 또는 D)와 연통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다음 또 다시 흡입장치(600)를 회전시키면 최초의 흡입구와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300)에 연결된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50)에 흡입장치의 접속부(610)를 끼워서, 상기 연결구(250)의 후크(251)와 돌기(252)가 접속부(610)의 내측구멍에 걸려져서 안착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50)에 설치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와 돌기(252) 및 후크(251)를 상기 흡입장치의 연결관부(611)에 형성된 홈(612)과 결합홈(613)으로 가압하여 끼움맞추게 되면, 상기 연결구(250)에 끼워진 흡입장치는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되지 않고 회전만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250)의 내주면에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253)과 상기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의 선단과 밀착되면서 공기유로가 상기 흡입구(C,D)중 한 곳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청소를 해야할 곳이 마루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180도를 돌려서 상기 흡입장치(600)의 마루청소부(620)가 하부로 향하게 한 다음, 상기 연결구(250)에 설치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가 상기 흡입장치(600)의 연결관부(611)에 형성된 홈(612)에 안착되어 회전이 제어되는 상태가 되므로, 이때 본체를 구동시키면 연통장치(200)의 연결구(250)에 형성된 공기유로안내격벽(253)을 따라 흡입공기가 흡입구(C)와 연통되어 마루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공기유로안내격벽(253)의 선단과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의 선단이 밀착되어 흡입구(C)와 연통장치(200)가 연통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전후좌우방공기유입부(622,623,624,625)로 공기와 먼지가 유입되어 흡입구(D)와 연통장치(200)를 거쳐 본체(300)에 포집되게 된다.
이때 상기 먼지포집테잎(626)은 상기 흡입구(C)로 유입되지 않은 먼지 또는 이물질을 밀고 가면서 재차 상기 흡입구(C)로 유입되게 모으게 된다.
한편 융단등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청소할 경우에는 상기 마루청소부(620)와 융단청소부(630)를 손으로 잡고 180도 회전시켜 도 7의 반대로 연결되면, 상기 연결구(250)에 설치된 판스프링(500)의 돌출부(510)가 연결구(250)의 중심으로 이동되어 회동되다가 상기 흡입장치의 연결관부(611)에 형성된 반대쪽 홈(612)에 안착되어 회전이 제어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솔(432)로 융단등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털어가면서 비산시켜 먼지포집리브(433)와 흡입구(D)를 통해 연통장치(200)를 매개로 본체(300)로 포집하게 된다.
즉 상기 마루청소부(620)와 융단청소부(63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도 7의 상태가 되면, 상기 공기유로안내격벽(253)의 선단과 흡입구유로선택격벽(640)의 선단이 밀착되어 흡입구(D)와 연통장치(200)가 연통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솔(632)로 융단등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털어가면서 비산시켜 흡입공기에 의해 흡입구(D)를 통해 연통장치(200)를 매개로 본체(300)로 포집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마루 또는 융단을 청소할 때 흡입장치의 흡입구 위치가 식별됨으로써, 적절한 사용에 따라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흡입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통장치에 설치된 판스프링이 흡입장치에 형성된 홈에 180도 간격으로 안착되어 청소중에 흡입장치가 돌아가는 일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에 연통장치를 매개로 설치되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흡입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마루와 융단을 구별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소정각도로 분기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통장치의하부에 구비된 연결부에 상기 흡입장치의 접속부가 끼워져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구의 내주면에서 축중심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되 연결구의 선단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공기유로안내격벽이 상기 흡입장치의 마루청소부와 융단청소부의 사이에 형성된 흡입구유로선택격벽의 선단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공기유로가 상기 흡입구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기유로안내격벽의 상부에 판스프링이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흡입장치를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흡입장치의 회전이 멈춰지도록 판스프링의 돌출부가 흡입장치의 연결관부에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 홈에 안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연통장치에 끼워지는 접속부와, 이 접속부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설치된 흡입구유로선택격벽을 기준으로 일방향에 흡입구가 설치된 마루청소부와, 이 마루청소부의 타방향에 소정각도로 분기되도록 흡입구가 설치된 융단청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
KR2019980024230U 1997-12-05 1998-12-04 진공청소기용흡입장치와그설치구조 KR2002331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66436 1997-12-05
KR1019970066436 1997-12-05
KR19970066436 1997-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96U KR19990032996U (ko) 1999-07-26
KR200233129Y1 true KR200233129Y1 (ko) 2001-10-25

Family

ID=6950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230U KR200233129Y1 (ko) 1997-12-05 1998-12-04 진공청소기용흡입장치와그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1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743A1 (ko) * 2015-09-07 2017-03-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물흡입가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743A1 (ko) * 2015-09-07 2017-03-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물흡입가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EP3298941A4 (en) * 2015-09-07 2018-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rt suction guide device and cleaner comprising same
US20190357742A1 (en) * 2015-09-07 2019-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rt suction guide device and cleaner comprising same
US11259673B2 (en) 2015-09-07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rt suction guide device and cleaner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96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693B1 (ko) 표면 처리기기용 청소기 헤드
JP2520732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4097264B2 (ja) 電気掃除機
CN101999861A (zh) 真空吸尘器附件工具
KR19990003478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90124940A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KR102308483B1 (ko)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JP2000354567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200233129Y1 (ko) 진공청소기용흡입장치와그설치구조
KR1999000348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CN100367903C (zh) 吸尘器的把手组件
KR200150470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체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20060122727A (ko)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KR100417428B1 (ko) 물청소 가능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
WO2018078725A1 (ja) 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KR100222643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960004679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역류 방지장치
KR0136314Y1 (ko) 청소기
KR970005510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KR19990011266A (ko) 업라이트청소기
JPS6217018Y2 (ko)
JPS6115786Y2 (ko)
KR200159712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체
KR200151252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