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940A -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940A
KR20090124940A KR1020090043309A KR20090043309A KR20090124940A KR 20090124940 A KR20090124940 A KR 20090124940A KR 1020090043309 A KR1020090043309 A KR 1020090043309A KR 20090043309 A KR20090043309 A KR 20090043309A KR 20090124940 A KR20090124940 A KR 20090124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leaning
suction port
main body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437B1 (ko
Inventor
히또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12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2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ing wheels on which the nozzle travels over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주행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 모(毛) 브러시부에서의 청소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바닥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케이스체(11)에 개방 형성한 흡입구에 회전 브러시(22)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모 브러시부(53)를, 회전 브러시(22)의 적어도 일단부에, 회전 브러시(22)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배치한다. 회전 브러시(22)의 회전에 수반하여, 모 브러시부(53)의 바닥면과의 접촉 위치가 회전 브러시(22)의 축방향으로 변화되므로, 주행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 모 브러시부(53)에 의한 청소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전기 청소기, 회전 브러시, 케이스체, 전동 송풍기, 바닥 브러시

Description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회전 청소체의 단부에 청소부를 갖는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기 본체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집진부가 설치되고, 이 집진부는 청소기 본체에 형성된 본체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이 본체 흡입구에는 호스체, 연장관 및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가 순차적으로 연통 접속된다. 이 바닥 브러시는 평면에서 볼 때 가로로 긴 사각 형상의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체의 피청소면인 바닥면에 대향하는 하부에는 흡입구가 개방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에는 바닥면의 진애를 긁어내는 회전 청소체인 회전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회전 브러시는 케이스체 내에 배치된 구동 수단인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이 회전 브러시의 단부에는 회전 브러시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여 바닥면의 진애를 흡입구로 운반되는 청소부로서의 모(毛) 브러시부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53656호 공보(제8-9 페이지, 도 2)
그러나, 상술한 흡입구체에서는 모 브러시부가 회전 브러시의 회전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모 브러시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진애밖에 청소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점에서, 모 브러시부를 회전 브러시의 축방향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모 브러시부가 바닥 브러시의 주행 시의 부하가 되어, 주행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주행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 청소부에서의 청소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체에 개방 형성된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회전 청소체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청소체의 적어도 일단부측에, 이 회전 청소체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배치되어, 회전 청소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청소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반 형상의 청소부를, 회전 청소체의 적어도 일단부측에, 이 회전 청소체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회전 청소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청소부의 피청소면과의 접촉 위치가 회전 청소체의 축방향으로 변 화되므로, 주행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 청소부에서의 청소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흡입구체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부호 1은 청소기 본체이고, 이 청소기 본체(1)는 내부에 수용된 전동 송풍기(2)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흡기풍과 함께 흡입된 진애를 집진부에 포집하는 것이다.
또한, 이 청소기 본체(1)에는 전동 송풍기(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가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본체 흡입구(3)가 전방부에 개구되어 있다. 이 본체 흡입구(3)에는 가요성을 가져서 만곡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체(4)가 연통 접속되어 있다. 이 호스체(4)의 선단부에는 전동 송풍기(2)의 동작 모드 등이 선택 가능한 손잡이 조작부(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 조작부(5)에는 청소할 때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6)가 기단부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고, 이 파지부(6)에는 제어 회로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여 청소기 본체(1) 내의 전동 송풍기(2) 등을 복수의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복수의 설정 버튼(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조작부(5)의 선단부에는 신축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의 연장관(8)이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어 있다. 즉, 연장관(8)은 호스체(4)를 통해 전동 송풍기(2)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연장관(8)의 선단부에는, 예를 들어 실내의 피청소면으로서의 바닥면의 카펫 등의 위에 적재시켜, 이 카펫 상의 진애를 흡입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9)가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 브러시(9)는 연장관(8), 호스체(4) 및 본체 흡입구(3)를 통해, 전동 송풍기(2)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된다.
그리고, 바닥 브러시(9)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체 본체로서의 가로로 긴 케이스체(11)와, 이 케이스체(11)의 후방부에 설치된 접속관(12)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체(11)는 상측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16)와, 이 하부 케이스(16)의 상부의 후방측을 덮고, 하부 케이스(16)와의 사이에서 접속관(12)을 회전 가능하게 끼움 지지하는 상부 케이스(17)와, 이 상부 케이스(17)의 전방부에 설치된 덮개부로서의 전방 커버(1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케이스체(11)에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전동부인 구동원, 즉 모터(21)(도 2)와, 이 모터(2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22)와, 이 회전 브러시(22)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이 회전 브러시(22)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 차륜(23a, 23b)과, 회전 브러시(22)의 안전 스위치가 되는 안전 장치(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6)에는 전단부에 회전 브러시(22) 및 구동 차륜(23a, 23b)이 끼워 맞추어지는 가로로 긴 사각 형상의 흡입구(31)가 좌우 대략 전체 폭에 걸쳐서 절결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6)의 후방측 근처의 위치에는 안전 장치(24)의 일부가 노출되는 사각 형상의 구멍부(32)(도 3)가 개방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6)의 흡입구(31)의 후방부에는 상부 케이스(17)측으로 대략 수 직 형상으로 세워진 벽부(33)(도 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6)에는 흡입구(31)의 양측부의 위치에, 구동 차륜(23a, 23b)을 축지지함으로써 회전 브러시(22)를 축지지하는 축지지부로서의 축지지 벽부(34a, 34b)가 벽부(33)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하부 케이스(16)에는 바닥면에 대향하는 하면측에, 커버체(35, 36)(도 3)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벽부(33)에는 하부 케이스(16)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접속관(12)이 끼워 맞추어지는 절결부(38)가 상단부측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절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벽부(33)에는 폭 방향의 일측 근처의 위치의 상부에, 흡입구(31) 내로 돌출되는 커버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커버부(39)에 의해 흡입구(31)는 회전 브러시(22) 및 한쪽의 구동 차륜(23a)이 끼워 맞추어지는 폭이 넓은 흡입부(31a)와, 이 흡입부(31a)보다도 폭이 좁은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이 끼워 맞추어지는 흡입부(31b)로 구획되어 있다.
한쪽의 흡입부(31a)는 커버부(39)와 한쪽의 축지지 벽부(34a)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 브러시(22)의 회전 중심에 직교하는 선인 하부 케이스(16)[흡입구(31)]의 폭 방향의 중심선(L)에 대해, 중심 위치가 타측 근처로 치우친 가로로 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흡입부(31b)는 커버부(39)와 다른 쪽의 축지지 벽부(34b) 사이에 위치하고, 하부 케이스(16)의 일측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커버체(35)는 흡입구(31)의 한쪽의 흡입부(31a)측의 단부에서, 한쪽의 축지지 벽부(34a) 및 그 후방의 부분을 개폐하는 것이다.
다른 쪽의 커버체(36)는 흡입구(31)의 다른 쪽의 흡입부(31b)측의 단부로부터, 커버부(39)의 하부 및 그 후방의 부분을 개폐하는 것이다. 또한, 이 다른 쪽의 커버체(36)에는 커버부(39)의 하부의 위치에, 흡입부(31a)와 흡입부(31b)를 연통하는 연통 홈부(41)가 폭 방향을 띠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7)에는 전단부에, 흡입구(31)에 연통하여 전방 커버(19)가 끼워 맞추어지는 가로로 긴 사각 형상의 전방측 흡입구(43)가 절결 형성되어 있다.
전방 커버(19)는 전방측 흡입구(43)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서 연속된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면에서 볼 때 회전 브러시(22) 및 구동 차륜(23a, 23b)의 외주를 따라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이들 회전 브러시(22) 및 구동 차륜(23a, 23b)의 전방측을 덮고 있다. 또한, 이 전방 커버(19)의 상단부는 전방측 흡입구(43)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모터(21)는 벽부(33)의 후방이고, 또한 접속관(12)에 대해 일측과 커버부(39) 사이의 위치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모터(21)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 제어부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22)는 설치 부재로서의 대략 원기둥 형상의 회전 브러시 조립체(45)(도 5)의 주위에 복수의 청소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 조립체(45)는, 예를 들어 금속, 혹은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외주면에는 각 청소 부재(46)의 기단부측을 유지하는 홈부(48)가, 둘레 방향으로 대략 균등하게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청소 부재(46)는, 예를 들어 닦기 부재인 블레이드, 긁어내기 부재인 브러시 모,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이며, 기단부측이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홈부(48)에 각각 유지되고,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외주면에 대해, 이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축방향을 따르는 나선벽 형상이며, 또한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직경 방향으로 선단부측이 돌출되어 있다.
구동 차륜(23a, 23b)은 한 쌍의 끼움 지지체로서의 차륜 본체부(51, 52) 사이에 청소부로서의 모 브러시부(53)를 끼움 지지하여 구성된 2피스 구조이고, 한쪽의 구동 차륜(23a)은 연결축(54)을 통해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한쪽의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은 접속 부재로서의 커플링(55) 및 접속 부재로서의 커플링 받침(56)을 통해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다른 쪽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차륜(23a, 23b)은 베어링(57)을 통해 축지지 벽부(34a, 34b)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차륜 본체부(51)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본체(61)와, 차륜 본체부(51, 52)를 접속하는 접속부로서의 접속 돌출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쪽의 구동 차륜(23a)에 대응하는 차륜 본체부(51)인 차륜 본체부(51a)는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61)는 외주면이 평탄한 원통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외주면에 냅트 클로스(napped cloth)(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61)에는 일단부측에, 회전 브러시(22)측에 위치하는 대향면(65)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부측에 모 브러시부(53)와 대향하는 경사면(66)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면(65)은 본체(61)[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평면이다.
경사면(66)은 본체(61)[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평면이다. 구체적으로, 이 경사면(66)은 본체(61)[구동 차륜(23a, 23b)]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예를 들어 20° 내지 30° 정도 경사져 있다. 또한, 이 경사면(66)은 대향면(65) 근방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접속 돌출부(6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61)의 경사면(66)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본체(61)의 중심과 연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63)는 본체(61)에 대해 대략 동축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갈고리부(68)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갈고리부(68)는 회전 브러시(22)의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홈부(48)에 대해,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타단부측에서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연결부(63)는 청소 부재(46)의 빠짐 방지부로 되어 있다.
다른 쪽의 차륜 본체부(52)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본체(71)와, 한쪽의 차륜 본체부(51)의 접속 돌출부(62)와 접속되는 접속부로서의 접속 삽입부(72)와, 베어링(57)이 끼움 장착되는 끼움 장착부인 끼움 장착 오목부(7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71)는 외주면이 평탄한 원통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외주면에 냅트 클로스(7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71)에는 일단부측에 한쪽의 차륜 본 체부(51)의 본체(61)와 평행하게 모 브러시부(53)와 대향하는 경사면(75)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부측에 축지지 벽부(34a, 34b)와 대향하는 대향면(76)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75)은 본체(71)[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평면이다. 구체적으로, 이 경사면(75)은 본체(71)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예를 들어 20° 내지 30° 정도 경사져 있다. 또한, 이 경사면(75)은 대향면(76) 근방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대향면(76)은 본체(71)[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평면이다. 그리고, 이 대향면(76)과, 차륜 본체부(51)[차륜 본체부(51a, 51b)]의 대향면(65) 사이에 걸쳐서, 이들 대향면(65, 76)을 따라서 경사진 모 브러시부(53)를 끼움 장착 가능한 경사 홈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사 홈부(77)는 회전 브러시(22)[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 삽입부(72)는 한쪽의 차륜 본체부(51)의 접속 돌출부(62)에 삽입 끼워 맞춤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71)의 경사면(75)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본체(71)의 중심과 연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끼움 장착 오목부(73)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71)에 대해 대략 동축에 도려 내어져 있다.
모 브러시부(53)는 대략 원통 형상의 기체(78)와, 이 기체(78)의 외주면에 방사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식모된 복수의 모 브러시(79)로 이루어지는 청소부 본체 를 형성하는 브러시부 본체(8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모 브러시부(53)는 전체 모 브러시(79)의 돌출 방향이 소정의 평면을 따라서 형성된 대략 원반 형상(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모 브러시부(53)는 그 축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체(78)는 한쪽의 차륜 본체부(51)의 접속 돌출부(62) 및 다른 쪽의 차륜 본체부(52)의 접속 삽입부(72)가 서로 접속된 상태로 중앙부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기체(78)는 경사면(66, 75)을 따라서 배치되고, 모 브러시부(53)가 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회전 브러시(22)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모 브러시부(53)는 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회전 브러시(22)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모 브러시(79)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부 본체(80)는 모 브러시(79)의 일부의 선단부가 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의 단부인 대향면(65, 76)보다도 돌출되고, 또한 베어링(57)보다도 축지지 벽부(34a, 34b)측으로 돌출되어, 이들 축지지 벽부(34a, 34b)와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구동 차륜(23a)에 대응하는 브러시부 본체(80)인 브러시부 본체(80a)와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에 대응하는 브러시부 본체(80)인 브러시부 본체(80b)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체(11)의 폭 방향의 중심선(L)에 대해 서로 선 대칭이 되도록 회전 브러시(22)에 대해 연결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브러시부 본체(80a)와 브러시부 본체(80b)는 구동 차륜(23a, 23b)의 회전 방향에 대해, 서로 위상이 180° 어긋나 있고, 브러시부 본체(80a, 80b)는 구 동 차륜(23a, 23b)의 회전에 수반하여, 서로 동기하면서 중심선(L)에 대해 선 대칭으로 좌우 방향으로 진동(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축(54)은, 예를 들어 금속, 혹은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단부에, 이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중심축(회전축)과 동축에 접속되고, 한쪽의 구동 차륜(23a)에 삽입 통과되어, 이 한쪽의 구동 차륜(23a)에 대응하는 베어링(57)인 베어링(57a)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커플링(55)은 절두 원추 형상의 연결 부재 본체로서의 커플링 본체(83)를 구비하고, 이 커플링 본체(83)의 직경 축소된 단부에,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일단부측에서 홈부(48)에 삽입되는 연결 삽입부로서의 복수의 커플링 갈고리부(84)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커플링(55)은 청소 부재(46)의 빠짐 방지부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커플링 본체(83)의 직경 확장된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커플링 받침(56)과 연결되는 한쪽의 접속 부재 연결부로서의 연결 오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 받침(56)은 외주면에 기어 이(86)를 복수 갖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기어부(87)의 일단부에, 접속축(88)이 동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기어부(87)의 타단부에, 커플링(55)의 연결 오목부에 각각 끼워 맞추어지는 다른 쪽의 접속 부재 연결부로서의 연결 볼록부(8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55)과 커플링 받침(56)의 접속은 요철의 끼워 맞춤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어부(87)는 모터(21)의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체로서의 풀리(91)(도 2)와의 사이에 전달부로서의 타이밍 벨트인 벨트(92)(도 2)가 감아 걸려져 있고, 이들 풀리(91) 및 벨트(92)를 통해 모터(21)의 회전력이 회전 브러시(22) 및 구동 차륜(23a, 23b)으로 각각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기어부(87)는 벨트(92)와 함께, 하부 케이스(16)의 벨트 커버인 커버부(39)에 의해 상측이 덮여 있다.
벨트(92)에는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의 모 브러시부(53)의 브러시부 본체(80b)의 선단부측이,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의 회전 위치에 의해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축(88)은,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에 대응하는 차륜 본체부(51)인 차륜 본체부(51b)측으로부터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으로 삽입 통과되고, 이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에 대응하는 베어링(57)인 베어링(57b)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축(88)은 커버부(39) 내에 위치하는 베어링부(94)(도 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커플링 받침(56)의 연결 볼록부(89)는 커플링 받침(56)의 중심축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을 따라서 방사 형상으로, 또한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략 동일한 각도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커플링(55)의 연결 오목부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커플링(55)[회전 브러시(22)]에 대한 커플링 받침(56)[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의 회전 방지부로 되어 있다.
베어링(57)은 축지지 벽부(34a, 34b)에 유지되는 피유지부(95)와, 이 피유지부(9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끼움 장착 오목부(73)에 헐겁게 끼워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유지 축부(9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지 축부(96)는 회전 브러시(22) 및 구동 차륜(23a, 23b)을 축지지하는 회전축이 되는 것이다.
한쪽의 구동 차륜(23a)의 유지 축부(96)인 유지 축부(96a)에는 연결축(54)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의 유지 축부(96)인 유지 축부(96b)에는 커플링 받침(56)의 접속축(88)이 삽입되어 있다.
안전 장치(24)(도 2)는 바닥면에 접촉 가능한 차륜(98)(도 3)을 구비하고, 이 차륜(98)이 구멍부(32)로부터 하부 케이스(16)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안전 장치(24)는 모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차륜(98)이 바닥면에 접촉함으로써 모터 제어부에 의한 모터(21)의 구동을 허가하는 동시에, 차륜(98)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 모터 제어부에 의한 모터(21)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안전 장치(24)는, 예를 들어 바닥면과 접촉한 차륜(98)의 회전 방향에 의해 바닥 브러시(9)의 주행 방향을 검출하고, 이 주행 방향에 따라서, 회전 브러시(22)의 회전 방향을 절환하도록 모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관(12)은 흡입구(31)와 연통되어 있고, 케이스체(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단부가 연장관(8)의 선단부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된다.
다음에, 상기 일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구동 차륜(23a, 23b)을 조립할 때에는 차륜 본체부(51)의 접속 돌출부(62)에 차륜 본체부(52)의 접속 삽입부(72)를, 모 브러시부(53)의 기체(78) 내에서 삽입하도록 접속하고, 차륜 본체부(51, 52)의 경사 홈부(77)에 의해 모 브러시부(53)를 끼움 지지한다.
한쪽의 구동 차륜(23a)은 청소 부재(46)를 홈부(48)에 설치한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한쪽의 단부에서 홈부(48)에 갈고리부(68)를 삽입한다. 이때,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에 설치된 연결축(54)을 한쪽의 구동 차륜(23a)에 삽입 통과시킨다. 그리고, 이 삽입 통과된 연결축(54)의 선단부측을, 한쪽의 커버체(35)(도 3)를 하부 케이스(16)로부터 제거한 상태로, 하부 케이스(16)의 한쪽의 축지지 벽부(34a)에 유지된 베어링(57)[베어링(57a)]의 유지 축부(96)[유지 축부(96a)]에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 후, 한쪽의 커버체(35)를 하부 케이스(16)에 설치한다.
또한,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에서는 커플링 받침(56)의 접속축(88)을 구동 차륜(23b)에 삽입 통과시킨다. 계속해서, 이 삽입 통과된 접속축(88)의 선단부측을, 다른 쪽의 커버체(36)를 하부 케이스(16)로부터 제거한 상태로, 커버부(39) 내에 위치하는 베어링부(94)(도 6)에 삽입 통과시키는 동시에, 하부 케이스(16)의 다른 쪽의 축지지 벽부(34b)에 유지된 베어링(57)[베어링(57b)]의 유지 축부(96)[유지 축부(96b)]에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또한, 청소 부재(46)를 홈부(48)에 설치한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다른 쪽의 단부에서 홈부(48)에 커플링 갈고리부(84)를 삽입한 커플링(55)의 연결 오목부에 대해, 연결 볼록부(89)를 끼워 맞추고, 기어부(87)의 외주에, 모터(21)의 풀리(91)에 벨트(92)를 감아 건 후, 다른 쪽의 커버체(36)를 하부 케이스(16)에 설치한다.
이 결과, 회전 브러시(22)와 함께, 구동 차륜(23a, 23b)이 케이스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회전 브러시(22)와 한쪽의 구동 차륜(23a)이 흡입구(31)의 한쪽의 흡입부(31a) 내에 위치하고,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이 흡입구(31)의 다른 쪽의 흡입부(31b) 내에 위치한다.
또한, 구동 차륜(23a, 23b)은 브러시부 본체(80a, 80b)가 중심선(L)에 대해 선 대칭이 되도록 회전 브러시(22)의 회전 브러시 조립체(45)로의 접속 각도를 설정한다. 이 경우, 통상은, 커플링(55)의 연결 오목부에 대한 커플링 받침(56)의 연결 볼록부(89)의 삽입 위치를, 브러시부 본체(80a, 80b)가 중심선(L)에 대해 선 대칭이 되도록 둘레 방향으로 적절하게 가변시키면 되지만, 예를 들어 한쪽의 구동 차륜(23a)의 연결부(63)의 회전 브러시 조립체(45)의 홈부(48)로의 삽입 위치를 둘레 방향으로 가변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청소 시에는, 우선, 작업자는 청소기 본체(1)의 본체 흡입구(3)에, 호스체(4), 연장관(8) 및 바닥 브러시(9)를 순차적으로 연통 접속한다.
또한, 작업자가, 청소기 본체(1)로부터 전원 코드를 인출하여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에 접속한 후, 파지부(6)를 파지하여 소정의 설정 버튼(7)을 조작하면, 이 설정 버튼(7)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전동 송풍기(2)가 구동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지부(6)를 파지하여 바닥면 상에서 바닥 브러시(9)를 전후로 주행시켜, 흡입구(31) 및 전방측 흡입구(43)로부터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이때, 차륜(98)이 바닥면에 접촉함으로써, 안전 장치(24)의 기능에 의해 회전 브러시(22) 및 구동 차륜(23a, 23b)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9)를 전방으로 주행(전진)시킨 경우에는, 차륜(98)이 전방으로 구르고(정회전), 바닥 브러시(9)를 후방으로 주행(후퇴)시킨 경우에는, 차륜(98)이 후방으로 구르기 때문에(역회전), 이 차륜(98)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모터 제어부가 모터(21)의 회전 방향을, 차륜(98)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 결과, 모터(21)의 회전이 풀리(91) 및 벨트(92)를 통해 기어부(87)로 전달됨으로써, 이 기어부(87)를 갖는 커플링 받침(56)과 연결된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 커플링 받침(56)과 연결된 커플링(55)이 고정된 회전 브러시(22) 및 이 회전 브러시(22)에 연결된 한쪽의 구동 차륜(23a)이 일체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 브러시(22)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청소 부재(46)가 바닥면의 진애를 긁어내어 흡입구(31)로 운반하는 동시에, 도 1의 (a) 내지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차륜(23a, 23b)의 회전에 수반하여 모 브러시부(53)가 위상을 연속적으로 바꾼다. 바꾸어 말하면, 모 브러시부(53)의 모 브러시(79)의 바닥면과의 접촉 위치가, 구동 차륜(23a, 23b)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 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으로, 중심선(L)에 대해 주기적이고 또한 연속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진동(왕복 이동)한다. 이로 인해, 흡입구(31)의 양단부인 축지지 벽부(34a, 34b)로부터 구동 차륜(23a, 23b)의 회전 브러시(22)측의 단부 및 벨트(92)에 걸치는 넓은 범위의 바닥면의 진애를 모 브러시부(53)가 긁어내고, 이 진애를 한쪽의 구동 차륜(23a)의 모 브러시부(53)의 모 브러시(79)는 흡입구(31)로 직접 운반하고,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의 모 브러시부(53)의 모 브러시(79)는 연통 홈부(41)를 통해 흡입구(31)로 운반한다.
이 흡입구(31)로 운반된 진애는 접속관(12)을 통해 작용하는 전동 송풍기(2)의 구동에 의한 부압에 의해, 이 접속관(12)으로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이 접속관(12)이 접속된 연장관(8), 호스체(4) 및 본체 흡입구(3)를 통해 청소기 본체(1) 내의 집진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진애는 집진부에 포집되어, 이 진애가 포집된 공기가 전동 송풍기(2)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배기 구멍으로부터 청소기 본체(1)의 외부로 배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대략 원반 형상의 모 브러시부(53)를, 회전 브러시(22)의 양단부측에, 이 회전 브러시(22)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함으로써, 회전 브러시(22)의 회전에 수반하여 모 브러시부(53)의 바닥면과의 접촉 위치가 회전 브러시(22)의 축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왕복하도록 변화되어 바닥면 상의 진애를 쓸어내어 청소하므로, 예를 들어 모 브러시부의 두께를 회전 브러시의 축방향으로 증가시키는 경우와 같이 주행 부하를 증가시키는 경우가 없어, 모 브러시부(53)에 의한 청소 범위를 회전 브러시(22)의 축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모 브러시부(53)를 구동 차륜(23a, 23b)의 외주면에 배치함으로써, 구동 차륜(23a, 23b)의 구동에 의해 바닥 브러시(9)의 주행 부하를 저감시키면서 모 브러시부(53)로 넓은 범위의 진애를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 브러시부(53)는 모 브러시(79)를 구동 차륜(23a, 23b)의 축 방향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모 브러시(79)의 선단부를, 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시키고 있으므로, 이들 구동 차륜(23a, 23b)의 축방향 전체에 걸치는 범위의 진애를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모 브러시부(53)의 모 브러시(79)의 선단부측을 흡입구(31)의 양측부로부터 돌출되는 위치까지 연신한 것에 의해, 벽 근처나 장해물의 근방 등을 청소하는 경우에, 모 브러시(79)가 이들 벽 근처나 장해물의 근방까지 닿아, 이들 벽 근처나 장해물의 근방의 진애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모 브러시부(53)와 회전 브러시(22)에 의해, 바닥 브러시(9)의 대략 전체 폭에 걸쳐서 진애의 청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모 브러시부(53)를 구동 차륜(23a)과 구동 차륜(23b)으로, 중심선(L)에 대해 선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모 브러시부(53)의 모 브러시(79)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위치가, 구동 차륜(23a, 23b)의 회전 위치임에 상관없이 항상 중심선(L)에 대해 선 대칭이 된다. 예를 들어, 모 브러시부를 중심선에 대해 선 대칭이 아닌 배치로 하는 경우에는, 바닥 브러시가 바닥면 상을 주행할 때에, 구동 차륜의 회전 위치에 의해 모 브러시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위치가 한쪽의 구동 차륜측과 다른 쪽의 구동 차륜측에서 상이하므로, 모 브러시의 강성 등에 따라서는 바닥 브러시의 주행 궤도가 폭 방향으로 요동할 우려가 있는 것에 대해, 상기와 같이 중심선(L)에 대해 선 대칭으로 모 브러시(79)를 바닥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바닥 브러시(9)의 주행 시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어, 바닥 브러시(9)를 용이하게 직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 브러시부(53)의 브러시부 본체(80)를, 차륜 본체부(51, 52)에 의해 경사지게 한 상태로 끼움 지지함으로써, 모 브러시부(53)를 회전 브러시(22)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한 구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브러시(22)는 바닥 브러시(9)의 주행 방향이 반전되면 모터(21)에 의해 반전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바닥 브러시(9)를 바닥면 상에서 주행시킬 때에, 바닥 브러시(9)를 반복해서 전후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22)와 함께 구동 차륜(23a, 23b)도 반복해서 반전된다. 이 결과, 회전 브러시나 구동 차륜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모 브러시부(53)의 모 브러시(79)에 털 쓰레기나 실 쓰레기 등의 긴 진애가 얽혀서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모 브러시부(53)의 모 브러시(79)의 선단부측을 벨트(92)와 접촉 가능하게 함으로써, 회전 브러시(22)측 등으로부터 벨트(92)로 부착된 진애를, 다른 쪽의 구동 차륜(23b)의 회전에 수반하여 모 브러시부(53)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벨트(92)를 항상 청소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모터(21)의 구동력을 회전 브러시(22)[구동 차륜(23a, 23b)]로 확실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 브러시부(53)를 회전 브러시(22)의 양측에 배치한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모 브러시부(53)를, 적어도 회전 브러시(22)의 어느 한쪽의 단부측에 배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모 브러시부(53)는 구동 차륜(23a, 23b)을 각각 원통 형상으로 1개의 부재로 형성하고, 이 부재의 외주면에 경사 홈부를 형성하여 기체(78)를 끼워 넣도 록 해도 좋다.
또한, 모 브러시부(53)는 복수 라인 형성하여, 각각의 모 브러시(79)의 재질, 경도, 길이 등을 상이하게 해도 좋다.
그리고, 청소부로서는, 모 브러시부(53) 이외에도, 예를 들어 블레이드, 혹은 블레이드와 모 브러시부(53)의 조합 등, 임의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 브러시(22)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어 터빈 등, 임의의 것이 가능하고, 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도, 예를 들어 기어열 등, 벨트(92) 이외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회전 브러시(22)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면과의 접촉 저항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전기 청소기의 세부 및 흡입구체의 세부 등은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기 청소기로서는, 캐니스터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업라이트형, 핸디형, 혹은 자율 주행형 등에서도, 상기 구성을 대응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흡입구체의 주요부의 동작을 (a) 내지 (c)의 순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상기 흡입구체의 케이스체를 제외한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상기 흡입구체를 도시하는 하면도.
도 4는 상기 흡입구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흡입구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흡입구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상기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청소기 본체
2 : 전동 송풍기
9 :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
11 : 케이스체
21 : 구동원으로서의 모터
22 :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
23a, 23b : 구동 차륜
31 : 흡입구
51, 52 : 끼움 지지체로서의 차륜 본체부
53 : 청소부로서의 모 브러시부
79 : 모 브러시
80 : 청소부 본체로서의 브러시부 본체
92 : 전달부로서의 벨트

Claims (6)

  1.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에 개방 형성된 흡입구와,
    이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회전 청소체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청소체의 적어도 일단부측에, 이 회전 청소체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 청소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청소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청소체의 양단부측에 배치된 구동 차륜을 구비하고,
    상기 청소부는 상기 구동 차륜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회전 청소체의 회전 중심에 직교하는 선에 대해 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외부에 방사 형상으로 돌출된 모 브러시를 갖는 원통 형상의 청소부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차륜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 본체를 축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끼움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원과,
    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 청소체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달부에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6.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이 청소기 본체에 대해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되는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입구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090043309A 2008-05-29 2009-05-19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KR101116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1303 2008-05-29
JP2008141303A JP4528847B2 (ja) 2008-05-29 2008-05-29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940A true KR20090124940A (ko) 2009-12-03
KR101116437B1 KR101116437B1 (ko) 2012-03-07

Family

ID=4140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309A KR101116437B1 (ko) 2008-05-29 2009-05-19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28847B2 (ko)
KR (1) KR101116437B1 (ko)
CN (1) CN1015899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5646A1 (en) * 2016-05-12 2017-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35B1 (ko) 2008-05-26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JP2011177214A (ja) * 2010-02-26 2011-09-1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
JP5803388B2 (ja) * 2011-07-28 2015-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い込み具、及び、この吸い込み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203885436U (zh) * 2014-01-29 2014-10-22 创科地板护理技术有限公司 能够连接到真空吸尘器的附加工具
DE102014114375A1 (de) * 2014-10-02 2016-04-0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Angetriebene Bürste als Vorsatzgerät für einen Staubsauger
JP6413090B2 (ja) * 2015-09-25 2018-10-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2386214B1 (ko) 2015-11-19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CN113017468A (zh) * 2021-03-23 2021-06-25 安徽持家汉家居工艺品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家具用清洁设备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561B2 (ja) * 1987-04-02 1994-10-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式床用吸込具
JPH01299525A (ja) * 1988-05-26 1989-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JP2006174954A (ja) * 2004-12-21 2006-07-0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ロータリブラ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5646A1 (en) * 2016-05-12 2017-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10646083B2 (en) * 2016-05-12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with angled whe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9933A (zh) 2009-12-02
CN101589933B (zh) 2013-02-13
JP4528847B2 (ja) 2010-08-25
KR101116437B1 (ko) 2012-03-07
JP2009285178A (ja)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37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KR100492577B1 (ko) 로봇 청소기의 흡입헤드
JP5707243B2 (ja) 電気掃除機
JP4097264B2 (ja) 電気掃除機
JP2004141844A (ja) 清掃機のブラッシュアセンブリ
JP201310286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359417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612165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10273872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3797461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5038880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4176601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847962B1 (ko) 흡입구체 및 전기청소기
JP2009153876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725264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7252644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10081426A (ko) 진공청소기의 걸레 부착용 흡입구체
CN219680470U (zh) 一种手持清洁设备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JP4176589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006110089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0140763B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이송장치
JP2000354563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8054815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0354566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