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113Y1 - 이동식 발효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발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113Y1
KR200233113Y1 KR2020010007617U KR20010007617U KR200233113Y1 KR 200233113 Y1 KR200233113 Y1 KR 200233113Y1 KR 2020010007617 U KR2020010007617 U KR 2020010007617U KR 20010007617 U KR20010007617 U KR 20010007617U KR 200233113 Y1 KR200233113 Y1 KR 200233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loading box
fermentation
hot ai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철수
Original Assignee
오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수 filed Critical 오철수
Priority to KR2020010007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113Y1/ko

Links

Landscapes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가에서 배출되는 가축분뇨 및 사람의 분뇨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자연 발효시킴에 있어, 덤프 트럭의 적재함을 발효탱크로 사용하되, 적재함의 바닥에 다공판이 설치되게 하여 침출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하고,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와 열풍이 공급되게 하여 최적의 발효조건이 되게 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장소를 옮기면서도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자연 발효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발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발효 장치{PORTABLE FERMENTATOR}
본 고안은 농가에서 배출되는 가축분뇨 및 사람의 분뇨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자연 발효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덤프 트럭의 적재함을 발효탱크로 사용하되, 적재함의 바닥에 다공판이 설치되게 하여 침출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하고,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와 열풍이 공급되게 하여 최적의 발효조건이 되게 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장소를 옮기면서도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자연 발효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발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노천의 땅을 파서 생긴 구덩이를 콘크리트로 마감하여 가축 및 사람의 분뇨가 일정량 채워지게 하는 한편, 일정 기간 자연적으로 침전되게 하고, 중화시켜 희석시킨 다음 침출수는 염소 등으로 살균 처리하여 방류시키며, 찌꺼기는소각 또는 매립하거나 비료로 사용토록 하고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어 인근의 주민들에게 협오감을 주는 한편, 민원의 대상이 되어 현재로써는 거의 실시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농가에서 배출되는 가축분뇨 및 사람의 분뇨 또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킴에 있어, 덤프 트럭의 적재함을 발효탱크로 사용하되, 적재함의 바닥에 다공판이 설치되게 하여 침출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하고,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와 열풍이 공급되게 하여 최적의 발효조건이 되게 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장소를 옮기면서도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발효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발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와 후방에 각각 도어가 설치되는 덤프 트럭의 적재함에 있어서, 저면의 둘레면에만 다수개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상기 적재함의 양측면에 내부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지게 다수개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다공파이프와; 둘레면 전체에 걸쳐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상기 다공파이프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다공파이프와; 수직으로 통기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 판체로, 상기 적재함의 내부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는 다공판과; 상기 적재함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바람 또는 열풍이 상기 다공판의 통기구멍을 경유하여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열풍발생부와; 상기 적재함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다공판의 통기구멍을 통해 배수되는 침출수가 배출되게 하는배수밸브로 구성되는 이동식 발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 다공파이프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열풍발생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밸브의 설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샘플 추출 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덤프 트럭에 장착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적재함 101 ... 배수통로
102 ... 배수구멍 110 ... 도어
111 ... 힌지 112 ... 잠금레버
120 ... 다공판 121 ... 경첩
122 ... L형강 123 ... CT형강
124 ... 각형강 130 ... 열풍발생부
131 ... 케이스 132 ... 모터
133 ... 팬 134 ... 히터
135 ... 공급관 140 ... 배수밸브
150 ... 다공파이프 151 ... 홀더
152 ... 와이어 153 ... I볼트
160 ... 다공파이프 161 ... 멈춤돌기
162 ... 인서트파이프 163 ... 멈춤링
170 ... 스크루컨베이어 171 ... 이동대차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발효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이동식 발효 장치는 덤프 트럭의 적재함(100)을 이용하여서 되는 것으로, 다공판(120)과, 열풍발생부(130)와, 배수밸브(140) 및 다공파이프(150)(160)로 구성된다.
상기 적재함(100)은 상부와 후방에 각각 도어가 설치되는데, 외부에는 열풍발생부(130)와, 배수밸브(140) 및 도어(110)가 설치된다. 열풍발생부(130)는 운전석을 향하는 면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수밸브(140)는 후방측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어(110)는 측면에 원형을 이루면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도어(110)는 일 측에 힌지(111)가 설치되어 이 힌지(111)를 중심으로 열리고 닫힘으로써, 적재함(100)의 내부와 외부가 연락되게 하고, 힌지(111)의 반대편에는 도어(110)를 잠금 되게 하는 잠금레버(1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적재함(100)의 측면에는 프레임이 교차되는 곳마다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은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내부의 바닥에는 판체로되는 한편, 다수개의 수직 구멍이 형성된 다공판(120)이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열되어 설치되는데, 내부의 측벽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L형강(122)과, 내부의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CT형강(124)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편, 어느 일 측면에 경첩(121)이 설치되어 이 경첩(121)을 중심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된다. 상기 CT형강(124)은 적재함(100)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각형강(12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CT형강(124)은 바닥면으로 배수되는 침출수의 흐름을 방지하지 않을 정도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즉 다공판(120)은 도 3 도시와 같이 여러 장이 나란히 설치되는데, CT형강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바닥면의 청소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경첩(121)을 중심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열풍발생부(130)는 도 5 도시와 같이 통체로된 케이스(131)의 내부에 모터(132)를 구비하는 팬(133)이 설치되고, 이 팬(133)의 전방측에는 히터(134)가 설치되며, 이 히터(134)에는 다공판(120)들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통로(101)를 향하게 되는 공급관(135)이 설치된다. 그래서 팬(133)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 또는 히터(134)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은 배수통로(101)와, 다공판(120)들의 구멍들을 통해 적재함(100)의 내부에 공급된다.
상기 배수밸브(140)는 도 6 도시와 같이 후방측 도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멍(102)에 접속되는 밸브로 배수통로(101)에 흐르게 되는 침출수를 배출되게 한다.
상기 다공파이프(150)는 둘레면 전체에 걸쳐 수평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관체로, 도 3 도시와 같이 측면 다공파이프(160)들의 사이에 수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데, 상부와 하부에 각각 홀더(151)가 설치된다. 이 홀더(151)에는 양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구비하게 되는 와이어(152)가 설치되는데, 이 와이어(152)의 각 단부는 적재함(100)의 내부 측벽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I볼트(153)에 연결됨으로써, 적재함(100)의 내부에 수직으로 위치되게 한다.
상기 다공파이프(160)는 적재함(100)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멍에 설치되는데, 도 4 도시와 같이 구멍에는 인서트파이프(162)가 미리 설치되고, 이 인서트파이프(162)를 통해 삽입되어 설치된다. 인서트파이프(162)는 입구측(적재함(10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멈춤링(163)이 동일 중심을 이루는 한편, 더 큰 직경이루면서 형성되어 적재함(100)의 측벽(프레임이 교차되는 부분)에 면접되어 설치되며, 비교적 짧은 길이를 지니게 된다. 다공파이프(160)는 입구측(적재함(10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한편, 더 큰 직경을 지니게 되는 환형의 멈춤돌기(161)가 형성되는데, 이 멈춤돌기(161)가 멈춤링(163)에 면접됨으로써,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며, 저면의 둘레면에만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게 한다.
도 7에는 적재함(100)의 내부에서 발효되는 원료를 수평상태로 파괴되게 하는 스크루컨베이어(17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스크루컨베이어(170)는 대차(171)에 설치되어 이동된다. 즉, 스크루컨베이어(170)는 적재함(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도어(110)를 열고 적재함(100)의 내부로 진입되게 하는 동시에 가동되게 함으로써, 경화되어진 원료를 일부 대차(171)에 배출되게 하는데, 이때 원료에 균열이 발생되는 한편, 덩어리 상태 또는 잘게 부서지게 됨으로써, 공간부가 형성되어 내부로의 공기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70-80% 정도의 수분이 함유된 원료를 자연 발효시켜 퇴비화 되게 하는 것으로, 도 2 도시와 같이 원료가 채워진 적재함(100)을 노천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자연 발효되게 하거나 또는 발효를 시키면서 도 8a 내지 도 8d 도시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게 하여 다른 장소의 노천에 이동되게 하여 자연 발효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자연 발효가 끝나면 역시 차량에 탑재하여 퇴비화 시키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먼저, 적재함(100)의 측면에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멍에 다공파이프(160)를 설치하되, 먼저 인서트파이프(162)를 삽입한 다음 삽입하여 멈춤돌기(161)가 인서트파이프(162)의 멈춤링(163)에 걸림 되게 하고,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이 하부에 위치되게 한다.
적재함(100)의 상부 도어를 연 상태에서 상기 측면 다공파이프(160)의 사이마다 다공파이프(150)가 수직으로 설치되게 하되, 홀더(151)의 양측에 구비되는 와이어(152)의 각 단부를 I볼트(153)에 결속되게 한다.
이어서 적재함(100)의 내부에 자연 발효시킬 원료를 상부로부터 투입한 다음 상부 도어를 닫거나 또는 도어를 연 상태에서 상부에 비닐지를 씌우면 되는 것으로, 투입된 원료는 다공판(120)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채워지게 되고, 원료에서 배출되는 침출수는 다공판(120)의 구멍들을 통해 하부의 배수통로(101)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팬(133)과 히터(134)를 가동시키면 발생되는 열풍은 공급관(135), 배수통로(101), 다공판(120)의 구멍들을 경유하여 적재함(100)의 내부에 채워진 원료에 공급되어 미생물이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줌으로써, 산화분해의 수행과정이 반복되게 하고, 측면 다공파이프(16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에 공급되면서 발효에 있어 최적의 조건이 되게 하며, 이때 발생되는 가스는 수직의 다공파이프(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공판(120)들을 통해 배수통로(101)에 모이게 되는 침출수는 배수밸브(140)를 통해 적재함(10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동시에 일정량 모이게 하고, 중화 및 희석 그리고 살균하여 방류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적재함(100)내의 원료가 3일 정도 자연 발효되면, 도 7 도시와 같이 적재함(100) 측면의 도어(110)를 열고 스크루컨베이어(170)를 진입시켜 원료를 일부 이동대차(171)로 배출되게 하여, 굳어져 가고 있는 원료에 균열이 발생되게 하는 동시에 일부 파괴되게 하여,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게 함으로써, 열풍 및 외부의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게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신속하게 자연 발효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적재함(100)에 채워진 원료가 자연 발효되어 퇴비화 장소에 배출된 후에는 다공판(120)과 배수통로(101) 즉 적재함(100)의 바닥면을 청소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다공판(120)은 경첩(121)에 의해 힌지되어 있음으로 하나씩 세워서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열풍발생부와 측면의 다공파이프들에 의해 최적의 발효 조건이 되게 함으로써,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 수 있게 되고, 발효 후에는 다공판과 적재함의 바닥면을 편리하게 청소될 수 있게 하며, 필요에 따라 장소를 옮기면서 연속적으로 자연 발효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부와 후방에 각각 도어가 설치되는 덤프 트럭의 적재함(100)에 있어서,
    저면의 둘레면에만 다수개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상기 적재함(100)의 양측면에 내부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지게 다수개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다공파이프(160)와;
    둘레면 전체에 걸쳐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상기 다공파이프(160)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다공파이프(150)와;
    수직으로 통기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 판체로,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는 다공판(120)과;
    상기 적재함(10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바람 또는 열풍이 상기 다공판(120)의 통기구멍을 경유하여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열풍발생부(130)와;
    상기 적재함(1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다공판(120)의 통기구멍을 통해 배수되는 침출수가 배출되게 하는 배수밸브(1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발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0)의 측면에 다수개의 도어(110)가 형성되고, 상기 다공판(120)은 일 측에 경첩(12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발효 장치.
KR2020010007617U 2001-03-20 2001-03-20 이동식 발효 장치 KR200233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617U KR200233113Y1 (ko) 2001-03-20 2001-03-20 이동식 발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617U KR200233113Y1 (ko) 2001-03-20 2001-03-20 이동식 발효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354A Division KR100398624B1 (ko) 2001-03-20 2001-03-20 이동식 발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113Y1 true KR200233113Y1 (ko) 2001-10-08

Family

ID=7306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617U KR200233113Y1 (ko) 2001-03-20 2001-03-20 이동식 발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1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790B1 (ko) * 2005-09-23 2007-08-03 대 규 이 유기성 폐기물 발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790B1 (ko) * 2005-09-23 2007-08-03 대 규 이 유기성 폐기물 발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200773U (zh) 社区环保紧凑型有机垃圾快速腐熟堆肥设备
CN101979363B (zh) 一种有机垃圾的生态堆肥装置
CN109180231A (zh) 一体化干式好氧堆肥装置
CN103664248A (zh) 一种太阳能垃圾发酵装置
KR101130311B1 (ko) 무폐수, 무악취 유기질 퇴비화 설비시스템
CN110723993B (zh) 一种湿垃圾制取有机肥系统
CN104829278B (zh) 一种有机垃圾堆肥处理方法
KR200233113Y1 (ko) 이동식 발효 장치
CN108752063A (zh) 高溶氧有机废弃物生物发酵设备及其处理方法
KR100398624B1 (ko) 이동식 발효 장치
CN205133435U (zh) 一种自通风好氧堆肥装置
EP1953121A1 (en) A liquid permeable silo
CN212681998U (zh) 湿垃圾处理装置
JP2918817B2 (ja) 泥状有機廃物の発酵処理装置並びに発酵処理法
CN207787251U (zh) 适于处理生活垃圾的发酵箱及垃圾处理系统
KR20030065768A (ko) 교반식 발효조의 급기 겸용 침출수 배출장치
CN203668250U (zh) 一种太阳能垃圾发酵装置
CN208883727U (zh) 高溶氧有机废弃物生物发酵设备
CN111659696A (zh) 湿垃圾处理装置及湿垃圾处理方法
CN214441783U (zh) 一种一体化餐厨垃圾处理设备
CN2892307Y (zh) 一种有机垃圾处理装置
CN205170689U (zh) 集装箱式膜覆盖静态通风堆肥装置
WO1999062844A1 (en) A composting apparatus
CN214634206U (zh) 一种餐厨垃圾隔油池及餐厨垃圾处理系统
CN219730808U (zh) 一种静态发酵以及二次匀质搅拌有机废弃物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