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369Y1 -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 Google Patents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369Y1
KR200232369Y1 KR2019980023760U KR19980023760U KR200232369Y1 KR 200232369 Y1 KR200232369 Y1 KR 200232369Y1 KR 2019980023760 U KR2019980023760 U KR 2019980023760U KR 19980023760 U KR19980023760 U KR 19980023760U KR 200232369 Y1 KR200232369 Y1 KR 200232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buried
underground
protection net
underground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703U (ko
Inventor
창 덕 석
Original Assignee
석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창덕 filed Critical 석창덕
Priority to KR2019980023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36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7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369Y1/ko

Links

Landscapes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시설물의 탐색 및 보호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 시설물에 보호망을 설치하여 매설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매설관을 탐색할 수가 있으며 매설물에 따라 보호망의 색상을 달리하여 시설물별로 매설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하 시설물의 매설을 탐사하는 지하 시설물 탐사기(송/수신기)에 있어서, 지표면에서 30cm의 깊이에 플라스틱 보호망이 맨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망 내부의 중심에 동선이 삽입되고, 상기 보호망의 색상을 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하여 구비한다.
본 고안은 부식이 되지 않고 질긴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망을 설치함으로써 굴착 공사시 매설관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동선을 이용하여 탐색을 가능하게 하며, 색상이 선명한 플라스틱 보호망을 사용함으로써 지하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지하 시설물을 설치할 때 동시 설치가 가능하여 별도의 설치비가 소요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본 고안은 지하 시설물의 탐색 및 보호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 시설물에 보호망을 설치하여 매설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매설관을 탐색할 수가 있으며 매설물에 따라 보호망의 색상을 달리하여 시설물별로 매설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탐사기의 원리는 시설물에 전파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송신 자장을 발생시켜 탐사기로 색출하는 작업인데, 전기 및 전화는 자체 전기 부하가 걸려있어 탐사는 용이하나 상수도, 도시가스관은 탐사기로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특히 플라스틱관은 탐사가 불가능하다.
요즘은 부식이 잘 안되는 상기 플라스틱관을 도시가스와 상수도에 많이 사용하므로 탐사가 용이하지 않다.
도로의 지하에 매설된 각종 배관은 도로의 신설, 개량, 보수 등으로 수시로 굴착 공사를 하며, 굴착시 시설물의 매설 유무를 알 수가 없어 파손이 자주 일어나므로 파손에 따른 손실이 크다.
상기 시설물 중에서 도시가스관의 파손은 가스를 유출시켜 폭발의 우려가 있으므로 재산상의 피해와 인명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탐사장비를 대한지적공사가 1982년 최초로 영국제품 GPR 404를 도입하여 탐사하고 그 이후에도 탐사장비로 탐사하였으나 지하 매설관을 100% 탐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하 시설물 탐사장비는 영국제품인 자장탐사원리에 의한 상기 GPR 404와 RD 600이 대표적이고, 일본제품은 상기 영국제품과 같은 탐사장비가 있으며 레이더 방식의 KSD-8 이 있다.
상기 자장발생 탐사장비는 부하가 걸려있는 전기, 전화는 탐사가 용이하나 외부전파 방해지역은 어려움이 있고 상수도, 도시가스는 주철관으로 직접 또는 간접 송신으로 탐사는 하고 있으나 인접 시설관의 전파 방해로 탐색에 어려움이 많으며 전량 탐사가 불가능하다.
특히 상,하수도와 도시가스 등의 플라스틱 배관은 탐사가 불가능하고, 상기 레이더 방식도 지질관계상 식별이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 굴착공사시 지하 매설물의 파손으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과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매설물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색상을 달리하는 보호망을 설치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 지하 시설물 보호망 설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매설물의 매설여부를 수신하는 수신기의 단면 도.
도 3 은 본 고안 지하 시설물 보호망의 상세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하 시설물의 매설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탐사기(송신기) 2 : 송신용 전선
3 : 제수변 4 : 보호망 설치위치
5 : 보호망과 지하 매설물 간의 깊이
6 : 지하 매설관 7 : 보호망 중심 동선
8 : 보호망 9 : 맨홀
10 : 동선연결 집게 11 : 도시가스(주황색)
12 : 전화 통신케이블(녹색) 13 : 전기(빨강색)
14 : 하수도(보라색) 15 : 상수도(청색)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 지하 시설물의 매설을 탐사하는 지하 시설물 탐사기(송/수신기)에 있어서,
지표면에서 30cm의 깊이에 플라스틱 보호망이 맨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망 내부의 중심에 동선이 삽입되고, 상기 보호망의 색상을 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탐사기(송신기)의 플러스(+) 단자를 상기 동선의 일측에 연결하고 마이너스(-) 단자를 타측에 연결하여 매설물을 완전 탐색할 수 있고, 상기 보호망의 색상으로 매설물의 매설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탐사기의 탐색과 보호망의 색상으로 이중 탐색을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탐사장비의 탐사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에 매설된 전도체는 전류가 흐를 때 도체 주위에 자장이 형성되어 전기가 통하는 물체는 동심원적인 자장이 형성되며 그 크기는 전류의 강도 거리에 좌우된다.
이때 자장을 코일로써 직각으로 끊어줄 때 그 코일에는 미소한 전류가 유도되어 흐르게 되며, 이 미소 전류를 증폭시켜 가청주파수로 바꾸어 헤드폰을 통해 듣게 되고, 또한번 발진시켜 지시침(검류계)을 움지이게 하여 눈으로 확인하게 되된다.
도 1 은 본 고안 지하 시설물 보호망 설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에서 30cm의 깊이에 플라스틱 보호망(8)이 맨홀(9)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망(8) 내부의 중심에 동선(7)이 삽입되고, 상기 보호망(8)의 색상을 매설물의 용도에 따라 다르게 하여 구비한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를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탐사기(송신기)(1)의 플러스(+)극을 두 개의 맨홀(9)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망(8) 속의 일측 동선(7)에 집게(10)를 물리어 연결하고, 송신기(1)의 마이너스(-)극을 상기 보호망(8) 속의 타측 동선(7)에 집게(10)를 물리어 연결한다.
그러면 전기가 통하는 매설물은 자장이 형성되고 미소한 전류가 유도되어 흐르게 되며 이 미소 전류를 증폭시켜 가청주파수로 변환하여 도 2 에 도시된 탐사기(수신기)의 헤드폰을 통해 매설물의 매설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수신기의 검류계가 움직이면 매설물이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망(8)의 색상을 통하여 매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지하 시설물의 보호망(8)의 색상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가스(11)는 주황색, 전화 통신케이블(12)은 녹색, 전기(13)는 빨강색, 하수도(14)는 보라색, 상수도(15)는 청색으로 구별되어 매설물의 종류별 매설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신기(1)를 보호망(8) 내부에 있는 동선(7)에 연결하여 탐사하면 상,하수도와 도시가스 등의 부전도체 플라스틱 배관의 탐사도 100% 가능하고, 동시에 보호망(8)의 색상으로 매설여부 및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중으로 지하 시설물의 매설내용을 알 수 있다.
지하 매설물을 보호하는 보호망(8)은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지하 1m∼1.5m 깊이에 관(6)을 매설하고, 지표면에서 30cm의 깊이에 영구보존이 가능한 플라스틱 보호망(8)을 설치하며, 상기 보호망(8) 내부의 중심에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사용 동선(7)을 삽입한다.
상기 보호망(8)의 크기는 폭 30cm, 길이 100m∼300m로 하고, 보호망사의 굵기는 3mm의 타원형사로 제작하며, 보호망(8)은 식별이 용이하게 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도로 굴착공사 등 지하 모든 시설물에 대하여 신설, 개량, 보수 등 각종 공사를 해야 할 때 지하 시설물에 설치된 보호망(8)의 색상을 식별하여 매설물의 매설내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에 있어서, 개시되는 고안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부식이 되지 않고 질긴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망을 설치함으로써 굴착 공사시 매설관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비용은 신설, 개량, 보수시 겸해서 설치 가능하여 별도의 설치비가 소요되지 않으며, 아울러 탐사기의 송신기를 동선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상,하수도와 도시가스 등의 플라스틱 배관의 탐사가 100% 가능하고 동시에 보호망의 색상으로 매설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중으로 지하 시설물의 매설상태를 알 수 있다.

Claims (3)

  1. 지하 시설물의 매설을 탐사하는 지하 시설물 탐사기(송/수신기)에 있어서,
    지표면에서 30cm의 깊이에 플라스틱 보호망이 맨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망 내부의 중심에 동선이 삽입되고, 상기 보호망의 색상을 매설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탐사기(송신기)의 플러스(+) 단자를 상기 동선의 일측에 연결하고 마이너스(-) 단자를 타측에 연결하여 매설물을 완전 탐색할 수 있고, 상기 보호망의 색상으로 매설물의 매설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탐사기의 탐색과 보호망의 색상으로 이중 탐색을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KR2019980023760U 1998-12-01 1998-12-01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KR200232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60U KR200232369Y1 (ko) 1998-12-01 1998-12-01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60U KR200232369Y1 (ko) 1998-12-01 1998-12-01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703U KR19990011703U (ko) 1999-03-25
KR200232369Y1 true KR200232369Y1 (ko) 2001-08-07

Family

ID=6950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760U KR200232369Y1 (ko) 1998-12-01 1998-12-01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3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703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71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proximity of a conductive, buried structure
CN104254788B (zh) 埋地设施检测
AU600200B2 (en) System and method with passive resonant circuit markers for locating buried electrical conductors
CN111856155A (zh) 一种电缆通道内电缆信息定位及信息采集方法
KR20110058313A (ko) 지하 시설물 측량용 3차원 전자유도 측량장비
KR200232369Y1 (ko) 지하 시설물 탐색 및 보호망
JP6071894B2 (ja) 漏水探索方法
WO2007038940A1 (en) A boring hea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ccomplishing a conveyance line boring operation
EP0933653A2 (en) Apparatus for the safeguard and the remote detection of cables and works laid underground comprising a smart tape
US7017266B1 (en) Locator wire terminator
KR19990055739A (ko) 지하관로의 위치 탐지방법
JP2845759B2 (ja) 地下埋設物の測定用蓋アンテナ
CN218938521U (zh) 一种地下电性源金属管线探测装置
Davronovna et al. USE OF PIPE FINDERS IN SEARCHING OF UNDERGROUND PIPELINES IN GEODETIC MEASUREMENTS
US20220317326A1 (en) Magnetic coupler for inducing a signal on a utility line
JP2000221002A (ja) 埋設路設備と埋設路の位置検知方法
KR200346412Y1 (ko) 지중케이블 검전기
JP3017649U (ja) 磁性体埋設標識帯
Hoffer Underground Locators: Overview and Challenges| SoftDig
KR200471757Y1 (ko) 매설관 손상 위치 감지를 위한 감지 테이프
Cloutier Cable tracking requirements in the new millennium
JPH07292753A (ja) 下水道システム
KR20020070399A (ko) 매설물 감지 경고 테이프
WO2013133662A1 (ko) 매설관 손상 위치 감지를 위한 감지선 포선 방법 및 이에 적합한 감지 테이프
JPS63133080A (ja) 埋設導体の探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