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347Y1 - 밀림방지면이 있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 Google Patents

밀림방지면이 있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347Y1
KR200232347Y1 KR2019990010991U KR19990010991U KR200232347Y1 KR 200232347 Y1 KR200232347 Y1 KR 200232347Y1 KR 2019990010991 U KR2019990010991 U KR 2019990010991U KR 19990010991 U KR19990010991 U KR 19990010991U KR 200232347 Y1 KR200232347 Y1 KR 200232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holder
cutting
fixing
cutting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843U (ko
Inventor
이용부
김기헌
김영흠
김학규
김경배
Original Assignee
유창종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종,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창종
Priority to KR2019990010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347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347Y1/ko

Links

Landscapes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절삭 인써트의 외형에 부합하는 인써트 안착부를 형성하고, 밀림 방지면, 상부 리세스 및 하부 리세스를 인써트 안착부 내에 형성함으로써, 인써트 안착부 내에 장착된 절삭 인써트에 강한 클램핑력을 제공하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절삭가공시 절삭 인써트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 인써트의 인선높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절삭 깊이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절삭 인써트를 인써트 안착부 내외로 간단하게 장탈착시킬 수 있는 인써트 고정용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써트 고정용 홀더에서는, 인써트 안착부를 한정하는 상부 고정죠와 하부 고정죠가 홀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고정죠의 상부 접촉면과 하부 고정죠의 하부 접촉면은 일정한 사잇각을 이루면서 이격된다. 상기 인써트 안착부 내에서, 상부 접촉면과 하부 접촉면 사이에는 상부 리세스, 밀림 방지면 및 하부 리세스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죠 아래의 일 위치에는 렌치 삽입공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밀림방지면이 있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Wedge-type holder for fixing a cutting insert which has a rear support surface}
본 고안은 인써트 고정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 인써트의 외형에 부합하는 인써트 안착부를 형성하고, 밀림 방지면, 상부 리세스 및 하부 리세스를 인써트 안착부 내에 형성함으로써, 인써트 안착부 내에 장착된 절삭 인써트에 강한 클램핑력을 제공하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절삭가공시 절삭 인써트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 인써트의 인선 높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절삭 깊이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절삭 인써트를 인써트 안착부 내외로 간단하게 장탈착시킬 수 있는 인써트 고정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 공구는 주로 철계, 비철계 금속, 비금속 재료의 절삭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공작 기계에 장착되어 피삭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절삭을 수행하는 공구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절삭 공구는 절인을 가지고 있는 절삭 인써트와 이 절삭 인써트를 고정시켜주는 몸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금속을 절삭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가지를 들 수 있는데, 첫째로는 회전하는 금속제의 피가공물에 고정된 절삭공구의 절인부분을 접촉시켜서 절삭을 수행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절삭날을 가진 공구, 즉 절삭 인써트를 공구용 홀더에 고정시키고 공구용 홀더를 공작기계에 고정시킨 절삭공구를 회전시키면서 미리 고정된 피가공물에 접촉시켜 피가공물을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는 것이다.
절삭 인써트를 공구용 홀더에 고정시킬때는 절삭 깊이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고정기구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공구용 홀더에 나사공이나 다양한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안에 스크루나 클램프를 탈착가능하게 끼워서 절삭 인써트를 공구용 홀더에 고정시킨다. 이와같은 방식의 공구용 홀더는 절삭 인써트를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지지하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절삭작업후 절삭 인써트가 마모되었을 때 이를 교체시키기 위해서 스크루나 클램프를 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교체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홈가공 작업이나 공작물을 절단하는 작업용 공구는 절삭 인써트를 고정하는 별도의 스크루나 클램프를 장착할 공간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공구용 홀더의 단점을 개선시키고자 개발된 것이 쐐기식(wedge-type) 인써트 고정용 홀더인데, 이 홀더는 홀더 본체에 절삭 인써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절개부를 만들고 절삭 인써트의 일측에 삽입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공구용 홀더의 절개부 내로 절삭 인써트를 삽입하면 가공중에 발생하는 절삭력과 홀더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력으로 고정되는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최근까지,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절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가 개발된 바 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인써트 고정용 홀더(60)는 판형상의 홀더 본체(62)를 구비한다. 홀더 본체(62)의 양측에는 절삭 인써트(64)를 수용하기 위한 인써트 안착부(66)가 형성된다. 인써트 안착부(66)는 절삭 인써트(64)의 상부면(64a) 및 하부면(64b)과 접촉하는 상부 경사면(61a)과 하부 경사면(61b)에 의해서 한정되며, 인써트 안착부(66)의 안쪽에는 원형의 개구부(68)가 형성된다. 개구부(68)는 인써트 안착부(66)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인써트 고정용 홀더(60)에 절삭 인써트(64)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절삭 인써트(64)의 상부면(64a)과 하부면(64b)이 홀더 본체(62)의 상부 경사면(61a)과 하부 경사면(61b)에 밀착되게 절삭 인써트(64)를 인써트 안착부(66) 내로 압입한다. 이와는 달리, 절삭 가공후에 인써트 안착부(66)로부터 절삭 인써트(64)를 제거시키는 경우에는, 개구부(68)내로 렌치(도시되지 않음)의 말단을 끼워넣어 절삭 인써트(64)의 삽입면(64c)을 인써트 안착부(66) 바깥쪽으로 밀어서 제거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인써트 고정용 홀더(60)는 인써트 안착부(66) 내에 삽입된 절삭 인써트(64)에 가해지는 클램핑력이 절삭시 발생하는 절삭력에 의하여 계속 증가되어 개구부(68)가 파손되기도하고, 절삭작업시에 절삭 인써트(64)가 점진적으로 인써트 안착부(66) 내로 밀려들어가게 되어 절삭 깊이의 정확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우며, 절삭 인써트(64)의 인선높이를 유지할 수 없다. 또한, 렌치를 이용하여 개구부(68)로부터 절삭 인써트(64)를 제거시킬때도 불편함이 있었다.
1992년 2월 4일자로 반델 이. 심슨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주석 제 5,085,541 호에는 금속 절삭과 홈파기에 적합한 금속 절삭 인써트 및 이를 고정시켜서 사용하기 위한 공구용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금속 절삭 인써트는 홀더 일측에 형성된 리세스 내로 삽입되는데, 리세스는 절삭 인써트의 측면에 부합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인써트 지지면들에 의해서 한정된다. 상부 인써트 지지면 내측에는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원호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하부 인써트 지지면 내측과 상기 절개부 사이에는 절삭 인써트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렌치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인써트 고정용 홀더에서는, 상부 인써트 지지면과 하부 인써트 지지면의 탄성력이 부족하여 리세스 내에 삽입된 절삭 인써트에 가해지는 클램핑력이 미흡하고, 하부의 탄성을 조절하고 렌치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절삭 주분력 방향에 있어서 파손되기 쉽다. 또한, 렌치를 이용하여 리세스 내외로 절삭 인써트 탈부착할때도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밀림 방지면, 상부 리세스 및 하부 리세스를 인써트 안착부 내에 형성함으로써, 인써트 안착부 내에 장착된 절삭 인써트에 강한 클램핑력을 제공하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절삭가공시 절삭 인써트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 깊이의 정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절삭 인써트의 인선높이를 유지할수 있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용 홀더에 절삭 인써트를 장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용 홀더에 장착된 절삭 인써트를 제거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0 : 인써트 고정용 홀더 12,62 : 홀더 본체
14,66 : 인써트 안착부 15 : 렌치 삽입공
16 : 상부 리세스 17 : 밀림 방지면
18 : 하부 리세스 20 : 상부 고정죠
24 : 상부 접촉면 30 : 하부 고정죠
34 : 하부 접촉면 40,64 : 절삭 인써트
42,64a : 상부면 44,64b : 하부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판형상의 홀더 본체, 및 소정의 절삭 인써트 외형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홀더 본체의 양측 모서리 부분 일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삭 인써트를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인써트 안착부를 포함하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인써트 안착부는 상기 절삭 인써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잡아주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상부 고정죠와 하부 고정죠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상부 고정죠와 상기 하부 고정죠는 상기 홀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죠는 상기 홀더 본체의 홀더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된 상부 접촉면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하부 고정죠는 상기 홀더 본체의 홀더 하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경계면 및 상기 경계면으로부터 연장된 하부 접촉면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상부 고정죠의 상부 접촉면과 상기 하부 고정죠의 하부 접촉면은 일정한 사잇각(γ)을 이루고, 상기 인써트 안착부 내에서 상기 상부 접촉면과 상기 하부 접촉면 사이에는 상부 리세스, 밀림 방지면 및 하부 리세스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죠 아래의 일 위치에는 렌치 삽입공이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써트 고정용 홀더에서는, 절삭 인써트의 상부면과 하부면 형상에 부합하는 상부 고정죠와 하부 고정죠에 의해서 한정된 인써트 안착부를 형성하고, 절삭 인써트를 인써트 안착부 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절삭작업을 수행할 때 절삭 인써트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면, 상부 고정죠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부 리세스, 및 하부 고정죠의 탄성 변형한계를 증가시키기 위한 하부 리세스를 인써트 안착부 내에 형성함으로써, 인써트 안착부 내에 장착된 절삭 인써트에 강한 클램핑력을 제공하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절삭가공시 절삭 인써트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 깊이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절삭인써트 고정용 홀더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절삭 인써트 고정용 홀더(10)는 얇은 판형상의 홀더 본체(12)를 포함한다. 홀더 본체(12)는 고탄소강에 Cr, Mo, W, V, Co 등의 합금원소를 비교적 다량으로 첨가한 고속도강으로 제조된다. 홀더 본체(12)의 양측 모서리 부분 일위치에는 절삭 인써트(40)를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인써트 안착부(14)가 각각 형성된다. 인써트 안착부(14)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함이 없이 절삭 인써트(40)를 견고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절삭 인써트(40)의 외형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다.
인써트 안착부(14)는 절삭 인써트(40)의 양측면(42,44)을 잡아주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죠(20,30)에 의해서 한정된다. 상부 고정죠(20)와 하부 고정죠(30)는 홀더 본체(12)의 모서리 부분 일위치에서 홀더 본체(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 고정죠(20)는 홀더 상부면(11)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22) 및 경사면(22)으로부터 연장된 상부 접촉면(24)에 의해서 한정된다. 상부 접촉면(24)은 경사면(22)에서 시작하여 홀더 본체(12)의 내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볼록 브이(V)자 형상을 갖는다. 이때, 볼록 브이(V)형의 각도는 90∼150도가 바람직하다.
하부 고정죠(30)는 홀더 하부면(1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경계면(32) 및 경계면(32)으로부터 연장된 하부 접촉면(34)에 의해서 한정된다. 하부 접촉면(24)은 경계면(32)에서 시작하여 홀더 본체(12)의 내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볼록 브이(V)자 형상을 갖는다. 이때, 볼록 브이(V)자형의 각도는 90∼150도가 바람직하다.
상부 고정죠(20)와 하부 고정죠(30)는 일정한 사잇각(γ)을 이룬다. 홀더 본체(12)의 자체 탄성을 이용한 쐐기력은 사잇각(γ)이 작으면 좋아지나, 절삭 인써트(40)의 움직임이 커져서 공구의 인선위치가 변하고 절삭 인써트(40)의 착탈이 어렵다. 이에 반해서, 사잇각(γ)이 너무 크면 장착력이 약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고정죠(20)와 하부 고정죠(30)는 10∼13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이격되고, 이에 의해 인써트 안착부(14)가 제공된다.
하부 고정죠(30)의 접촉면(34)은 홀더 본체(12)의 하부면(13)과 평행한 가상 지시선에 대하여 경사각(β)를 이루며, 인써트 안착부(14)의 쐐기각 방향이 결정되면서 절삭 인써트(40)의 상면 경사각과 전면 여유각(ε)을 제공한다. 상면 경사각은 전단력(cutting force)을 결정하므로, 너무 크거나 작아도 공구 수명이 짧아지게 되며, 경사각은 주로 절삭 인써트(40)의 절삭날 끝에 위치한 칩브레이커(chip breaker)에 의해서 결정된다. 전면 여유각(ε)은 홀더 본체(12)에 의하여 결정되며 공작물과의 마찰을 작게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5∼10도가 적절하다.
그리고, 홈가공 및 절단가공은 절삭저항의 3분력중 이송분력과 배분력의 방향이 같아 주분력과 이루는 절삭합력의 방향이 30∼60도를 이루므로, 인써트 안착부(14)의 사잇각(γ)과 절삭 인써트(40)의 전면 여유각(ε)에 따라 절삭 인써트(40)가 절삭합력의 방향으로 위치하여 최적의 쐐기력을 발휘하도록 경사각(β)은 15∼20도로 되어 있다.
한편, 인써트 안착부(14) 내에서, 상부 접촉면(24)과 하부 접촉면(34) 사이에는 렌치 걸림턱(16a), 상부 리세스(16), 밀림 방지면(17) 및 하부 리세스(18)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렌치 걸림턱(16a)은 절삭 인써트(40)를 인써트 안착부(14)에서 탈착할 때 렌치(50)의 튕겨나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20도 이상의 경사각(δ)으로 형성된다.
상부 리세스(16)는 상부 고정죠(20)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 상부면(11)에 대하여 평행하게 3개의 세그멘트(16b,16c,16d)로 한정되어 렌치 걸림턱(16a)에 연장되고, 이때 세그멘트(16c)는 1∼2mm의 곡률반경을 갖는다.
밀림 방지면(17)은 절삭 인써트(40)를 인써트 안착부(14) 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절삭작업을 수행할 때, 절삭 인써트(4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리세스(16)의 제 3 세그멘트(16d)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향하고 절삭 인써트(40)의 삽입면(46)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인써트 안착부(14) 내에 삽입된 절삭 인써트(40)는 렌치(50)를 사용한 장착시 0.3∼0.5mm의 틈을 유지한후 1∼3회의 절삭작업후 밀림 방지면(17)에 절삭 인써트(40)의 뒷부분이 닿도록 간극을 유지하여야 적절한 탄성력을 발휘한다.
하부 리세스(18)는 절삭 인써트(40)를 인써트 안착부(14) 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적절한 탄성력을 발휘하며, 최대의 탄성 변형한계를 가지도록 1∼2mm의 곡률반경으로 밀림 방지면(17)으로부터 연장된 원호형상의 세그멘트(18a)에 의해서 한정되고, 끝단은 하부 접촉면(34)과 만난다.
하부 고정죠(30) 아래의 일 위치에는 렌치 삽입공(15)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렌치 삽입공(15)에는 절삭 인써트(40)를 고정용 홀더(10)의 인써트 안착부(14)에 삽입하거나 인써트 안착부(14)로부터 제거할 때 사용하는 렌치(50)의 하측 삽입단부(54)(도 3a, 3b도 참조)가 끼워진다.
이와같이 형성된 고정용 홀더(10)에 절삭 인써트(40)를 장착시키거나 탈착시키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용 홀더에 절삭 인써트를 장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용 홀더(10)의 인써트 안착부(14)에 절삭 인써트(40)를 장착시킬때는, 먼저 절삭 인써트(40)의 상부면(42)과 하부면(44)이 인써트 안착부(14)의 상부 접촉면(24)과 하부 접촉면(34)에 각각 밀착되도록 절삭 인써트(40)를 인써트 안착부(14) 내로 삽입한다.
다음에는, 렌치(50)의 하측 삽입단부(54)를 렌치 삽입공(15) 내로 삽입하고 렌치(50)의 상측 삽입단부(52)가 절삭 인써트(40)의 전면 여유면부(47)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킨후, 하측 삽입단부(54)를 중심으로하여 렌치(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절삭 인써트(40)의 전면 여유면부(47)에 대하여 상측 삽입단부(52)를민다. 그 결과, 절삭 인써트(40)가 인써트 안착부(14) 내에 단단하게 압입 고정된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용 홀더에 장착된 절삭 인써트를 제거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용 홀더(10)의 인써트 안착부(14)에 장착된 절삭 인써트(40)를 인써트 안착부(14)로부터 탈착시킬때는, 먼저 렌치(50)의 하측 삽입단부(54)를 렌치 삽입공(15) 내로 삽입하고 렌치(50)의 상측 삽입단부(52)를 상부 리세스(16)내로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측 삽입단부(54)를 중심으로하여 렌치(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절삭 인써트(40)의 삽입면(46)에 대하여 상측 삽입단부(52)를 민다. 그 결과, 절삭 인써트(40)가 인써트 안착부(14)로부터 간단하게 제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10)에서는, 절삭 인써트(40)의 상부면(42)과 하부면(44) 형상에 부합하는 상부 고정죠(20)와 하부 고정죠(30)에 의해서 한정된 인써트 안착부(14)를 형성하고, 인써트 안착부(14) 내에 밀림 방지면(17), 상부 리세스(16) 및 하부 리세스(18)를 형성함으로써, 인써트 안착부(14) 내에 장착된 절삭 인써트(40)에 강한 클램핑력을 제공하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절삭가공시 절삭 인써트(4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 인써트(40)의 인선높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절삭 깊이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렌치(50)만을 이용하여 절삭 인써트(40)를 인써트 안착부(14) 내외로 간단하게 장·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판형상의 홀더 본체(12), 및 소정의 절삭 인써트(40) 외형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홀더 본체(12)의 양측 모서리 부분 일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삭 인써트(40)를 수용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인써트 안착부(14)를 포함하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10)에 있어서,
    상기 인써트 안착부(14)는 상기 절삭 인써트(40)의 상부면(42)과 하부면(44)을 잡아주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상부 고정죠(20)와 하부 고정죠(30)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상부 고정죠(20)와 상기 하부 고정죠(30)는 상기 홀더 본체(1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죠(20)는 상기 홀더 본체(12)의 홀더 상부면(11)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22) 및 상기 경사면(22)으로부터 연장된 상부 접촉면(24)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하부 고정죠(30)는 상기 홀더 본체(12)의 홀더 하부면(1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경계면(32) 및 상기 경계면(32)으로부터 연장된 하부 접촉면(34)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상부 고정죠(20)의 상부 접촉면(24)과 상기 하부 고정죠(30)의 하부 접촉면(34)은 일정한 사잇각(γ)을 이루고, 상기 인써트 안착부(14) 내에서 상기 상부 접촉면(24)과 상기 하부 접촉면(34) 사이에는 렌치 걸림턱(16a), 상부 리세스(16), 밀림 방지면(17) 및 하부 리세스(18)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고정죠(30) 아래의 일 위치에는 렌치 삽입공(15)이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면(24)은 상기 경사면(22)의 말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홀더 본체(12)의 내부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90∼150도를 이루는 볼록 브이(V)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접촉면(34)은 상기 경계면(32)의 상부 말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홀더 본체(12)의 내부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90∼150도를 이루는 볼록 브이(V)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접촉면(34)은 상기 홀더 하부면(13)과 평행한 가상 지시선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β)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 걸림턱(16a)은 렌치(50)를 이용하여 상기 절삭 인써트(40)를 상기 인써트 안착부(14)에서 탈착시킬 때 상기 렌치(50)의 튕겨나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20도 이상의 경사각(δ)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잇각(γ)는 10∼13도 각도이며, 상기 경사각(β)는 15∼20도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세스(16)는 상기 상부 고정죠(20)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홀더 상부면(11)에 대하여 평행하게 3개의 세그멘트(16b,16c,16d)로 한정되어 상기 렌치 걸림턱(16a)에 연장되고, 상기 세그멘트(16c)는 1∼2mm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하부 리세스(18)는 상기 절삭 인써트(40)를 상기 인써트 안착부(14) 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적절한 탄성력을 발휘하며, 최대의 탄성 변형한계를 가지도록 1∼2mm의 곡률반경으로 상기 밀림 방지면(17)으로부터 연장된 원호형상의 세그멘트(18a)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세그멘트(18a)의 끝단은 상기 하부 접촉면(34)과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 삽입공(15)에는 상기 렌치(50)의 하측 삽입단부(54)가 끼워지며, 상기 밀림 방지면(17)은 상기 절삭 인써트(40)를 상기 인써트 안착부(14) 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절삭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절삭 인써트(4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세그멘트(16d)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절삭 인써트(40)의 상기 삽입면(46)에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KR2019990010991U 1999-06-21 1999-06-21 밀림방지면이 있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KR200232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991U KR200232347Y1 (ko) 1999-06-21 1999-06-21 밀림방지면이 있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991U KR200232347Y1 (ko) 1999-06-21 1999-06-21 밀림방지면이 있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843U KR20010000843U (ko) 2001-01-15
KR200232347Y1 true KR200232347Y1 (ko) 2001-09-29

Family

ID=5476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991U KR200232347Y1 (ko) 1999-06-21 1999-06-21 밀림방지면이 있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3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843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500B1 (ko) 인써트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 절삭공구
EP1159101B1 (en) Toolholder with detachable blade
KR100626926B1 (ko) 절삭 인서트 클램핑 기구
US8573900B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tool holder having lever pin
CA1156823A (en) Face grooving tool
US6299389B1 (en) Cutting tool assembly
JP2009262323A (ja) 金属切削差込工具を保持する工具ホルダ
JPH08229705A (ja) 両頭形インサート
JPH11508194A (ja) インサート締め付け機構を備えた切削工具
EP0431009B1 (en) cutting insert
JP2012524665A (ja) 切削工具およびそのための切削インサート
EP0138498B1 (en) Cutting tool
US5947648A (en) Toolholder assembly
CN110461510B (zh) 刀片形的切削刀片及其切削刀具
CN212793066U (zh) 用于切削加工的工具
CN113573831A (zh) 具有弹性刀片夹钳的刀片支架和切削工具
US7331736B2 (en) Metal cutting tool
KR200232347Y1 (ko) 밀림방지면이 있는 쐐기식 인써트 고정용 홀더
CN211866624U (zh) 夹紧支架
JP4335494B2 (ja) 切屑を除去しつつ工作物を加工するツール
KR100296445B1 (ko) 작은 구멍의 내경 가공을 위한 인덱서블 보링공구
KR100303419B1 (ko) 인덱서블 타입의 밀링 볼 엔드밀
JPH0871812A (ja) 溝入れ用バイト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166500B2 (ja) 溝入れ用バイト
JPH01183303A (ja) 回転ツール等に用いるツールビ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