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233Y1 -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 Google Patents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233Y1
KR200232233Y1 KR2020000031940U KR20000031940U KR200232233Y1 KR 200232233 Y1 KR200232233 Y1 KR 200232233Y1 KR 2020000031940 U KR2020000031940 U KR 2020000031940U KR 20000031940 U KR20000031940 U KR 20000031940U KR 200232233 Y1 KR200232233 Y1 KR 200232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unit
cold
hot water
water
bottl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봉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쿠아코리아
Priority to KR2020000031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2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233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는 생수가 수용된 생수통(110)과, 상기 생수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냉각 및 가열하여 냉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공급유닛(120)과, 상기 생수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공급유닛(130)이 일체형 케이스(100) 내에 상하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생수통과, 냉온수공급유닛과, 음료공급유닛이 일체형 케이스 내에 상하로 배치하여 형성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를 희석하고자 할 때 냉온수공급유닛의 물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Hot and cold water dispenser vertically integrated with automatic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수통의 생수를 냉온수로서 공급하는 냉온수기와 생수를 사용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자판기가 상하일체식으로 형성된 생수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와 자판기는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시판된다. 냉온수기와 자판기가 모두 필요한 경우, 소비자는 이들을 각각 구입하여 설치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냉온수기와 자판기가 각각 차지하는 설치공간이 필연적으로 커질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냉온수기와 자판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의 후방커버를 제거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일체형 케이스 101 : 하부공간
102 : 중간공간 103 : 상부공간
110 : 생수통 120 : 냉온수공급유닛
130 : 음료공급유닛 140 : 냉각수단
150 : 저장탱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는 생수가 수용된 생수통(110)과, 상기 생수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냉각 및 가열하여 냉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공급유닛(120)과, 상기 생수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공급유닛(130)이 일체형 케이스(100) 내에 상하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생수자판기의 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생수자판기는 일체형 케이스(100)로 둘러싸여 있다. 일체형 케이스(100) 전면의 상부에는 음료공급용의 표시패널(138))과 음료인출구(1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체형 케이스(100) 전면의 중간부에는 냉온수공급용 냉온수밸브(123)(126)와 물받이수단(128)이 형성되어 있다. 일체형 케이스(100) 전면의 하부는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정수자판기에서 후방커버를 제거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자판기는 생수가 수용된 생수통(110)이 하부에 배치되고 생수통으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냉각 및 가열하여 냉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공급유닛(120)이 중간부에 배치되고, 생수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공급유닛(130)이 상부에 배치된 구조이다.
각각의 유닛(110)(120)(130)은 일체형 케이스(100) 내에 수용되며, 일체형 케이스(100)는 제1 및 제2 칸막이 부재(104)(105)에 의해 하부공간(101), 중간공간(102) 및 상부공간(103)로 구분되어 있다. 하부공간(101)에는 생수통(110)이 배치되고, 중간공간(102)에는 냉온수공급유닛(120)이 배치되고, 상부공간(103)에는 음료공급유닛(13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공간(101)의 저부에는 냉온수공급유닛(120)에서 생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1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공간(103)의 상단에는 생수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저장하여 냉온수공급유닛(120)과 음료공급유닛(130)으로 정수를 공급하는 저장탱크(150)가 설치되어 있다.
냉온수공급유닛(120)은 냉수공급유닛과 온수공급유닛으로 구성되는데, 냉수 공급유닛은 냉수통(121), 냉수통(121)의 외주면에 감긴 냉각코일(122) 및 냉수밸브(122)로 이루어지고, 온수공급유닛은 온수통(124), 온수통(124) 내에 설치되어 온수통(124)으로 공급되는 생수를 가열하는 히터(125) 및 온수밸브(126)로 이루어져 있다.
음료공급유닛(130)은 온수통(131), 히터(132), 원료통(133), 물원료혼합통(134) 및 음료배출구(135)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온수공급유닛(120)과 음료공급유닛(130)의 히터(125)(132)를 온수통(124)(131) 내에 설치되어 온수통 내의 생수를 가열하는 구조이지만, 온수가 나오는 소정의 경로에 가열코일을 감아 가열 코일을 통과하는 정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냉각수단(140)은 압축기(141)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응축기 및 냉각팬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수통(110)의 생수는 제1 칸막이 부재(104) 상에 설치된 펌프(160)에 의해 연결호스(161)를 통해서 저장탱크(150)으로 공급된다.
저장탱크(150)로부터 연결호스(151)를 통해 냉온공급유닛(120)의 냉수통(124)로 공급된 생수는 냉수통(124)의 외주면에 감긴 냉각코일(122)에 의해 냉각된 후 냉수밸브(123)를 통해 배출된다. 냉수통(121)의 외주면에 감긴 냉각 코일(122) 내의 냉매는 저온저압의 기체로 증발하면서 냉수통 내의 생수를 냉각시킨 다음 연결호스(142)를 거쳐 압축기(141)로 공급된다. 압축기(141)의 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된 냉매는 응축기로 공급된다. 다음, 응축기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냉매기체는 냉각팬에 의해 응축된다. 이렇게 응축된 냉매는 연결호스(142)를 거쳐 다시 냉수통(121)의 외주면에 감긴 냉각코일(122)로 유입됨으로써 냉각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저장탱크(150)로부터 연결호스(151)를 통해 냉온공급유닛(120)의 온수통(124)로 공급된 생수는 히터(125)에 의해 가열된 후 온수밸브(126)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저장탱크(150)로부터 연결호스(152)를 통해 음료공급유닛(130)의 온수통(131)으로 공급된 생수는 히터(132)에 의해 가열된 후 연결호스(136)를 거쳐 물원료혼합통(134)으로 공급되며, 물원료혼합통(134)에서는 원료통(133)으로부터 배출된 원료와 함께 혼합되어 음료로 된 후 연결호스(137)를 거쳐 음료배출구(135)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온수공급유닛(120)의 온수통과 음료공급유닛(130)의 온수통을 별개로 구성하였지만, 냉온수공급유닛(120)의 온수통(124)을 음료공급유닛(130)의 물원료혼합통(134)에 연결함으로써 음료공급유닛(130)이 냉온수공급유닛(120)의 온수통(124)을 이용하는 구조와, 음료공급유닛(130)의 온수통(131)을 냉온수공급유닛(120)의 온수밸브(126)에 연결함으로써 냉온수공급유닛(130)이 음료공급유닛(130)의 온수통(131)을 이용하는 구조도 본 고안의 범주 내에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형 케이스(100)의 중간공간(102)에 냉온수공급유닛(120)을 배치하고 상부공간(103)에 음료공급유닛(130)을 배치하였지만, 일체형 케이스(100)의 중간공간(102)에 음료공급유닛(130)을 배치하고 상부공간(103)에 냉온수공급유닛(120)을 배치한 구조도 본 고안의 범주 내에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상하일체식 정수자판기에 의하면, 생수통과, 냉온수공급유닛과, 음료공급유닛이 일체형 케이스 내에 상하로 배치하여 형성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를 희석하고자 할 때 냉온수공급유닛의 물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4)

  1. 생수가 수용된 생수통(110)과, 상기 생수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냉각 및 가열하여 냉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공급유닛(120)과, 상기 생수통(110)으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공급유닛(130)이 일체형 케이스(100) 내에 상하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케이스(100)의 하부공간(101)에는 생수통(110)이 배치되고, 상기 일체형 케이스(100)의 중간공간(102)에는 냉온수공급유닛(120)이 배치되고, 상기 일체형 케이스(100)의 상부공간(103)에는 음료공급유닛(130)이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케이스(100)의 하부공간(101)에는 생수통(110)이 배치되고, 상기 일체형 케이스(100)의 중간공간(102)에는 음료공급유닛(130)이 배치되고, 상기 일체형 케이스(100)의 상부공간(103)에는 냉온수공급유닛(12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공급유닛(120)의 온수통과 상기 음료공급유닛(130)의 온수통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KR2020000031940U 2000-11-15 2000-11-15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KR200232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40U KR200232233Y1 (ko) 2000-11-15 2000-11-15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40U KR200232233Y1 (ko) 2000-11-15 2000-11-15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233Y1 true KR200232233Y1 (ko) 2001-09-26

Family

ID=7309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40U KR200232233Y1 (ko) 2000-11-15 2000-11-15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2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1577B1 (en) Beverage maker
US4629096A (en) Liquid dispenser with readily removable liquid container
US6912867B2 (en) Combined water cooler and refrigerator unit
WO2008094323A1 (en) Beverage dispense font incorporating portable cooling device
US11629316B2 (en) Beverage maker
JP2004053069A (ja) 冷媒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販売機
KR20080006427U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US20080087036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water dispenser
KR20200001547U (ko) 개량된 액체냉각기
KR200232233Y1 (ko) 상하일체식 생수자판기
JP3540516B2 (ja) マルチバルブ清涼飲料ディスペンサ
JP4464290B2 (ja) 飲料サーバー
KR200232232Y1 (ko) 상하일체식 정수자판기
KR20110124858A (ko) 음료 냉각장치
KR101365876B1 (ko) 와인 냉각장치
KR20170047851A (ko) 냉수 인출을 겸한 탄산믹서통 및 이를 포함한 물공급장치
KR20190014982A (ko) 생맥주 냉각장치
KR20110043301A (ko) 이중냉각구조의 급속냉각장치
KR101346963B1 (ko) 와인 냉각장치
JPH1029698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520379B1 (ko) 냉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JP2003028552A (ja) ビール等の清涼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ー
KR100242626B1 (ko) 정수기겸용 냉온 자판기
KR101281303B1 (ko) 예약 기능을 구비한 미니 커피 냉온수기 또는 미니 커피 냉온정수기
JPH02139394A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