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062Y1 - 편향요크용세퍼레이터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용세퍼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062Y1
KR200232062Y1 KR2019980019079U KR19980019079U KR200232062Y1 KR 200232062 Y1 KR200232062 Y1 KR 200232062Y1 KR 2019980019079 U KR2019980019079 U KR 2019980019079U KR 19980019079 U KR19980019079 U KR 19980019079U KR 200232062 Y1 KR200232062 Y1 KR 200232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assembled
separator
deflection yoke
f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638U (ko
Inventor
김도년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2019980019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06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062Y1/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포커스 자석과 비알자석 등의 자계 보정 부품과 씨피엠 사이에 자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세퍼레이터는, 펀넬의 콘부에 조립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결 형성되고 펀넬의 넥크부에 조립되는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제1몸체와, 상기 넥크부의 단부에 조립되는 씨피엠(CPM: Convergence Purity Magnet)의 전방으로 상기한 제1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펀넬의 넥크부에 조립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몸체에는 포커스자석(focus magnet)과 비알자석(BR magnet) 등의 자계 보정 부품이 조립되는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는 이 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방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커스자석과 비알자석은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전방에 조립된다.

Description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본 고안은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씨피엠과 간섭되지 않도록 포커스 자석 및 비알자석과 코마보정용 조립체의 조립되는 위치를 변경시킨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는 수직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로 이루어지고, 각각 서로 절연되도록 세퍼레이터(separator)에 설치되어 음극선관의 넥크부에 장착되며, 수직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자계에 의하여 전자총에서 조사되는 전자빔을 상하좌우로 편향시키는 부품이다.
상기한 세퍼레이터는 합성수지로 대략 나팔형상을 2분할한 형태로 성형 가공되어 2개를 조합하여 사용하며, 수직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이 서로 절연하는 동시에 위치와 정도가 알맞게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아 및 접속용 단자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10)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펀넬(2)의 콘부(3)에 조립되는 경사부(12)와, 상기한 경사부(12)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펀넬(2)의 넥크부(4)에 조립되는 원통부(14)와, 상기한 경사부(12) 끝면에 둘레를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권선된 수평편향코일(6)의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는 전방 플랜지부(16)와, 상기한 원통부(14)의 중간부분에 둘레를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코마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보정용 코일조립체(20) 등이 설치되는 후방 플랜지부(18)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경사부(12)의 바깥쪽에는 수직편향코일(7)과 페라이트코아(8)가 조립되고, 상기한 경사부(12)와 원통부(14)의 안쪽에는 수평편향코일(6)이 조립되며, 상기한 원통부(14)의 끝부분에는 요크클램프(5)가 조립되고, 상기한 후방 플랜지부(18)와 경사부(12)의 한쪽에는 단자기판(9)이 조립되며, 상기한 후방 플랜지부(18)와 요크클램프(5) 사이의 원통부(14)에는 전자총에서 조사되는 전자빔의 포커스를 보정하기 위한 포커스자석(focus magent)(22)과 전자총으로부터 조사되는 청색빔과 적색빔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비알자석(BR magnet)(24)이 조립된다.
또 펀넬(2)의 넥크부(4)에는 상기와 같이 편향요크가 설치되는 세퍼레이터(20)에 근접하여 씨피엠(CPM; convergence purity magnet)(28)이 조립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20)에 있어서는 포커스 자석(22) 및 비알자석(24)이 후방 플랜지부의 후측(관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넥크부측)에 설치되므로, 상기 자석(22, 24)의 자계와 씨피엠(28)의 자계가 간섭되어 전자빔의 조정에 대한 효율이 저하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커스 자석과 비알자석은 세퍼레이터의 후방 플랜지부 전방에 조립하고 씨피엠은 후방 플랜지부의 후방에 조립하여 상기 자석들과 씨피엠 간의 거리를 최대한 이격시킴으로써 자계의 상호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조립식으로 형성한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펀넬의 콘부에 조립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결 형성되고 펀넬의 넥크부에 조립되는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제1몸체와, 상기 넥크부의 단부에 조립되는 씨피엠(CPM: Convergence Purity Magnet)의 전방으로 상기한 제1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펀넬의 넥크부에 조립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몸체에는 포커스자석(focus magent)과 비알자석(BR magnet) 등의 자계 보정 부품이 조립되는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는 이 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방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커스자석과 비알자석은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전방에 조립되는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조립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조립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조립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의 일실시예는 펀넬(2)의 콘부(3)에 조립되는 경사부(32)와 상기한 경사부(32)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펀넬(2)의 넥크부(4)에 조립되는 원통부(34)로 이루어지는 제1몸체(30)와, 상기한 제1몸체(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펀넬(2)의 넥크부(4)에 조립되는 제2몸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몸체(30)의 경사부(32) 끝면에는 권선된 수평편향코일(6)의 한쪽끝부분이 고정되는 전방 플랜지부(36)를 둘레를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제2몸체(40)는 한쪽 끝부분은 상기한 제1몸체(30)의 윈통부(3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요크클램프(5)가 설치되며 펀넬(2)의 넥크부(4)에 조립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42)와, 상기한 고정부(42)의 요크클램프(5)가 설치되는 옆쪽에 둘레를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코마보정용 조립체(20) 등이 설치되는 후방 플랜지부(44)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후방 플랜지부(44)의 전방(제1도서는 후방 플랜지부의 좌측)에는 포커스자석(focus magent)(22)과 비알자석(BR magnet)(24)이 조립되고, 후방 플랜지부(44)의 후방(제1도에서는 후방 플랜지부의 우측)에는 코마보정용 조립체(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포커스자석(22)과 비알자석(24)은 제2몸체(40)의 후방으로 펀넬(2)의 넥크부(4) 단부에 조립되는 씨피엠(CPM: Convergence Purity Magnet)으로부터 종래에 비해 먼 거리로 이격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자석(22, 24)과 씨피엠(28)간에 자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몸체(30)와 제2몸체(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조의 일실시예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몸체(30)의 고정부(42) 단부 외측면에 형성하는 결합돌기(47)와, 제1몸체(30)의 원통부(34)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47)가 삽입되는 결합구멍(3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결합돌기(47)를 형성하는 고정부(42)의 한쪽 끝부분은 윈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하여 복수의 탄성편(46)을 형성하는 것이 결합돌기(47)가 결합구멍(39)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탄성편(46)을 형성하고 탄성편(46)의 바깥쪽면에 결합돌기(47)를 형성하면, 결합돌기(47)가 결합구멍(39)으로 삽입될 때에 탄성편(46)이 지름이 적어지는 안쪽으로 굽혀지므로 자연스럽게 삽입이 이루어진다.
또 펀넬(2)의 넥크부(4)에 삽입되는 상기한 제1몸체(30)의 윈통부(34) 안쪽면과 제2몸체(40)의 고정부(42) 안쪽면이 동일한 안지름으로 형성되므로, 상기한 탄성편(46)의 두께를 상기한 제2몸체(40) 고정부(42)의 두께보다 작게 단을 져 형성하고, 상기한 제1몸체(30)의 윈통부(34) 끝부분에는 상기한 탄성편(46)의 두께에 대응하여 큰 안지름으로 삽입단(38)을 형성하고 삽입단(38)에 상기한 결합구멍(39)을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제1몸체(30)의 원통부(34)에 결합구멍(39)을 형성하고 제2몸체(40)의 고정부(42)에 결합돌기(47)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제1몸체(30)의 원통부(34)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제2몸제(40)의 고정부(42)에 결합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제1몸체(30)와 제2몸체(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몸체(30)의 고정부(42) 단부 외측면에 수나사(52)를 형성하고, 제1몸체(30)의 원통부(34) 단부에 상기 수나사(52)가 결합되는 암나사(54)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수나사(52)와 암나사(54)가 형성되는 제2몸체(40)의 고정부(42) 끝부분과 제1몸체(30)의 원통부(34) 끝부분은 소절의 높이로 단을 지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제1몸체(30)의 윈통부(34)에 암나사(54)를 형성하고 제2몸체(40)의 고정부(42)에 수나사(52)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제1몸체(30)의 원통부(34)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한 제2몸체(40)의 고정부(42)에 암나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제1몸체(30)와 제2몸체(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몸체(30)의 고정부(42) 단부 외측면에 원둘레를 따라 형성하는 결합돌기(57)와, 제1몸체(30)의 원통부(34) 단부 내측면에 원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한 결합돌기(57)가 삽입되는 결합홈(5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결합돌기(57)와 결합홈(59)이 형성되는 제2몸체(40)의 고정부(42) 끝부분과 제1몸체(30)의 원통부(34) 끝부분은 소정의 높이로 삽입단(56), (58)을 형성한다.
상기에서는 제1몸체(30)의 원통부(34)에 결합홈(59)을 형성하고 제2몸체(40)의 고정부(42)에 결합돌기(57)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제1몸체(30)의 윈통부(34)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제2몸체(40)의 고정부(42)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제1몸체와 제2몸체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하고, 제2몸체의 후방 플랜지부 전방에 포커스자석과 비알자석을 조립하므로써, 포커스자석과 비알자석 등의 자계 보정 부품과 씨피엠간의 자계가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포커스 자석 및 비알자석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Claims (4)

  1. 펀넬의 콘부에 조립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연결 형성되고 펀넬의 넥크부에 조립되는 윈통부로 이루어지는 제1몸체와, 상기 넥크부의 단부에 조립되는 씨피엠(CPM: Convergence Purity Magnet)의 전방으로 상기한 제1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펀넬의 넥크부에 조립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몸체에는 포커스자석(focus magnet)과 비알자석(BR magnet) 등의 자계 보정 부품이 조립되는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는 이 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방 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커스자석과 비알자석은 상기 후방 플랜지부의 전방에 조립되는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후단부 내측면과 제2몸체의 전단부 외측면에 각각 단을 형성하고, 단을 형성한 상기한 제2몸체의 전단부에는 원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하여 복수의 탄성편을 형성하며, 상기 탄성편의 바깥쪽 면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단을 형성한 상기한 제1몸체의 후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을 형성하는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후단부 내측면과 제2몸체의 전단부 외측면에 각각 단을 형성하고, 단을 형성한 상기 제2몸체의 전단부에는 수나사를 형성하며, 단을 형성한 상기 제1몸체의 후단부에는 상기 수나사가 결합되는 암나사를 형성하는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몸체의 후단부 내측면과 제2몸체의 전단부 외측면에 각각 단을 형성하고, 단을 형성한 상기 제2몸체의 전단부에는 원둘레를 따라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단을 형성한 상기 제1몸체의 후단부에는 원둘레를 따라 상기한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KR2019980019079U 1998-10-02 1998-10-02 편향요크용세퍼레이터 KR200232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079U KR200232062Y1 (ko) 1998-10-02 1998-10-02 편향요크용세퍼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079U KR200232062Y1 (ko) 1998-10-02 1998-10-02 편향요크용세퍼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38U KR20000007638U (ko) 2000-05-06
KR200232062Y1 true KR200232062Y1 (ko) 2001-10-25

Family

ID=6970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079U KR200232062Y1 (ko) 1998-10-02 1998-10-02 편향요크용세퍼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0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38U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2062Y1 (ko) 편향요크용세퍼레이터
KR100422051B1 (ko) 편향 요크
GB2306767A (en) Ferrite core for a cathode ray tube deflection yoke
JP3939925B2 (ja) 偏向ヨーク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30976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200258837Y1 (ko) 편향요크의수직편향코일
KR100451945B1 (ko) 편향요크
KR200153619Y1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고정장치
KR100396499B1 (ko) 편향요크
KR100301163B1 (ko) 편향요크용센터지그
KR200258820Y1 (ko) 편향요크의코일세퍼레이터구조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9980051482A (ko) 편향요크
KR20000007637U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KR100364412B1 (ko) 편향요크
KR19980011419U (ko) 편향 요크용 세퍼레이터
KR200152062Y1 (ko) 세퍼레이터
KR100556705B1 (ko)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KR200144628Y1 (ko)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의 페라이트 코아 조립구조
KR100331057B1 (ko) 보조 코일을 갖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및 그 보조 코일의제작방법
JP2546986Y2 (ja) 偏向ヨーク
KR20000003445U (ko) 코일 세퍼레이터 및 페라이트 코어의 고정 구조
KR20000003446U (ko) 코일 세퍼레이터 및 페라이트 코어의 고정 구조
KR20020049517A (ko) 편향요크
KR20010094159A (ko)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를 갖는 편향 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