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705B1 -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705B1
KR100556705B1 KR1019990024197A KR19990024197A KR100556705B1 KR 100556705 B1 KR100556705 B1 KR 100556705B1 KR 1019990024197 A KR1019990024197 A KR 1019990024197A KR 19990024197 A KR19990024197 A KR 19990024197A KR 100556705 B1 KR100556705 B1 KR 10055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field pattern
deflection yoke
deflection coil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765A (ko
Inventor
양태종
Original Assignee
파츠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츠닉(주) filed Critical 파츠닉(주)
Priority to KR101999002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70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01J29/762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using saddle coils or 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36Joining connectors to internal electrode system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에 관한 것으로, 플랜지부(130) 및 후판부(120)에 러버 마그네트(101∼106)를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하여 자계패턴을 보정함으로써, 세퍼레이터에 별도의 고정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금형이 단순화되며, 이미 조립된 페라이트 코어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 작업상의 편리성이 제고되고, 전자빔의 랜딩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며, 고주파에서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An implement for correcting magnetic field pattern of deflection yok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계패턴 보정구가 설치된 편향요크를 부분 분해한 사시도.
도 1b는 후판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페라이트 코어 2 : 수직 편향코일
3 : 세퍼레이터 101∼106 : 러버 마그네트
110 : 몸체부 120 : 후판부
130 : 플렌지부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부 및 후판부에 러버(rubber) 마그네트를 부착시켜 편향요크의 자계패턴을 보정하여 제조 오차에 기인하는 스크린 코너측의 색번짐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현재 영상표시장치로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음극선관(CRT)에는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전자빔을 스크린의 전영역에 광각으로 편향시켜 주기 위하여 네크부에 편향요크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편향요크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켜주는 수평 편향코일과,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주는 수직 편향코일과, 두 편향코일에서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 효율을 높이는 원추형 페라이트 코어와, 두 편향코일과 페라이트 코어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며 두 편향코일 사이를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로 구성된다.
수평 편향코일에는 15.75㎑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가 흐르며, 이로서 발생된 자계는 음극선관 내부의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수직 편향코일에는 60㎐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가 흐르며, 이로서 발생된 자계는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그리고,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의 권선 분포를 조정하여 각 부위별(개구부, 중간부, 넥크부)로 배럴 또는 핀-쿠션형 자계로 만들며, 이로서 복수의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편향력을 경험하여 전자빔의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인 스크린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지점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편향코일에 의한 자계만으로는 전자빔을 스크린의 전면에 편향시키기 어려워 고 투자율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하여 자계의 귀환경로 상에서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을 높여 자기력을 증대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편향요크는 두 편향코일의 형상 및 틸트(tilt)에 따라 그 자계패턴이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여 컨버젼스 특성이 좌우되며, 간헐적으로 제조 오차에 의해 편향각도가 어긋나 전자빔의 미스컨버젼스가 발생된다. 이는 화면이 대형화, 평면화, 고정세화되어 갈수록 더욱 심화된다.
따라서, 마그네트 및 퍼멀로이(permalloy)를 세퍼레이터에 장착시켜 편향코일의 자계패턴을 보정하며, 이러한 기술들은 다각도로 개발되어 실용화 또는 공지된 상태이고, 이를 위해 세퍼레이터의 설계 시에는 마그네트 또는 퍼멀로이를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홈 등이 포함된다.
특히, 편향요크의 제조 오차에 기인하여 스크린의 코너측에서 색번짐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의하면, 세퍼레이터 몸체부의 외주연 일측에 형성시킨 고정홈에 철편형 마그네트를 장착하여 자계패턴을 보정함으로써 PQV 특성을 보정하였다.
그러나, 세퍼레이터의 몸체부에 마그네트를 부착함에 따라 이미 조립된 페라이트 코어를 분리한 후에 재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철편형으로 부착함에 따라 전자빔의 랜딩(landing) 특성에 심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고주파에서 떨림 현상으로 소음이 발생되었고, 고정홈이 형성되어야만 하므로 세퍼레이터의 금형이 복잡하여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한 것으로서, 플랜지부 및 후판부에 러버 마그네트를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하여 편향요크의 자계패턴을 보정함으로써,
페라이트 코어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자계패턴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전자빔의 랜딩 특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PQV 특성이 보정되게 하고, 고주파에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며, 세퍼레이터에 별도의 고정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는, 대략 안장형으로 권회된 수평 편향코일이 내주연에 설치되며 수직 편향코일이 외주연에 설치되는 대략 나팔 형상의 몸체부를 가지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후단이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결합 되며 상기 수평 편향코일의 일부분이 내재된 상태에서 그 양단의 소정 길이가 외주연에 권회되는 후판부의 후면에 네 개의 러버 마그네트가 수평축 및 수직축을 기준하여 대향하게 부착되며;
상기 몸체부의 선단 주연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음극선관의 펀널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부의 후면에 두 개의 러버 마그네트가 중심축을 기준하여 대향하게 부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계패턴 보정구가 설치된 편향요크를 부분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후판부의 평면도이다. 도면에는 세미-트로이탈형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새들-새들형에도 적용 가능하다.
몸체부(110)는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나팔형이며, 대략 안장형으로 권회된 수평 편향코일(도시 생략됨)이 내주연에 설치되고, 페라이트 코어(1)에 권회된 수직 편향코일(2)이 외주연에 설치된다.
후판부(120)는 몸체부(110)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후단이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조임 결합되고, 수평 편향코일의 일부분이 내재된 상태에서 그 양단의 소정 길이가 외주연에 권회되며, 그 후면에 네 개의 러버 마그네트(101∼104)가 수평축(H) 및 수직축(V)을 기준하여 서로 다른 극성이 대향하도록 테이프 또는 접착 제가 이용되어 부착된다.
플랜지부(130)는 몸체부(110)의 선단 주연에 일체로 형성되어 음극선관의 펀널에 밀착 고정되며, 그 후면에 두 개의 러버 마그네트(105,106)가 중심축(C)을 기준하여 대향하도록 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이용되어 부착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은 수평 편향코일과 수직 편향코일(2)를 정해진 위
치에 고정하는 세퍼레이터로서, 실제적으로 세퍼레이터(3)의 형상에 의해 몸체부 (110)와 후판부(120) 및 플랜지부(130)로 나뉘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자계패턴 보정구(101∼106)가 설치된 편향요크는,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2)의 권선 분포에 의해 배럴 또는 핀-쿠션형의 자계가 형성된다.
아울러, 후판부(120)의 후면에 부착된 러버 마그네트(101∼104) 및 플랜지부(130)의 후면에 부착된 러버 마그네트(105,106)에 의해서도 자계가 형성되며, 여기서 형성된 자계는 제조 오차에 기인하여 스크린의 코너측에서 색번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럴 또는 핀-쿠션형 자계의 패턴을 보정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전자빔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편향력을 경험하여 전자빔의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인 스크린까지의 각각 다른 거리에서 동일한 지점에 모아진다.
이와 같이 러버 마그네트(101∼106)가 후판부(120)의 후면 및 플랜지부(130)의 후면에 부착되면 이미 조립된 페라이트 코어(1)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면 세퍼레이터(3)에 별도의 고정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그리고, 러버 재질이므로 전자빔의 랜딩 특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고 PQV 특성만을 보정하며, 고주파에서도 떨림 현상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에 별도의 고정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금형이 단순화되며, 이미 조립된 페라이트 코어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 작업상의 편리성이 제고되고, 전자빔의 랜딩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며, 고주파에서 소음의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대략 안장형으로 권회된 수평 편향코일이 내주연에 설치되며 수직 편향코일이 외주연에 설치되는 대략 나팔 형상의 몸체부를 가지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후단이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 편향코일의 일부분이 내재된 상태에서 그 양단의 소정 길이가 외주연에 권회되는 후판부의 후면에 네 개의 러버 마그네트가 수평축 및 수직축을 기준하여 대향하게 부착되며;
    상기 몸체부의 선단 주연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음극선관의 펀널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부의 후면에 두 개의 러버 마그네트가 중심축을 기준하여 대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마그네트는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러버 마그네트는 상기 수평축 및 수직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극성이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KR1019990024197A 1999-06-25 1999-06-25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KR10055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97A KR100556705B1 (ko) 1999-06-25 1999-06-25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197A KR100556705B1 (ko) 1999-06-25 1999-06-25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65A KR20010003765A (ko) 2001-01-15
KR100556705B1 true KR100556705B1 (ko) 2006-03-10

Family

ID=1959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197A KR100556705B1 (ko) 1999-06-25 1999-06-25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7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301A (ja) * 1993-11-05 1995-05-19 Totoku Electric Co Ltd 偏向ヨーク
KR960038682U (ko) * 1995-05-31 1996-12-18 고정구를 구비하는 편향요크의 보빈
JPH10241603A (ja) * 1997-02-28 1998-09-11 Nec Home Electron Ltd コンバージェンス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301A (ja) * 1993-11-05 1995-05-19 Totoku Electric Co Ltd 偏向ヨーク
KR960038682U (ko) * 1995-05-31 1996-12-18 고정구를 구비하는 편향요크의 보빈
JPH10241603A (ja) * 1997-02-28 1998-09-11 Nec Home Electron Ltd コンバージェンス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65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268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KR100556705B1 (ko) 편향요크의 자계패턴 보정구
KR0179111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JPS5933153Y2 (ja) 偏向ヨ−ク
KR100446228B1 (ko) 음극선관용 펀넬
KR200147265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289358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KR100196645B1 (ko) 브라운관의 미스컨버어젼스 보정 방법
KR100422051B1 (ko) 편향 요크
JP2574392B2 (ja) 偏向ヨーク
KR200152062Y1 (ko) 세퍼레이터
KR200202669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100731625B1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KR940004072Y1 (ko)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현상 보정장치
KR19980051482A (ko) 편향요크
JPH0275135A (ja) ビームスポット補正装置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930000785Y1 (ko) 편향요오크
JPS6318836B2 (ko)
KR200144628Y1 (ko)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의 페라이트 코아 조립구조
KR0137178Y1 (ko) 편향요크의 빔 로테이션 수정장치
KR200144665Y1 (ko)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 구조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693828B1 (ko) 편향요크
KR19980011419U (ko) 편향 요크용 세퍼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