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000Y1 -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2000Y1 KR200232000Y1 KR2020010005408U KR20010005408U KR200232000Y1 KR 200232000 Y1 KR200232000 Y1 KR 200232000Y1 KR 2020010005408 U KR2020010005408 U KR 2020010005408U KR 20010005408 U KR20010005408 U KR 20010005408U KR 200232000 Y1 KR200232000 Y1 KR 2002320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lock
- digital
- lock box
- door
- drive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구조가 복잡하고 관련 부품수가 많아 제작원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의 어려움은 물론 작업의 비효율성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지털과 수동모드의 선택없이 겸용으로 사용되므로 장기간 외출시 도난의 위험소지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디지털 전용으로 사용시에는 디지털 조작의 부담을 갖는 노인이나 어린이들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수의 기어전동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수동조작에 의한 작동이 부드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열쇠뭉치(1)와 도어록박스(2)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록박스(2)는 배면측 레버의 회전조작으로 내부의 슬라이드편(22) 및 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로킹봉(220)을 상.하로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열쇠뭉치(1)의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삽입공(31)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다수의 터치버튼(32)이 형성된 키패드부(3)와; 상기 열쇠뭉치(1)의 키이조작 및 도어록박스(2) 배면 레버 조작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21)과 연동되며, 일측으로 저면부 및 이의 상면에 상기 슬라이드편(22)의 수직로킹봉(220) 타측부 중간에 상.하 대칭 경사면으로 형성된 작동홈(41) 사이에 위치되는 원동돌기(42A) 및 피동돌기(42B)가 형성된 돌출부(42)를 갖는 회전작동체(4)와; 상기 회전작동체(4)의 피동돌기(42B) 상에 위치되고, 도어록박스(2)의 덮개판(25)에 구비된 모터(51)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수직선 상의 나선축(52)를 따라 나선이동하면서 상기 피동돌기(42B) 및 회전작동체(4)를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시키고, 내부에는 피동돌기(42B)의 회전범위에 상응하는 작동공간부(53)가 형성된 캐리어(5)로 구성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를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조립작업의 간편성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수동조작과 디지털조작의 모드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디지털조작에 부담을 갖는 노인이나 어린이들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장기간 외출시 도난의 위험소지를 최소화하는데 있으며, 시각장애인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열쇠를 소지하지 않고서도 손가락의 터치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이 부드러우면서도 구조가 간단해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디지털전용모드 사용시에는 수동조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겸용모드절환에 의해서만 수동과 디지털조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여 디지털모드 사용이 어려운 노인이나 어린이 등의 열쇠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개폐는 열쇠를 이용한 수동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이는 열쇠의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소지가 다분하여 근래에는 열쇠없이 손가락의 터치만으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이 점점 적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키패드부와 내측면에 설치되는 도어록박스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키패드에서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숫자나 기호를 눌러 이의 신호로써 도어록박스를 작동시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다수의 기어전동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납땜에 의한 다수의 선 연결 및 컨넥터, 여러개의 감지센서등과 같은 관련 전장부속품이 많아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인해 제조원가의 상승은 물론 조립작업의 어려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며, 또한 이는 작업의 비효율성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부피가 크고, 구조의 큰 차이로 기존 도어록과의 호환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함께 디지털과 수동모드의 선택없이 겸해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디지털 고장시 수동조작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함으로써 장기간 외출시 수동조작에 의한 도난의 위험소지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지털 전용으로 사용시에는 디지털 조작에 부담을 갖는 노인이나 어린이들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의 불편성을 초래함은 물론 키패드에 해당 숫자 및 문자에 상응하는 점자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시각장애인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어 내부에서 수동조작시 다수의 기어가 연동되면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이의 작동이 부드럽지 못해 조작의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원가를 절감하면서 수동조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조립작업의 간편성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동겸용조작과 디지털전용조작의 모드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디지털조작에 부담을 갖는 노인이나 어린이들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장기간 외출시 도난의 위험소지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시각장애인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쇠뭉치와 도어록박스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록박스는 배면측 레버의 회전조작으로 내부의 슬라이드편 및 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로킹봉을 상.하로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열쇠뭉치의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다수의 터치버튼이 형성된 키패드부와; 상기 열쇠뭉치의 키이조작 및 도어록박스 배면 레버 조작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과 연동되며, 일측으로 저면부 및 이의 상면에 상기 슬라이드편의 수직로킹봉 타측부 중간에 상.하 대칭 경사면으로 형성된 작동홈 사이에 위치되는 원동돌기 및 피동돌기가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회전작동체와; 상기 회전작동체의 피동돌기 상에 위치되고, 도어록박스의 덮개판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수직선 상의 나선축를 따라 나선이동하면서 상기 피동돌기 및 회전작동체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시키고, 내부에는 피동돌기의 회전범위에 상응하는 작동공간부가 형성된 캐리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도어록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덮개판에 슬라이드편의 열림 및 닫힘위치, 캐리어의 중간위치를 감지하는 제1,2,3위치감지센서 및 모드절환스위치와, 도어박스의 배면 세팅버튼에 의해서 작동되는 개폐변환스위치가 장착되고 회로구성을 위한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며, 밧데리장착부가 사출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부의 터치버튼에 해당번호를 표시하는 점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a,도 3b는 본 고안의 덮개부 배면을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배면도.
도 3b는 캐리어의 사시도.
도 4a,도 4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열림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b는 닫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동모드시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슬라이드편의 열림 및 닫힘위치 감지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수동겸용모드 상태를 보인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고안의 디지털전용모드 상태를 보인 제어 흐름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열쇠뭉치
2:도어록박스
21:회전축
22:슬라이드편
220:수직로킹봉 221,221A:접촉돌부
23:안내레일 24:안내돌기
25:덮개판
251:인쇄회로기판 251A,B,C:제1,2,3위치감지센서
251D:접촉돌편 251E:모드절환스위치
251F:개폐변환스위치 252:밧데리장착부
3:키패드부
31:삽입공 32:터치버튼
4:회전작동체
41:작동홈 42:돌출부
42A:원동돌기 42B:피동돌기
43:스프링 44,44A:상.하스토퍼
5:캐리어
51:모터 52:나선축
53:작동공간부 54:너트
55:접촉돌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도어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10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열쇠뭉치(1)와, 도어(10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도어록박스(2)로 구성되고, 상기 열쇠뭉치(1)의 외측에는 키패드부(3)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측에 키패드부(3)가 구비된 열쇠뭉치(1)와 도어록박스(2)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록박스(2)의 전면부는 덮개판(25)으로 복개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판(25)의 상단부에는 밧데리장착부(252)가 사출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전원공급으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5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부(3)는 열쇠뭉치(1)의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삽입공(31)이 형성된 원형의 패널로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문자 및 숫자, 기호가 표시된 다수의 터치버튼(3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터치버튼(32)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해당숫자 및 문자, 기호에 상응하는 점자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록박스(2) 내부에는 통상의 도어록과 같이 도어록박스(2)의 배면측 레버(미도시됨)의 회전조작으로 상.하로 슬라이드되면서 일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수직로킹봉(220)의 상.하 개폐동작을 일으키는 슬라이드편(22)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편(22)의 타측부는 도어록박스(2)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레일(23)에 슬라이드편(22)에 형성된 안내돌기(24)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편(22)이 안내레일(23)을 따라 상.하이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레버(미도시됨)의 회전조작을 슬라이드편(22)을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편(22)의 타측부 중간에 상.하로 대칭되게 경사면을 이루는 'V'자형의 작동홈(41)이 형성되고, 이의 일측 회전축(21) 상에는 상기 회전축(21)과 함께 작동홈(41)을 따라 회전운동하면서 슬라이드편(22)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회전작동체(4)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작동체(4)의 일측에는 돌출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2)의 저면부에는 슬라이드편(22)의 작동홈(41) 사이에 위치되는 원동돌기(미도시됨)가 하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상면에는 피동돌기(42B)가 상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21)은 도어록박스(2)의 배면측 레버(미도시됨)와 연동되는 축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3은, 회전작동체(4)의 회전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고, 44,44A는 상기 회전작동체(4)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상.하스토퍼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덮개판 배면을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덮개판(25)은 상부측의 밧데리장착부(252) 및 관련 조립공 및 구조가 사출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고, 이의 하부측에 전원공급에 의해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5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터(51)와 밧데리장착부(252) 사이에 모터(51)의 회전축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밧데리장착부(25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직방향의 나선축(52)이 구비되고, 상기 나선축(52) 상에는 모터(51)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나선축(52)을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나선이동하면서 회전작동체(4)의 피동돌기(42B)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캐리어(5)가 나선결합된다.
상기 캐리어(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몸체로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회전작동체(4)의 피동돌기(42B)가 삽입되고 상기 피동돌기(42B)의 회전범위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작동공간부(53)가 형성되며, 이의 후방측에는 나선축(52)에 나선결합된 너트(54)가 고정되어 상기 너트(54)와 나선축(52)의 나선이동에 의해서 상기 나선축(52)을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5)의 일측부에는 패턴으로 형성되고, 관련 전장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251)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51)에는 상기 슬라이드편(22)의 상.하 위치, 즉 도어의 열림위치 및 닫힘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제1,2위치감지센서(251A)(251B)와, 캐리어(5)의 중간위치를 감지하는 제3위치감지센서(251C)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 캐리어(5)의 일측부에는 접촉돌부(55)가 형성되고, 제1,2,3위치감지센서(251A)(251B)(251C)에는 접점돌편(251D)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2,3위치감지센서(251A)(251B)(251C)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접촉에 의하지 않고 근접센서와 같이 광감지 등에 의해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1) 상에는 도어록의 디지털전용모드와 수동겸용모드를 절환시킬 수 있도록 한 모드절환스위치(251E)가 장착되는 것으로, 디지털모드시에는 열쇠뭉치(미도시됨)에 의한 키이조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고, 이는 후술되는 것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51) 상에는 슬라이드편(22)의 열림 및 닫힘 위치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한 개폐변환스위치(251F)가 장착되고, 상기 개폐변환스위치(251F)는 도어록박스(미도시됨)의 배면측에 형성된 세팅버튼(미도시됨)에 의해서 온/오프 작동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열림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을 위해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키패드(미도시됨)의 터치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의 신호에 따른 동작명령으로 모터(51)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의 전원공급으로 상기 모터(51)는 열림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모터(51)에 연결된 나선축(52)이 화살표와 같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나선축(52)에 나선결합되고 캐리어(5)에 고정된 너트(54)가 나선축(52)을 따라 열림방향, 즉 상부측으로 나선이동하면서 작동공간부(53) 내부에 위치된 회전작동체(4)의 피동돌기(42B)를 상부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작동체(4)의 피동돌기(42B)는 회전작동체(4)의 돌출부(42) 저면부에 형성된 원동돌기(42A)를 슬라이드편(22)의 작동홈(41)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드편(22)을 안내레일(23)을 따라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의 이동으로 슬라이드편(22)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로킹봉(220)도 함께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도어의 열림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 위치는 열림위치를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센서(미도시됨)에 의해서 감지되어 모터(51)는 정지되고, 상부스토퍼(44)에 의해서 회전의 제한을 받게 된다.
도 4b는 본 고안의 닫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고, 임의로 키패드부(미도시됨)의 터치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의 신호에 따른 동작명령으로 모터(51) 및 나선축(52)이 화살표와 같이 역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5)에 고정된 너트(54)가 나선축(5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하부측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작동체(4)의 돌출부(42)에 형성된 피동돌기(42B) 및 원동돌기(42A)도 함께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한 회전작동체(4)와 함께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원동돌기(42A)는 슬라이드편(22)의 작동홈(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편(22)을 하부측, 즉 닫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편(22)의 일측에 형성된 수직로킹봉(220)이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문틀의 고정쇠(미도시됨)에 물림 고정됨으로써 도어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수동겸용모드 상태에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51)에 장착된 모드절환스위치(251E)를 수동겸용모드로 절환시키게 되면, 이의 신호에 따른 동작명령으로 캐리어(5)가 열림 및 닫힘의 중간위치로 이동된다. 이렇게 상기 캐리어(5)가 중간위치로 세팅되면, 회전작동체(4)의 피동돌기(42B)가 작동공간부(53) 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도어록박스의 배면측 레버의 회전조작 및 키이조작에 의한 도어의 개폐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전용모드시에는 캐리어(5)가 상시 닫힘위치, 즉 회전작동체(4)의 피동돌기(42B)가 캐리어(5)의 상단부에 접촉되어 회전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수동조작 및 키이조작에 의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슬라이드편의 열림 및 닫힘위치 감지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열림 및 닫힘 위치의 감지는 슬라이드편(22)의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편(22)의 접촉돌부(221)(221A)의 제1위치감지센서(251A) 및 제2위치감지센서(251B)의 접촉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수동겸용모드 상태를 보인 제어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디지털전용모드 상태를 보인 제어 흐름도로서, 이의 작동 흐름은 전술한 작동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연결선에 의한 납땜 공정을 최소화하기 위한 패턴 형태의 인쇄회로기판 사용과 함께 사출성형에 의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덮개판 상에 밧데리장착부와 관련 구조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원가 절감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의 간편성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도어록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호환성이 좋고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디지털전용모드와 수동겸용모드를 모드절환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장기간 외출시 디지털전용모드 상에서는 수동조작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함으로써 키이조작에 의한 도난의 위험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디지털조작에 부담을 갖는 노인이나 어린이들의 사용시에는 수동겸용모드변환으로 기존의 도어록과 같이 키이조작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함께 키패드부의 터치버튼에 각각 해당숫자 및 문자, 기호에 상응하는 점자가 형성되어 있어 시각장애인들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어 내부에서의 수동조작시 기존에서와 같은 기어 전동없이 단순 회전작동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조작 및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열쇠뭉치(1)와 도어록박스(2)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록박스(2)는 배면측 레버의 회전조작으로 내부의 슬라이드편(22) 및 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로킹봉(220)을 상.하로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상기 열쇠뭉치(1)의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삽입공(31)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다수의 터치버튼(32)이 형성된 키패드부(3)와;상기 열쇠뭉치(1)의 키이조작 및 도어록박스(2) 배면 레버 조작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축(21)과 연동되며, 일측으로 저면부 및 이의 상면에 상기 슬라이드편(22)의 수직로킹봉(220) 타측부 중간에 상.하 대칭 경사면으로 형성된 작동홈(41) 사이에 위치되는 원동돌기(42A) 및 피동돌기(42B)가 형성된 돌출부(42)를 갖는 회전작동체(4)와;상기 회전작동체(4)의 피동돌기(42B) 상에 위치되고, 도어록박스(2)의 덮개판(25)에 구비된 모터(51)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수직선 상의 나선축(52)를 따라 나선이동하면서 상기 피동돌기(42B) 및 회전작동체(4)를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시키고, 내부에는 피동돌기(42B)의 회전범위에 상응하는 작동공간부(53)가 형성된 캐리어(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도어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25)에 슬라이드편(22)의 열림 및 닫힘위치와 캐리어(5)의 중간위치를 감지하는 제1,2,3위치감지센서(251A)(251B)(251C) 및 모드절환스위치(251E)와, 도어록박스(2)의 배면 세팅버튼에 의해서 작동되는 개폐변환스위치(251F)가 장착되고 회로구성을 위한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51)이 장착되며, 밧데리장착부(252)가 사출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도어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3)의 터치버튼(32)에 해당번호를 표시하는 점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도어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5408U KR200232000Y1 (ko) | 2001-02-28 | 2001-02-28 | 디지털 도어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5408U KR200232000Y1 (ko) | 2001-02-28 | 2001-02-28 | 디지털 도어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2000Y1 true KR200232000Y1 (ko) | 2001-07-19 |
Family
ID=7306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5408U KR200232000Y1 (ko) | 2001-02-28 | 2001-02-28 | 디지털 도어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2000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0206B1 (ko) * | 2001-11-15 | 2004-07-14 | 주식회사 뉴웰 | 디지탈 도어록의 비접촉 감지장치 |
KR101304896B1 (ko) | 2013-02-15 | 2013-09-06 | 주식회사건가드금고제작 | 금고용 통합 조립형 전자식 도어락 장치 |
KR20230082909A (ko) * | 2021-12-02 | 2023-06-0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
-
2001
- 2001-02-28 KR KR2020010005408U patent/KR20023200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0206B1 (ko) * | 2001-11-15 | 2004-07-14 | 주식회사 뉴웰 | 디지탈 도어록의 비접촉 감지장치 |
KR101304896B1 (ko) | 2013-02-15 | 2013-09-06 | 주식회사건가드금고제작 | 금고용 통합 조립형 전자식 도어락 장치 |
KR20230082909A (ko) * | 2021-12-02 | 2023-06-0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
KR102592285B1 (ko) * | 2021-12-02 | 2023-10-2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도어락 및 그의 구동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70423B2 (en) | Electro-mechanical lock structure | |
US20090211320A1 (en) | Electro-mechanical lock structure | |
KR100392822B1 (ko) | 복합 조작스위치 | |
CN100511542C (zh) | 车载用按钮开关装置 | |
CN108257799A (zh) | 电子开关 | |
KR200232000Y1 (ko) | 디지털 도어록 | |
CN215899957U (zh) | 一种口腔护理装置 | |
US20030071470A1 (en) | Horizontal motor-driven lock | |
KR19980011998U (ko) | 이중 스위치 노브 | |
CN212625228U (zh) | 具有按钮的后装智能开关 | |
JPH1153987A (ja) | スライドスイッチ | |
CN210156293U (zh) | 一种开关装置以及一种电器装置 | |
JPH08190836A (ja) | 複合操作型電気部品 | |
JP3498029B2 (ja) | スライドスイッチカバー | |
WO1995015000A1 (en) |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 |
JP4215340B2 (ja) | 押ボタンスイッチ | |
JP4185576B2 (ja) | スイッチ装置 | |
CN217114197U (zh) | 一种多向拨动机构、旋钮及旋钮开关 | |
CN214705774U (zh) | 车辆旋钮开关 | |
KR900007016Y1 (ko) | Tv 세트의 드럼회전식 채널선택 장치 | |
JPH10266663A (ja) |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 |
KR101721578B1 (ko) | 복합조작 구조를 가지는 리모트 스위치 | |
KR100747860B1 (ko) | 엔코더 스위치와 택트 스위치를 갖는 다방향 키 어셈블리 | |
KR100521984B1 (ko) |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 |
KR200327476Y1 (ko) | 도어록킹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705 Effective date: 2005072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