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893Y1 -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893Y1
KR200231893Y1 KR2020000035315U KR20000035315U KR200231893Y1 KR 200231893 Y1 KR200231893 Y1 KR 200231893Y1 KR 2020000035315 U KR2020000035315 U KR 2020000035315U KR 20000035315 U KR20000035315 U KR 20000035315U KR 200231893 Y1 KR200231893 Y1 KR 200231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water
fire extinguishing
coke dry
dry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경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89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로 부터 화성탈류 보일러에 연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 배출수와 같은 양질의 수질로 화성 탈류회수설비의 보일러 연수를 대체하여 튜브 및 드럼내의 부식 및 스케일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의 후방측 스팀드럼에 연이어서 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순수탱크와 탈기기사이의 배관에 배관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 배출수로부터 열량을 회수하여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로 공급되는 순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의 후방측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배출수 저장탱크를 통하여 화성 탈류설비의 급수탱크로 연결되어짐으로서 보일러 배출수와 같은 양질의 수질로 탈류회수설비의 보일러 연수를 대체하여 튜브 및 드럼내의 부식 및 스케일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ING WATER INTO CDQ BOILER}
본 고안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로 부터 화성탈류 보일러에 연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 배출수와 같은 양질의 수질로 화성 탈류회수설비의 보일러 연수를 대체하여 튜브 및 드럼내의 부식 및 스케일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는 보일러에 순수를 공급하여 고압의 스팀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터빈 발전기에서 전력을 발생시키며, 저압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설비이다. 그리고,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는 보일러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일러 관수를 일정량 배출시키고 있다.
도 1은 화성 유황회수설비를 도시한 공정도로서, 여기서 사용되는 보일러 공급수는 정수를 이용하여 연수를 생산하고, 그 연수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활성탄 흡착설비에서 유기물의 제거후, 양이온탑에서 이온교환수지에 의해 정수중의 Ca,Mg 와 같은 양이온 물질을 제거하며, 연수를 생산하여 화성보일러에 공급한다.
즉, 정수는 활성탄 흡착탑(100)을 거쳐 양이온탑(110)으로 공급되고, 탈기탑(120)을 거친 다음, 음이온탑(130)을 통과하며, 혼상탑(140)을 거쳐서 순수탱크(150)로 유입된다. 그리고 펌프(152)를 통하여 탈기기(160)로 유입된 다음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17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양이온탑(110)을 통과한 연수는 연수탱크(190)에 저장되고, 급수탱크(200)를 통과한 다음 화성 탈류보일러(210)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연수는 정수중에 양이온 물질은 제거되었으나, 음이온 물질은 잔류하여 화성보일러(210)에 공급되므로, 제 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시간 연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하면, 잔류 고형물(214)이 화성 탈류 보일러(210)의 튜브(212)에 잔류하여 고착됨으로서 공급수의 순환을 차단하고, 그에 따라서, 보일러 튜브(212)의 압착과 균열을 초래하는 것이다.
화성 보일러의 슬러지 및 스케일의 성분은 도 2에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이 Si,Mg,Ca,PO4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는 고압 스팀이 발생되면서, 이물질이 농축되어 고형화된 것이다.
그러나, 순수를 사용하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170)는 정수중에 양이온과 음이온을 완전히 제거한 후, 순수한 물만을 공급하여 스팀을 생산하기 때문에 배관내에 슬러지 및 스케일의 성분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고, 이러한 보일러(170)를 통하여 배출된 보일러 배출수는 스팀 드럼(180)에서 일정한 배출수가 연속 배출된다.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보일러 배출수와 화성 탈류회수설비의 보일러 공급수와의 수질을 비교하여 보면 도 2의 표 2와 같다.
따라서, 종래의 화성보일러(210)는 연수중의 잔류 고형물이 화성 탈류 보일러(210)의 튜브(212)에 잔류하여 고착됨으로서 공급수의 순환을 차단하고, 그에 따라서, 보일러 튜브(212)의 압착과 균열을 초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크스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 배출수로부터 열량을 회수하여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로 공급되는 순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보일러 배출수와 같은 양질의 수질로 탈류회수설비의 보일러 연수를 대체하여 튜브 및 드럼내의 부식 및 스케일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보일러 공급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화성 탈류 보일러 손상요인 및 스케일 성분분석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보일러 공정을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화성탈류공정을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를 도시한 공정도;
도 6은 본 고안의 시스템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열교환기 16..... 배관
20..... 배출수 저장탱크 22..... 펌프
100.... 활성탄 흡착탑 110.... 양이온탑
130.... 음이온탑 160.... 탈기기
170.... CDQ 보일러 210.... 탈류회수 보일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로 부터 화성탈류 보일러에 연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의 후방측에서 배관으로 부터 배관을 인출하고, 배출수 저장탱크를 통하여 화성 탈류설비의 급수탱크로 연결되어짐으로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 배출수로 탈류회수설비의 보일러 연수를 대체하여 튜브 및 드럼내의 부식 및 스케일발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170)의 후방측 스팀드럼(180)에 연이어서 열교환기(1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로부터 슬러리 탱크(182)로 배출되는 배출수 배관(12)은 배출수 저장탱크(20)와 펌프(22) 및 배관(24)을 통하여 화성 탈류설비의 급수탱크(200)로 연결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0)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순수탱크(150)와 탈기기(160)사이의 배관(154)에 배관(16)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은 종래에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스팀 드럼(180)에서 일정량 연속 배출되는 배출수가 슬러리 탱크(182)로 직접 배출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스팀 드럼(180)과 슬러리 탱크(182)의 사이에 열교환기(10)를 설치하여 이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순수탱크(150)와 탈기기(160)사이의 배관에 연결함으로서 탈기기(160)로 공급되는 연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보일러(170)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0)로부터 슬러리 탱크(180)로 연결되는 배관(184)으로부터 배관(21)을 인출하고, 이를 배출수 저장탱크(20)를 통하여 화성 탈류설비의 급수탱크(200)로 연결함으로서 화성 탈류 설비의 보일러(210)에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보일러 배출수를 공급하게 되어 보일러를 보호하게 된다.
도 6에는 이와 관련된 계통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170)의 후방측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배출수 저장탱크(20)를 통하여 화성 탈류설비의 급수탱크(200)로 연결되어짐을 알 수있다. 이러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170)의 배출수는 종래의 화성탈류설비에서 연수 탱크(190)로부터 공급되는 연수보다 불순물이 현저히 작은 것이기 때문에, 보일러(210) 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과 관련된 배관의 압력 및 유량 온도등의 제어는 컴퓨터(35)를 사용한 당 업계의 통상의 자동제어기술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화성 탈류설비에서 종래의 연수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보일러배출수로 대체함으로서 종래의 연수 제조량이 현저히 감량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생산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170)의 후방측 스팀드럼(180)에 연이어서 열교환기(1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순수탱크(150)와 탈기기(160)사이의 배관(154)에 배관(16)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 배출수로부터 열량을 회수하여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170)로 공급되는 순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170)의 후방측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배출수 저장탱크(20)를 통하여 화성 탈류설비의 급수탱크(200)로 연결되어짐으로서 보일러 배출수와 같은 양질의 수질로 탈류회수설비의 보일러 연수를 대체하여 튜브 및 드럼내의 부식 및 스케일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2)

  1. 코크스 건식소화설비로 부터 화성탈류 보일러에 연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170)의 후방측에서 배관(184)으로 부터 배관(21)을 인출하고, 배출수 저장탱크(20)를 통하여 화성 탈류설비의 급수탱크(200)로 연결되어짐으로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 배출수로 탈류회수설비의 보일러 연수를 대체하여 튜브 및 드럼내의 부식 및 스케일발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보일러(170)에는 후방측 스팀드럼(180)에 연이어서 열교환기(10)가 추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순수탱크(150)와 탈기기(160)사이의 배관(154)에 배관(16)을 통하여 연결됨으로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 배출수로부터 열량을 회수하여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의 보일러(170)로 공급되는 순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
KR2020000035315U 2000-12-16 2000-12-16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 KR200231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315U KR200231893Y1 (ko) 2000-12-16 2000-12-16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315U KR200231893Y1 (ko) 2000-12-16 2000-12-16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893Y1 true KR200231893Y1 (ko) 2001-07-19

Family

ID=7309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315U KR200231893Y1 (ko) 2000-12-16 2000-12-16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8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94555B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high pressure steam from produced water
US89555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oil and generating steam from produced water
CA25026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efficiency evaporation operation
KR102095276B1 (ko) 증기 발전 설비의 공정 폐수 회수 방법
KR200231893Y1 (ko) 화성탈류 보일러의 연수공급장치
WO2014138145A1 (en) Water treatment arrangement for steam-assisted oil production operation
US3298359A (en) Steam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steam
JP4970064B2 (ja) 水処理装置
JP2009162514A (ja) 加圧水型原子力発電所の2次系系統水浄化システム
JP4931107B2 (ja) 電気脱イオン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圧水型原子力発電所の2次系ライン水処理装置
JP2009268999A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5039569B2 (ja) 加圧水型原子力発電所の補給水供給設備
JP7263730B2 (ja) ボイラ水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CN203486931U (zh) 一种煤化工生产污水处理装置
WO2019181253A1 (ja) 純水製造装置
CN1321729A (zh) 碳氢化合物为原料煤气生产装置中的含渣废水热回收方法
US20190160452A1 (en) Low temperature wet air oxidation
CN217584394U (zh) 锅炉排污扩容器节能系统
CN220597136U (zh) 一种蒸汽冷凝水离子交换装置
JP6562105B1 (ja) 純水製造装置
CA3017428C (en) Processes and systems for generating steam from produced water
KR20160047548A (ko) 화력 증기 발전소의 공정 폐수의 재획득을 위한 방법 및 화력 증기 발전소
CN105180663A (zh) 一种双压自除氧煤气化余热回收系统
JPH09122689A (ja) ボイラ給水処理装置
RU2108155C1 (ru) Способ регенерации ионообменных фильт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