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820Y1 - 이형 미장판재 - Google Patents

이형 미장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820Y1
KR200231820Y1 KR2020010003162U KR20010003162U KR200231820Y1 KR 200231820 Y1 KR200231820 Y1 KR 200231820Y1 KR 2020010003162 U KR2020010003162 U KR 2020010003162U KR 20010003162 U KR20010003162 U KR 20010003162U KR 200231820 Y1 KR200231820 Y1 KR 200231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plasterboard
corner
present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보요업
주식회사 한보요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보요업, 주식회사 한보요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보요업
Priority to KR2020010003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820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형 미장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 타일등의 미장판재에 있어서, 판재본체(100)의 외주면(200)이 임의방향 끼워맞춤식 이형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부착되는 다수개의 개체들이 끼워맞춤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재본체(100)는 사방 코너면(210)의 양쪽 기본면(211),(212)이 모서리점을 기준으로 회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방 코너면(210)이 중심점(O)을 기준으로 회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이형 미장판재는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부착 시공하면서 간단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각 판재본체(100)의 사이에 채워지는 몰탈이 요철을 이루면서 채워지므로 부착력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특히, 각 판재본체(100)의 표면이 자연석과 같은 자연물의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미감을 표현할 수 있어 각종 건축물등의 장식미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본 고안의 원리를 응용하여 판재본체의 외주면을 자연물, 동물, 인공물의 형태로 형성하거나 기하학적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디자인이 다양한 여러 가지 형태의 미장판재를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형 미장판재{HETEROMORPHY DECORATIVE BOARD}
본 고안은 이형 미장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배열 부착되는 타일 등의 미장판재 본체의 외주면을 요철면으로 형성하고, 인접한 판재본체을 임의의 어떤 방향으로 맞추어도 요철면이 형합되도록 형성하여 판재본체의 의장미를 향상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형 미장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각종 건축물의 벽면과 바닥면과 같은 대상면에는 외관의 미감을 향상하고 대상면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타일을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타일은 주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이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형이 단순하고 단조로울 뿐 아니라, 이 타일을 부착한 벽면과 바닥면은 직선이 종,횡으로 배열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드러움과 다양함이 결여되고, 외적 미감이 결여되어 건물등의 미적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용자들도 삭막하고 딱딱한 분위기를 느끼게 됨으로써 생활 환경의 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종래에도 타일의 외주면을 요철면으로 형성한 것이 알려지고 있으나, 직선의 조합에 의한 삼각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연미와 부드러움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일의 외주면이 곡면 요철형으로 형성된 것도 알려지고 있으나, 요철면에 방향성이 있어 서로 인접한 타일을 일방향으로 결합하면 요철면이 형합(끼워맞춤)되고, 다른 방향으로 결합하면 형합되지 않기 때문에 타일을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 시공하면서 각 타일들의 설치 방향을 일일이 맞추어 가면서 부착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고, 다양한 형태를 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배열 부착되는 타일 등의 미장판재 본체의 외주면을 요철면으로 형성하고, 인접한 판재본체를 어떤 방향으로 맞추어도 요철면이 형합되도록 형성하여 미장판재의 의장미를 향상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형 미장판재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장판재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미장판재의 사시도.
도 2는 미장판재의 평면도.
도 3은 미장판재의 시공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미장판재의 다른 시공예를 보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장판재의 평면도 및 시공예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외주면
210 : 코너면 211,212 : 기본면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이형 미장판재는 통상 타일 등의 미장판재에 있어서, 본체의 외주면이 끼워맞춤식 이형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부착되는 다수개의 개체들이 임의의 어떤 방향으로 든 끼워맞춤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재본체의 외주면은 사방 코너면의 양쪽 기본면이 모서리점을 기준으로 회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방 코너면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점토와 같은 요업재료로 만든 미장판재에 적용하여 자연석과 같은 미감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재질과 형태는 여러 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의한 내장, 외장, 바닥용 미장판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원재료로서 장석, 도석, 납석, 점토, 백운석, 활석, 규석, 석회석 등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제조공정은 원재료를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볼밀에 투입한 후 잔사율이 일정 수치가 되도록 습식 미분쇄하여 탱크에 저장하는 미분쇄 단계와, 탱크에서 소정시간 저장한 슬립(slip)을 스프레이 드라이어에서 분무시켜 건조하고 사일로에 저장 숙성시키는 분무건조 단계와, 컨베어로 이송한 파우더를 고압 프레스로 성형한 후 수직 드라이어에서 잔류 수분이 설정치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성형 및 건조 단계와, 시유 및 데코레이션(decoration)된 몸체를 스톡 카(stocking car)에 자동 적재시키고 균일한 수분 확산을 위하여 숙성시키는 적재 단계와, 몸체를 롤러 킬른(roller kiln)에서 1190℃의 온도로 40분 정도 소성시켜 제품을 완성시키는 소성 단계와, 선별 및 포장 단계로 행하게 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미장판재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장판재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미장판재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미장판재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미장판재의 시공예를 보인 평면도, 도 4에는 미장판재의 다른 시공예를 보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건물과 같은 건축무의 벽면과 바닥면등에 시공되는 통상 타일 등의 미장판재에 있어서, 상기 미장판재 본체(100)의 외주면(200)이 끼워맞춤식 이형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부착되는 다수개의 개체들이 끼워맞춤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가상 정사각형과, 종횡방향 교차 중심선(L1) 및 대각선 교차 중심선(L2)이 표현되어 있으며,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판재본체(100)는 사방 코너면(210)의 양쪽 기본면(211),(212)이 모서리점을 기준으로 회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사방 코너면(210)이 중심점(O)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나의 코너면(210)은 한쪽 기본면(211)이 모서리점(P1)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90°회전하여 다른쪽 기본면(212)이 되고, 이 양쪽 기본면(211),(212)으로 이루어진 코너면(210)이 일방향으로 90°, 180°, 270°회전하여 사방의 코너면(210)이 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한 미장판재는 판재본체(100)의 표면이 자연석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판재본체(100)의 상측 가장자리면(213)이 자연석의 깨어진 면과 같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외형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미장판재는 도 3과 같이 소정 간격의 줄눈을 두고 배열 시공되거나, 도 4와 같이 줄눈 간격이 없이 서로 밀착된 형태로 시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배열 시공되는 본 고안의 미장판재는도 3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판재본체(100)을 어떤 방향으로 위치를 변화시켜 부착하여도 각 개체를 서로 동일한 형태로 배열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우 간편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장판재의 평면도 및 시공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장판재는 판재본체(100)의 외주면(200)이 상기한 일 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크게 요철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원리를 응용하여 상기 판재본체(100)의 외주면(200)을 크게 변화를 주어 자연물, 동물, 인공물의 형태로 형성하거나 기하학적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디자인이 다양한 여러 가지 형태의 미장판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형 미장판재는 본체의 외주면이 끼워맞춤식 이형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현장에서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부착 시공하면서 다수개의 미장판재들을 서로 밀착되도록 부착하는 경우 각 판재본체들을 끼워맞춤하여 간단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한 각 판재본체들을 일정한 간격의 줄눈이 유지되도록 부착하는 경우에도 줄눈 간격을 간단 용이하게 맞추면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간 및 인원이 단축되어 시공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 각 판재본체의 외주면이 이형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사이에 채워지는 몰탈이 요철을 이루면서 채워지므로 보다 부착력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각 판재본체의 표면이 자연석과 같은 자연물의 형태로 형성되고, 그외주면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미감을 표현할 수 있어 각종 건축물등의 장식미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원리를 응용하여 본체의 외주면을 자연물, 동물, 인공물의 형태로 형성하거나 기하학적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디자인이 다양한 여러 가지 형태의 미장판재를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통상 타일 등의 미장판재에 있어서, 미장판재 본체(100)의 외주면(200)이 임의방향 끼워맞춤식 이형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설치 대상면에 종,횡으로 부착되는 다수개의 개체들이 끼워맞춤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미장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본체(100)은 사방 코너면(210)의 양쪽 기본면(211),(212)이 모서리점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방 코너면(210)이 중심점(O)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미장판재.
KR2020010003162U 2001-02-09 2001-02-09 이형 미장판재 KR200231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162U KR200231820Y1 (ko) 2001-02-09 2001-02-09 이형 미장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162U KR200231820Y1 (ko) 2001-02-09 2001-02-09 이형 미장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820Y1 true KR200231820Y1 (ko) 2001-07-19

Family

ID=7309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162U KR200231820Y1 (ko) 2001-02-09 2001-02-09 이형 미장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8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57442B (zh) 一种室内装修系统及装修方法
KR200231820Y1 (ko) 이형 미장판재
CN2929042Y (zh) 一种立体孔洞装饰陶瓷砖
EP3561193A1 (en) Reversible ceramic piece having two sides with different finish for paving
JP3689353B2 (ja) 外壁板及びその外壁板の目地構造
CN204510659U (zh) 一种适用于墙体阳角的陶瓷砖组合
KR100317996B1 (ko) 사문옥석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시공방법
CN202194344U (zh) 一种木纹陶瓷外墙砖
CN207794505U (zh) 一种仿古墙面瓷砖
CN215716798U (zh) 一种高白度仿天然石材釉面砖
CN201198649Y (zh) 一种新型地板砖
KR200219693Y1 (ko) 건축물 내`외장용 인조석
CN219773444U (zh) 一种方便清洁的仿石皮纹砖
KR100700127B1 (ko) 석재질감이 나는 건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4695655A (zh) 一种适用于墙体阳角的陶瓷砖组合及其制备方法
KR200300604Y1 (ko) 장식면이 형성된 장식타일
CN215594745U (zh) 一种水性聚氨酯砂浆地坪涂层
CN210396007U (zh) 一种地面免湿铺瓷砖
CN219411587U (zh) 一种具有卡槽的烧制砖
CN202090566U (zh) 瓷砖填缝条
EP3862506B1 (en) Tile for covering a building wall
RU213319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облицовочная керамическая плитка, используемая в способе
KR20100004491U (ko) 표면질감이 개선된 나무무늬 세라믹타일
CN201635240U (zh) 复合砖
JP2509495Y2 (ja) タ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