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444Y1 - 판유리포장용목상자 - Google Patents

판유리포장용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444Y1
KR200231444Y1 KR2019980018317U KR19980018317U KR200231444Y1 KR 200231444 Y1 KR200231444 Y1 KR 200231444Y1 KR 2019980018317 U KR2019980018317 U KR 2019980018317U KR 19980018317 U KR19980018317 U KR 19980018317U KR 200231444 Y1 KR200231444 Y1 KR 200231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bstrate
packaging
gla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964U (ko
Inventor
훈 박
Original Assignee
훈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훈 박 filed Critical 훈 박
Priority to KR2019980018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4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444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규격이 동일한 여러 장의 판유리를 목상자에 포장단위로 포장함에 있어서 목상자 부재의 감축에 의한 포장비의 절감, 판유리가 들어있는 목상자를 면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재하거나 보관할 때 먼저 놓인 목상자에 나중에 놓이는 목상자가 걸리적거리는 현상의 해소, 및 포장 및 포장해체작업의 용이성을 추구한 판유리포장용 목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윗덮개(1)는 기판(4)의 앞 뒷면에 옆덮개(3) 안으로 기어들어가 걸릴 만한 삽입부(6)가 형성되도록 기판보다도 짧은 측판(5)을 부착하고, 밑덮개(2)는 윗덮개(1) 보다도 짧은 기판(7)에 그것과 같은 길이의 측판(8)을 부착하고 기판(7)의 저면 양 끝에는 밴드받침(9)을 부착하며, 옆덮개(3)는 기판(10)의 앞 뒷면에 기판과 같은 길이의 측판(11)을 부착함과 동시에 기판(10)의 외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금속밴드를 둘러 긴밀하게 묶기 위한 밴드받침(13,14)을 부착하고 또한 상부 밴드받침(13) 아래 쪽에는 로우프 걸이(15)를 덧붙임과 동시에 로우프 걸이(15)의 상면 중앙에는 종형 버팀목(16)을 부착하며, 윗덮개(1)와 밑덮개(2) 및 옆덮개(3)로 판유리를 포장한 후 양쪽 옆덮개(3)의 상하 밴드받침(13,14)를 각각 경유하도록 금속제 횡밴드(20a,b)를 둘러 묶고 횡밴드(20a,b)의 겉으로는 옆덮개(3)측 측판(11)의 폭 중앙과 밑덮개(2)의 밴드받침(9)을 경유하도록 종밴드(21a,b)를 둘러 묶어 포장토록 한 판유리포장용 목상자이다.

Description

판유리포장용 목상자
본 고안은 규격이 동일한 여러 장의 판유리를 목상자에 포장단위로 포장함에 있어서 포장재료비의 경감과 포장 및 포장해체작업의 편리함, 및 반복 포장이 가능한 판유리포장용 목상자에 관한 것이다.
판유리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동일 규격의 판유리는 대리점이나 수요자에게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포장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기 마련이며, 이런 목적으로 판유리를 포장함에 있어서는 대부분 판유리의 규격과 포장단위에 적합하도록 특별 제작한 목상자를 사용한다.
판유리 포장용 목상자는 각 면마다 빈틈없이 잇댄 판재의 외면에 두꺼운 띠목이나 각목을 대고 못질하여 만든 면판으로 짠 육면체형 상자인데, 판재와 각 면판의 외면을 지지하는 각목의 수요가 많아 고가이고, 무거우며, 포장과 포장해체도 시간적으로 상당히 더디다. 뿐만 아니라 각 면판의 이면에 댄 각목재는 목상자끼리 나란히 맞대어 적치할 때 먼저 놓인 목상자의 각목재, 특히 횡각목재에 나중에 놓여지는 목상자의 횡각목재가 걸리서 적치작업이 순조롭지 못했던 것도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 일본국 실개 소61-194682호의 목상자는 옆덮개의 위아래에 댄 윗덮개와 밑덮개의 단부에 못을 박아 조립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으로서, 포장할 때는 물론 뜯기도 어렵다. 또, 재사용하려면 박힌 못을 모두 뽑고 다른 곳에 못을 박아야 되는 불편이 있고, 그같이 하더라도 못자국 때문에 포장품질이 낮을 수 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밑덮개도 윗덮개와 마찬가지로 길어서 포장재가 많이들고, 따라서 포장비도 높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판유리포장용 목상자의 단점을 고려하여 밑덮개의 재료를 아껴 목상자의 제작비를 경감하고, 가벼우며, 포장과 포장해체도 용이하고, 반복사용도 가능한 판유리 포장용 목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기판의 양단에 옆덮개의 위쪽 막이판 안쪽으로 기어들어가 걸리는 삽입부가 형성된 윗덮개와, 기판의 외면에 부착된 상부 밴드 받침 밑에 종형 버팀목으로 보강된 로우프 걸이를 덧붙인 한쌍의 옆덮개와, 윗덮개와 폭은 같고 길이는 포장할 판유리의 가운데 부분만 보호하도록 짧게 형성한 밑덮개로 구성하여 횡밴드와 종밴드만 둘러 묶어도 안전 포장이 이뤄지게 한 판유리 포장용 목상자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판유리용 목상자의 분해도.
제2도는 동 조립도.
제3도는 상부 측면도.
제4도는 로우프 걸이에 로우프를 걸어서 기중기로 들어올렸을 때의 가상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로우프 걸이에서의 인상력의 분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윗덮개 2 : 밑덮개
3 : 옆덮개 4,7,10 : 기판
5,8,11 : 측판 6 : 삽입부
9,13,14 : 밴드 받침 12 : 막이판
15 : 로우프 걸이 16 : 버팀목
20a,b : 횡밴드 21a,b : 종밴드
제1도에서, 본 고안에 의한 판유리포장용 목상자는 대형 후판유리포장용으로 적합한 목상자로서, 윗덮개(1)와 밑덮개(2), 옆덮개(3)로 구성된다.
윗덮개(1)는 기판(4)의 앞 됫면에 기판(4)보다는 약간 짧은 측판(5)을 부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4)의 양단이 옆덮개(3)의 천판과 바닥판 안으로 삽입되어 안에서 바깥쪽으로 걸리도록 설편모양의 삽입부(6)를 남기고 판유리의 상변 앞 뒤를 씌울 수 있는 기장으로 측판(5)을 재단하여 부착한 것이다.
밑덮개(2)는 윗덮개(1)에 비해 훨씬 짧은 기판(7)의 앞뒤에 이것과 기장이 같은 측판(8)을 부착하고 기판(7)의 저면 양 끝에 밴드받침(9)을 부착한 것이다.
옆덮개(3)는 기판(10)의 앞 됫면에 같은 길이의 측판(11)를 부착하고, 상단과 하단 내에는 막이판(12)을 끼워 붙여서 그 안으로 삽입된 윗덮개(1)와 밑덮개(20의 삽입부(6)가 옆덮개(3)의 길이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저지토록 하고, 기판(10)의 이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금속밴드를 둘러서 긴밀하게 옥죄어 묶기 위한 밴드받침(13,14)을 부착하며, 상부 밴드받침(13)의 아래 쪽에는 인상용 로우프를 거는 로우프 걸이(15)를 덧붙이고 로우프 걸이(15)의 상면 중앙에는 버팀목(16)을 부착한 것이다.
이러한 옆덮개(3)에 있어서, 위 아래 막이판(12)의 내면간 거리는 포장할 판유리의 세로와 윗덮개(1) 측 삽입부(6)의 두께를 더한 길이와 같든가 허용오차 만큼 더 길다.
윗덮개(1)와 밑덮개(2), 옆덮개(3), 기판(5,7,10)과 측판(5,8,11), 막이 판(12), 그리고 밴드받침(9,13,14) 및 버팀목(16)은 모두 목제이다.
제2도에서 기판(7)이 아래를 보도록 밑덮개(2)를 반듯하게 놓은 다음 그 안에 이 목상자로 포장하기 적합한 크기로 재단한 판유리를 포장수 만큼 얹은 다음에 판유리의 상변에 윗덮개(1)를 얹고 옆덮개(3)를 씌운다.
이때 밑덮개(2)는 판유리의 하변 중앙에 위치시키고, 로우프 걸이(15)는 윗쪽에 놓으며, 윗덮개(1)의 삽입부(6)는 막이판(12)안으로 들어가게 한다.
이와 같이 판유리를 씌운 후 금속제 횡밴드(20a,b)와 종밴드(21a,b)를 둘러 묶어서 포장상태를 안정시킨다. 횡밴드(20a,b)와 종밴드(21a,b)는 다음 요령에 준한다. 먼저, 상부 횡밴드(20a)는 옆덮개(3)의 상부 밴드받침(13)을 지나 측판(5)의 상하폭 중앙을 경유하도록 윗덮개(1)와 함께 둘러 묶고 하부 횡밴드(20b)는 옆덮개(3)의 하부 밴드받침(14)을 지나 측판(8)의 상하폭 중앙을 경유하도록 밑덮개(2)에 함께 둘러 묶는다. 그러면 종밴드(21)는 윗덮개(1)의 삽입부(6)의 대략 절반길이쯤 되는 막이판(12)의 중앙부위를 통과하게 된다.
이어서, 측판(11)의 폭 중간쯤을 통과하도록 옆덮개(30에 종밴드(21a)를 둘러 묶고, 밑덮개(2)측 밴드받침(9)의 대략 중앙을 경유하도록 종밴드(21b)를 둘러 묶는다. 밴드받침(9,13,14)이 존재함으로써 종밴드(21b)와 횡밴드(20a,b)를 두른 다음에 긴밀히 조여서 묶을 수 있다.
제4도에서 로우프 걸이(15)에 로우프(a)를 걸어 도시하지 아니한 천장 크레인 등의 기중기로 들어 올려서 운반차량에 적재하든가 다른 장소로 옮기든가 하역할 때에 로우프 걸이(15)에는 포장된 판유리와 목상자의 무게가 합친 중량은 목상자의 좌,우 즉 로우프 걸이(15)에 실려 로우프(a) 방향으로 집중된다.
이 무게를 로우프 걸이(15)에만 작용시키는 것은 무리가 아닐 수 없다. 로우프 걸이(15)에 인상력이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켜 안정을 돕는 것이 바로 버팀목(16)이다.
즉, 제5도에서 보듯이, 버팀목(16)은 로우프 걸이(15)이 집중되는 인상력을 종,횡 및 대각선 방향으로 분산시키며, 특히나 횡방향과 대각선 방향으로 분산되는 인상력은 옆덮개(30를 판유리쪽으로 밀어붙여 조여주는 작용으로 판유리에 대한 포장력을 키워주는 역할을 하므로 인상시에도 판유리에 대한 포장상태가 견실하게 유지될 수가 있다.
횡밴드(20a,b)를 먼저 둘러 묶고 횡밴드(20a,b)의 겉에 종밴드(21a,b)를 둘러 묶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판유리를 포장단위로 포장한 목상자를 면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평행하게 차량에 적재하거나 창고에 보관할 시에는 앞서 놓인 목상자의 바깥쪽 외면에 나중에 놓이는 목상자의 하변을 대고 내려서 나중에 놓이는 목상자의 하변이 앞서 놓인 목상자의 이면을 미끄럼타고 내려가도록 하는 것이 적재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보다 많은 수의 목상자를 정돈시킬 수 있는데, 횡밴드(20a,b)가 종밴드(21a,b)의 겉으로 드러나 있으면 나중에 놓이는 목상자의 뒤쪽 하변이 횡밴드(20a,b)에 걸려서 저때 미끄러져 내리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이런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종밴드(21a,b)를 횡밴드(20a,b)의 겉으로 둘러 묶어서 나중에 놓이는 목상자의 하변이 종밴드(21a,b)를 미끄럼대 삼아 순탄하게 미끄러져 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목상자를 해체할 때에는 횡밴드(20a,b)와 종밴드(21b)를 절단 제거하고 다른 종밴드(21a)는 그대로 놔둔채 없덮개(3)와 윗덮개(1)를 벗기면 간단하다. 밑덮개(2)는 종밴드(21b)를 제거하는 것으로 간단히 치울 수 있다.
판유리를 포장하는 목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유리의 전면을 덮어 가리도록 제작된 종래의 목상자와 비교할 때 우선 판유리의 저면중 가운데 일부만 덮어도 안전 포장이 가능하므로 목상자를 구성하는 밑덮개의 자재가 덜 들어 제작비가 경감되고 자재절감분 만큼 가벼워서 다루기 쉽다.
또 각 방향의 판재를 고정시키던 각목재가 불필요한데다 못질이 불필요하므로 제작비를 더욱 낮출 수 있고, 각 덮개를 온전하게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망가지지 않는 한에는 얼마든지 반복사용이 가능하다.
포장시에는 금속 밴드를 둘러 묶는 것만으로 안전 포장이 이뤄지고 포장을 풀 적에는 금속 밴드만 절단하면 옆덮개와 윗덮개 및 밑덮개가 간단히 분리되므로 포장을 해체하기도 아주 수월하다.

Claims (1)

  1. 기판(4)의 양단에 옆덮개(3)의 위쪽 막이판(9) 안쪽으로 기어들어가 걸리는 삽입부(6)가 형성된 윗덮개(1)와, 기판(7)의 외면에 부착된 상부 밴드 받침(10) 밑에 종형 버팀목(13)으로 보강된 로우프 걸이(12)를 덧붙인 한쌍의 옆덮개(3)와, 윗덮개(1)와 폭은 같으나 길이는 포장할 판유리의 가운데 부분만 보호하도록 짧게 형성한 밑덮개(2)를 끼워 조립하고 겉으로 횡밴드(20a,b)와 종밴드(21)만 둘러 묶어도 안전 포장이 이뤄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용 목상자.
KR2019980018317U 1998-09-25 1998-09-25 판유리포장용목상자 KR200231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317U KR200231444Y1 (ko) 1998-09-25 1998-09-25 판유리포장용목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317U KR200231444Y1 (ko) 1998-09-25 1998-09-25 판유리포장용목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964U KR19980068964U (ko) 1998-12-05
KR200231444Y1 true KR200231444Y1 (ko) 2001-11-22

Family

ID=6951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317U KR200231444Y1 (ko) 1998-09-25 1998-09-25 판유리포장용목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4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964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0355A (en) Shipping base having an entry slot for mechanical material handling equipment
US4512473A (en) Adjustable shipping container for frangible sheet-like units
US5909808A (en) Container for horizontally stacked sheets
US5549341A (en) Apparatus for securing contained material
EP0462085B1 (en) Pallet
US2962163A (en) Brick package
CA2238157C (en) Cable tray packaging
US3653707A (en) Flat glass shipping case
KR200231444Y1 (ko) 판유리포장용목상자
US2990058A (en) Unitized shipment package
US2400197A (en) Packaging device
KR200231445Y1 (ko) 판유리포장용목상자
KR200231443Y1 (ko) 판유리포장용목상자
US3524543A (en) Unitized packing device
KR100336213B1 (ko) 판유리 포장상자 묶음 지그
JP3996947B2 (ja) 荷造り用品
JPH0542048Y2 (ko)
JP2563085B2 (ja) 瓶用包装箱
KR200253274Y1 (ko) 판유리포장용목상자
JPH0327957Y2 (ko)
JP2007246154A (ja) 梱包構造
JPH0451150Y2 (ko)
JP2819693B2 (ja) 梱包装置
JPH0311190Y2 (ko)
JPH08183532A (ja) 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