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617Y1 - 립스틱 성형캡 - Google Patents

립스틱 성형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617Y1
KR200230617Y1 KR2019980024562U KR19980024562U KR200230617Y1 KR 200230617 Y1 KR200230617 Y1 KR 200230617Y1 KR 2019980024562 U KR2019980024562 U KR 2019980024562U KR 19980024562 U KR19980024562 U KR 19980024562U KR 200230617 Y1 KR200230617 Y1 KR 200230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stick
molding
cap
thin film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842U (ko
Inventor
송홍섭
Original Assignee
송창섭
주식회사 대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섭, 주식회사 대아정밀 filed Critical 송창섭
Priority to KR2019980024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61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8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8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617Y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립스틱 성형 후 이탈 시에 성형립스틱의 이탈 용이성과 립스틱 이탈에 따른 성형외관에 절손이 없이 이탈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 성형캡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립스틱홀더(40)를 나선관(20)의 최상단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립스틱홀더(40)에 소정의 성형공간(75)을 갖는 성형캡(70)을 조립하여 상기 립스틱홀더(40)의 하부로부터 립스틱(50)을 백충진하고 경화한 후, 상기 성형캡(70)을 분리하여 상기 성형공간(75)과 동일한 외관모양의 립스틱(50)을 성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성형캡(70)은 그 선단부에 상기 성형공간(75)과 얇은 박막(83)으로 밀폐 연결된 V형환형절취홈(82)을 갖는 박막절취돌기(81)를 돌출 구성하여서, 성형된 립스틱(50)을 상기 성형공간(75)내에서 이탈 시에는 상기 박막절취돌기(81)를 꺾어 V형환형절취홈(82)의 얇은 박막(83)을 절취하여 성형공간(75)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이탈시킬 수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립스틱 성형캡
본 고안은 립스틱 성형캡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립스틱 성형 후 이탈 시에 성형립스틱의 이탈 용이성과 립스틱 이탈에 따른 성형외관에 절손이 없이 이탈할 수 있도록 한 립스틱 성형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입술 화장에 쓰이는 립스틱(Lip-Stick)은 사용상의 특성 때문에 고형체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입술에 직접 바르거나 립스틱 솔을 사용하여 바르고 있다.
이러한 립스틱은 그 화장품의 특성상 매우 청결하고 고와야 하며 부드러운 반 경화상태로 보존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의 립스틱은 항상 이를 보관 유지할 케이스에 수용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립스틱케이스는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립스틱을 수용하여 사용토록 되어 있고,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기능상의 기술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립스틱 성형방법은 근래에 이르러 립스틱 케이스로부터 충진하는 방법, 즉 백(back)충진하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립스틱의 성형방법에 대하여 참고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립스틱홀더(40)를 나선관(20)의 회전에 의한 최상단에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부에 원하는 형상의 수지재 성형캡(70)을 조립한다.(도 1a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35) 및 회전관(30)의 주입공(33,34)을 통하여 충진노즐(55)을 삽입하고, 이 충진노즐로부터 겔 상태의 립스틱(50)을 상기 립스틱홀더(40)의 고정공간(42) 및 성형캡(70)의 성형공간(75)에 충진한다.(도 1b 참조)
이렇게 립스틱(50)을 충진한 후, 충진노즐(55)을 외부로 복귀시키고 상기 립스틱(50)은 냉각하여 경화시킨 다음, 상기 성형캡(70)을 분리하여 원하는 형상, 즉 상기 성형캡(70)의 성형공간(75)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립스틱(50)을 성형하게 된다.(도 1c)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립스틱 성형방법에 있어, 상기 성형캡(70)은 상기 립스틱(50)의 충진입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밀폐형이기 때문에, 냉각 경화된 립스틱(50)이 성형캡(70)으로부터 이탈 시에 상기 립스틱(50)이 빠져나오는 부분의 성형공간(75)이 진공상태로 되어서, 상기 성형된 립스틱(50)이 성형상태 그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외관 일부분이 상기 성형캡(70)의 성형공간(75)에 달라붙게 되어서 립스틱(50) 외관에 손상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본국 실개평7-36931(공개일 1995년 7월 11일)호에 개시되고 있는 도 2와 같은 성형캡(70)에 의한 립스틱 성형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선원기술의 상기 성형캡(70)은 그 선단부 양방에 돌편(10,10)을 돌출하되, 이들의 사이로 상기 성형캡(70)은 선단부로부터 립스틱 충진입구로 향하여 일정거리만큼 양방에 얇은 절개공간부(15,15)를 내부의 성형공간(75)과 관통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성형캡(70)은 상기 양방의 돌편(10,10)을 클램핑하여 상기 양방의 절개공간부(15,15)를 밀착한 상태에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립스틱(50)을 충진경화시킨 후, 상기 양방의 돌편(10,10)을 클램핑 해제하여 자체 탄성력에 의한 상기 절개공간부(15,15)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벌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상기 성형된 립스틱(50)을 성형캡(70)으로부터 이탈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절개공간부(15,15)를 통하여 공기가 성형공간(75)내로 유입되면서 성형된 립스틱(50)이 외관의 손상이 없이 부드럽게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도 1의 기술에서 지적된 문제점, 즉 성형된 립스틱(50)의 외관의 절손 문제점이 해소되어 불량율이 극소화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도 2의 기술에도 립스틱의 성형에 따른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절개공간부(15,15)를 돌편(10,10)에 의하여 오므리고 성형공간(75)을 형성한 상태에서 립스틱(50)을 충진하게 되면 상기 오므려진 절개공간부(15,15)의 미세한 간극으로 립스틱(50)이 침투하게 되고, 이를 냉각환경에서 경화시킨 후, 다시 경화된 립스틱(50)을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성형된 립스틱(50)의 외관에는 상기 절개공간부(15,15)의 오므려진 틈 크기의 줄 눈금돌기(17,17)가 성형되어 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줄 눈금돌기(17,17)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줄 눈 돌기(17,17)부분을 열처리하여 완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립스틱 성형 후 열처리 작업의 추가는 원가상승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작업공정의 복잡과, 열처리과정에서 자칫 잘못하면 과열처리에 의한 립스틱 외형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립스틱 성형 시에 립스틱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성형하고, 성형된 립스틱을 외관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이탈이 제공되어 외관처리를 위한 열처리가 필요치 않아 뛰어난 작업성과 제조원가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립스틱 성형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립스틱 성형캡의 선단부에 성형캡의 성형공간과 얇은 박막으로 밀폐 연결된 V형환형절취홈을 갖는 박막절취돌기를 돌출 구성하여서, 성형된 립스틱을 상기 성형공간 내에서 이탈 시에는 상기 박막절취돌기를 꺾어 V형환형절취홈의 얇은 박막을 절취하여 성형공간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이탈시킬 수 성형캡에 의하여 구현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립스틱 성형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립스틱 성형캡에 립스틱 성형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 립스틱 성형캡의 일부 절결 단면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립스틱 성형캡의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립스틱 성형상태도로서,
도 5는 본 고안 작동전의 립스틱 충진상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 작동후의 립스틱 이탈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립스틱 70 : 립스틱 성형캡
75 : 성형공간 81 : 박막절취돌기
82 : V형환형절취홈 83 : 얇은 박막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스틱홀더(40)를 나선관(20)의 최상단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립스틱홀더(40)에 소정의 성형공간(75)을 갖는 성형캡(70)을 조립하여 상기 립스틱홀더(40)의 하부로부터 립스틱(50)을 백충진하고 경화한 후, 상기 성형캡(70)을 분리하여 상기 성형공간(75)과 동일한 외관모양의 립스틱(50)을 성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성형캡(70)은 그 선단부에 상기 성형공간(75)과 얇은 박막(83)으로 밀폐 연결된 V형환형절취홈(82)을 갖는 박막절취돌기(81)를 돌출 구성하여서, 성형된 립스틱(50)을 상기 성형공간(75)내에서 이탈 시에는 상기 박막절취돌기(81)를 꺾어 V형환형절취홈(82)의 얇은 박막(83)을 절취하여 성형공간(75)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이탈시킬 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얇은 박막(83)의 두께는 절취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조시에 적어도 0.1mm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성형캡(75)에 립스틱(50)을 종래의 성형방법과 동일하게 백충진하고, 적어도 영하 8℃이하에서 냉각하여 경화시킨 후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얇은 박막(83)은 영하 8℃에서 냉각되어 경직된 상태로 되어 있어, 작업자가 상기 박막절취돌기(80)를 꺾어 V형환형절취홈(82)의 얇은 박막(83)은 용이하게 절취되고 상기 립스틱(50)이 이탈 시에 상기 성형공간(75)에 외부공기가 유입됨으로서 성형된 립스틱(50)이 부드럽게 빠져나오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성형공간(75)은 얇은 박막(83)을 형성한 V형환형절취홈(82)에 의하여 임시적으로 밀폐된 상태에서 립스틱(50)이 충진경화되고, 따라서 충진된 립스틱(50)은 성형외관에 어떠한 흠집도 없이 그대로 상기 성형공간(75)과 동일한 외형으로 성형된다.(도 5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박막절취돌기(81)를 일측방향에서 손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박막절취돌기(81)는 얇은 박막(83)이 상기 V형환형절취홈(82)에 의하여 쉽게 절취되면서 꺾이게 되어 상기 성형공간(75)은 외부와 관통됨으로서 성형된 립스틱(50)이 용이하게 이탈되면서 성형된 상태 그대로 빠져 나오게 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성형된 립스틱(50)을 다시 열처리하여 외관을 처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소한 구조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립스틱 성형 후 간편하게 성형된 립스틱의 외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성형하며, 립스틱의 성형 후 다시 열처리가 필요치 않아 뛰어난 작업성과 제조원가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립스틱홀더(40)를 나선관(20)의 최상단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립스틱홀더(40)에 소정의 성형공간(75)을 갖는 성형캡(70)을 조립하여 상기 립스틱홀더(40)의 하부로부터 립스틱(50)을 백충진하고 경화한 후, 상기 성형캡(70)을 분리하여 상기 성형공간(75)과 동일한 외관모양의 립스틱(50)을 성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성형캡(70)은 그 선단부에 상기 성형공간(75)과 얇은 박막(83)으로 밀폐 연결된 V형환형절취홈(82)을 갖는 박막절취돌기(81)를 돌출 구성하여서, 성형된 립스틱(50)을 상기 성형공간(75)내에서 이탈 시에는 상기 박막절취돌기(81)를 꺾어 V형환형절취홈(82)의 얇은 박막(83)을 절취하여 성형공간(75)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이탈시키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성형캡.
KR2019980024562U 1998-12-09 1998-12-09 립스틱 성형캡 KR200230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562U KR200230617Y1 (ko) 1998-12-09 1998-12-09 립스틱 성형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562U KR200230617Y1 (ko) 1998-12-09 1998-12-09 립스틱 성형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842U KR20000011842U (ko) 2000-07-05
KR200230617Y1 true KR200230617Y1 (ko) 2001-08-07

Family

ID=6950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562U KR200230617Y1 (ko) 1998-12-09 1998-12-09 립스틱 성형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6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842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168096B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piezas moldeadas por inyeccion y molde para fabricar piezas moldeadas por inyeccion
DK41382A (da) Fremgangsmaade til sproejtestoebning af hule plastprodukter
BR9507301A (pt) Processo para moldagem por injeção de escovas
MXPA02010360A (es) Metodo para moldear un panel.
CN111055435B (zh) 数据线及其注塑方法
BR9916952B1 (pt) aparelho de moldagem por injeção, núcleo de molde de injeção integral, método para melhorar a eficiência de refrigeração de um núcleo de molde e método para fabricar um núcleo de molde.
KR200230617Y1 (ko) 립스틱 성형캡
KR200230618Y1 (ko) 립스틱 성형캡
JPS553972A (en) Method of and mold for injection molding of patterned mold
CA1114572A (en) Mold for encapsulating a component having non-axial leads
JPS5537335A (en) 2 layer parisons molding method in injection blast molding
ES2110135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 componente alargado y conjunto de molde de inyeccion para la fabricacion del mismo.
JPS54111557A (en) Hollow molded article having integrated internal rib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H09259673A (ja) 複合碍子の製造方法
ATE289909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kibrille
CN115339047B (zh) 颈挂耳机软质胶旋转式注压模具及包胶方法
JPS57195683A (en) Manufacture of molded product having pattern on its surface
JP2546291B2 (ja) ヘリカル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2918276B2 (ja) インターデンタルブラシホルダ部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73570B2 (ko)
JPH054973Y2 (ko)
JP3118031B2 (ja) 雌嵌合部を有する合成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2000218628A (ja) 光学素子成形用成形型
JPH07251434A (ja) 光学製品の射出成形方法
JPS61277417A (ja) 射出成形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