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058Y1 - 바닥판 - Google Patents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058Y1
KR200230058Y1 KR2019980017083U KR19980017083U KR200230058Y1 KR 200230058 Y1 KR200230058 Y1 KR 200230058Y1 KR 2019980017083 U KR2019980017083 U KR 2019980017083U KR 19980017083 U KR19980017083 U KR 19980017083U KR 200230058 Y1 KR200230058 Y1 KR 200230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plate member
assembly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073U (ko
Inventor
칠 구 강
Original Assignee
칠 구 강
주식회사코니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칠 구 강, 주식회사코니무역 filed Critical 칠 구 강
Priority to KR2019980017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05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058Y1/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닥판은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조립하기 위해 나사를 체결할 때 베이스판에 나사구멍이 없기 때문에 나사를 체결이 어렵기 때문에 조립이 무척 힘이 들고 또한 판부재가 단순히 목재로 되어 있어 무겁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으며, 또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목재로된 판부재가 쉽게 부식되어 특히 나사가 박힌 부분의 부식이 촉진되어 바닥판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판부재(30)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베이스판(2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베이스판(20)은 판부재(30)가 배열, 안착되는 위치로 다수개의 나사구멍(2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이 나사구멍(21)을 통하여 판부재(30)를 나사(25)조립하고, 베이스판(20)의 인접한 두 개의 측변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후크(23)를 형성하고, 나머지 다른 두 개의 변에는 인접 연결되는 베이스판(20)의 후크(23)와 대응 조립되는 고리(22)를 형성하여 베이스판(20)을 전후좌우로 연속 연결하여 바닥판(10)을 이루게 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판부재가 합성수지로 압출형성됨으로써 가볍고 견고성이 뛰어나며 저렴한 가격에 다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인쇄할 수가 있어 제품을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간단 용이하게 제조 및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부재 또한 좌우 사방으로 연속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품의 조립성이 뛰어나 제품의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또 소비자가 설치면적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구입하여 집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닥판
본 고안은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을 이루는 판부재를 합성수지로 압출형성하고, 또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용이하게 제조 및 조립할 수 있는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닥판은 합성수지로된 베이스판의 상부에 목재로된 판부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후 이를 나사로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베이스판에는 별도의 나사구멍이 없어 임으로 나사를 박을 위치를 작업자가 어림잡아 대충 설정한 후 나사를 강제로 박아 조립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바닥판은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조립하기 위해 나사를 체결할 때 베이스판에 나사구멍이 없기 때문에 나사를 체결하기가 무척 힘이 들고 또 나사를 체결해야할 위치선정이 불규칙하여 어떤 부분은 조립이 불량하여 시간이 흐르거나 충격을 받으면 베이스판으로부터 판부재가 쉽게 이탈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판부재가 단순히 목재로 되어 있어 무겁고, 목재의 가격이 비싼 관계로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하게 되며, 또 이러한 판부재가 습기가 많은 곳에 설치하게 되면 목재가 쉽게 부식되어 특히 나사가 박힌 부분의 부식이 촉진되어 바닥판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바닥판을 이루는 판부재를 합성수지로 압출형성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가볍고 견고하면서 신속하게 다량 생산할 수 있고, 또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용이하게 제조 및 조립할 수 있어 제품의 운반이 용이하고, 또 소비자가 필요한 만큼만 구입하여 집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제품의 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의 단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구조를 나타낸 부분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구조를 나타낸 부분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에 에 판부재를 조립하느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판 20 - 베이스판 21 - 나사구멍
22 - 고리 23 - 후크 24 - 지지돌기
25 - 나사 30 - 판부재
(도 4)
50 - 베이스판 52 - 조립가이드 54 - 걸림돌기
60 - 판부재 62 - 조립홈
(도 5)
70 - 베이스판 72 - T형 돌기 80 - 판부재
82 - 홈
(도 6, 도 7)
30 - 판부재 90 - 베이스판 92 - 압입부
94 - 돌출테
(도 8, 도 9)
30a - 판부재 31a - 고정핀 100 - 베이스판
102 - 고정구멍
(도 10, 도 11)
110 - 베이스판 112 - 조립편 114 - 조립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베이스판의 상부에 일정길이의 판부재를 다수개를 깔아 이루어지는 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베이스판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판부재가 배열, 안착되는 위치로 다수개의 나사구멍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이 나사구멍을 통하여 판부재를 나사조립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인접한 두 개의 측변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후크를 형성하고, 나머지 다른 두 개의 변에는 인접 연결되는 베이스판의 후크와 대응 조립되는 고리를 형성하여 베이스판을 전후좌우로 연속 연결하여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판(10)은 베이스판(20)과, 이 베이스판(2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조립되는 판부재(30)로 구성된다.
베이스판(20)은 사각판형상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재료절감을 위해 다공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면에는 일정한 높이의 지지돌기(24)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바닥에 깔면 바닥으로부터 지지돌기(24)의 높이로 이격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돌기(24)에 의해 통풍성이 좋아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므로 위생적이다. 또한 판부재(30)가 배열, 안착되는 위치의 베이스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2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20)의 네 개의 변은 2분할되어 인접한 두 개의 측변부에는 후크(23)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다른 두 개의 변에는 인접 연결되는 다른 베이스판(20)의 후크(23)와 대응 조립되는 고리(22)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23)는 지지돌기(24)와 같이 하부로 돌출된 구조이고 고리는 하부에서 측부로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하로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판부재(30)는 소정넓이를 갖고 베이스판(20)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된 합성수지재(목재 등과 같은 다른 재질로도 가능함)로서, 적은 비용에 다량의 판부재를 빠른 시간내에 생산할 수 있도록 압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판부재(30)는 여러개로 구성되어 베이스판(20)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판부재(30)가 베이스판(20)에 안착되면 베이스판(20)에 형성된 나사구멍(21)을 통하여 판부재(30)를 나사조립하여 한 단위의 바닥판(10)을 구성한다.
이러한 바닥판(10)을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의 넓이를 계산하여 다수개 조립 형성한 후 도 3a,3b와 같이 측변부에 형성된 후크(23)를 인접 설치되는 다른 바닥판(10)의 고리(22)에 억지끼움시키는 구조로 사방으로 연결시켜 마루바닥과 같은 바닥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판(10)의 조립이 용이하므로 소비자가 설치면적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구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구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로서, 판부재(60)를 베이스판(50)을 도 4와 같은 구조로 형성하여 슬라이딩 조립시킬 수 있다. 즉, 베이스판(50)에 배열 안착되는 각 판부재(60)의 양측면과 나란한 베이스판(50) 상면에 판부재(60) 배열방향으로 연속되게 조립가이드(52)를 형성하고, 판부재(60)의 양측면에는 베이스판(50)의 조립가이드(52)에 대응되는 조립홈(62)을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 조립가이드(52)의 상단에는 걸림돌기(54)가 베이스판(50)의 조립홈(62)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조립할 때에는 베이스판(50)의 전후부 일측에서 조립가이드(52)의 사이에 판부재(60)의 조립홈(62)을 일치시킨 후 슬라이딩시켜 조립하는 것이다. 이때 조립가이드(52)의 사이에 판부재(60)가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후 판부재(60)가 베이스판(50)을 이탈할 우려가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조립하는 구조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70)에 판부재(80)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구조로 조립하도록 구성하되, 베이스판(70)에 배열 및 안착되는 판부재(80)의 중심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T"형 돌기(72)를 형성하고, 판부재(80)의 형상을 저면 중앙부에 베이스판(70)의 "T"형 돌기(72)가 대응되어 삽입되는 홈(82)을 갖도록 압출형성하여 조립시킬 때에는 판부재(70)의 홈(82)과 "T"형돌기(72)를 일치시킨 후 슬라이딩 조립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판부재(80)의 홈(82)이 조립돌기(72)에 조립될 때 빡빡한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후 판부재(80)가 베이스판(7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제4실시예)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90)의 상면에 안착되는 압출(사출도 가능)형 판부재(30)의 외각선을 따라 소정높이로 돌출테(94)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판부재(30)의 면적과 같거나 약간 작은 크기의 압입부(92)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먼저 바닥에 베이스판(90)을 조립한 후 압입부(92)에 판부재(30)를 억지끼움식으로 조립한다. 이와 같이 판부재(30)가 압입부(92)에 삽입되면 판부재(30)는 압입부(92)의 둘레를 이루는 돌출테(94)의 밀착력에 의해 베이스판(90)을 이탈하지 못하게 됨으로 견고한 바닥판을 이룰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조립핀(31a)을 다수개 갖도록 판부재(30a)를 사출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베이스판(100)의 상면에는 판부재(30a)의 조립핀(31a)이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는 조립구멍(102)을 다수개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베이스판(100)을 바닥에 깔아 조립한 후 그 상면에 판부재(30a)를 위치시켜 조립핀(31a)을 조립구멍(102)에 억지끼움식으로 대응삽입시켜 판부재(30a)를 베이스판(100)에 조립한다. 이러한 조립구조에 의해 판부재(30a)가 베이스판(100)에 신속,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된다.
(제6실시예)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베이스판(110)의 인접한 두 개의 측면에 사다리꼴형상의 조립편(112)을 형성하고, 다른 두 개의 측면에는 다른 베이스판(110)의 조립편(112)과 대응 결합되는 조립홈(114)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베이스판(110)을 연결 조립할 때에는 일측 베이스판을 바닥에 깐 상태에서 타측 베이스판의 조립홈(114)을 하부의 베이스판 조립편(112)에 일치시켜 억지끼움식으로 눌러 조립하여 연결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110)을 연결하면 조립작업이 신속, 간편할 뿐만 아니라 조립편(112)이 사다리꼴형상으로 되어 있어 수직방향으로는 탈착이 가능하지만 수평방향으로는 탈착이 어려우므로 견고한 연결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판을 이루는 판부재를 합성수지로 압출형성함으로써 가볍고 견고성이 뛰어나며 저렴한 가격에 다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인쇄할 수가 있어 제품을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 베이스판에 판부재를 간단 용이하게 제조 및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부재 또한 좌우 사방으로 연속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품의 조립성이 뛰어나 제품의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또 소비자가 설치면적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구입하여 집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와 아울러 이러한 장점들에 의해 제품의 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베이스판의 상부에 일정길이의 판부재를 다수개를 깔아 이루어지는 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30)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베이스판(2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상기 베이스판(20)은 판부재(30)가 배열, 안착되는 위치로 다수개의 나사구멍(2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이 나사구멍(21)을 통하여 판부재(30)를 나사(25)조립하고, 상기 베이스판(20)의 인접한 두 개의 측변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후크(23)를 형성하고, 나머지 다른 두 개의 변에는 인접 연결되는 베이스판(20)의 후크(23)와 대응 조립되는 고리(22)를 형성하여 베이스판(20)을 전후좌우로 연속 연결하여 바닥판(10)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50)에 배열 안착되는 각 판부재(60)의 양측면과 나란한 베이스판(50) 상면에 판부재(60) 배열방향으로 연속되게 돌출 되면서 단부에 서로 대향되는 구조로 걸림돌기(54)가 형성된 조립가이드(52)를 형성하고, 상기 판부재(60)에는 양측면에 상기 베이스판(50)의 조립가이드(52)에 대응되는 조립홈(62)을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판(50)의 전후부 일측에서 조립가이드(52)의 사이에 판부재(60)의 조립홈(62)을 일치시킨 후 슬라이딩시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70)에 배열 안착되는 판부재(80)의 중심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T"형 돌기(72)를 형성하고, 상기 판부재(80)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베이스판(70)의 "T"형 돌기(72)가 대응 삽입되는 홈(82)을 형성하여 상기 홈(82)과 "T"형돌기(72)를 일치시킨 후 슬라이딩 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90)의 상면에 안착되는 판부재(30)의 외각선을 따라 소정높이로 돌출테(94)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판부재(30)의 면적과 같거나 약간 작은 크기의 압입부(92)를 형성하여 이 압입부(92)에 상기 판부재(30)를 억지끼움식으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저면에 조립핀(31a)을 다수개 갖도록 판부재(30a)를 사출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베이스판(100)의 상면에는 판부재(30a)의 조립핀(31a)이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는 조립구멍(102)을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조립구멍(102)에 상기 조립핀(31a)을 억지끼움식으로 대응 삽입시켜 판부재(30a)를 베이스판(100)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10)의 인접한 두 개의 측면에 사다리꼴형상의 조립편(112)을 형성하고, 다른 두 개의 측면에는 다른 베이스판(110)의 조립편(112)과 대응 결합되는 조립홈(114)을 형성하여 일측 베이스판을 바닥에 깐 상태에서 타측 베이스판의 조립홈(114)을 하부의 베이스판 조립편(112)에 일치시켜 억지끼움식으로 눌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
KR2019980017083U 1998-09-08 1998-09-08 바닥판 KR200230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083U KR200230058Y1 (ko) 1998-09-08 1998-09-08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083U KR200230058Y1 (ko) 1998-09-08 1998-09-08 바닥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073U KR20000006073U (ko) 2000-04-06
KR200230058Y1 true KR200230058Y1 (ko) 2001-07-19

Family

ID=6951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083U KR200230058Y1 (ko) 1998-09-08 1998-09-08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0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838B1 (ko) * 2010-07-19 2011-01-05 (주)진성메디 욕실용 발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137A (ko) * 2000-01-13 2001-08-11 박영대 합성수지제 닫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838B1 (ko) * 2010-07-19 2011-01-05 (주)진성메디 욕실용 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073U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766B2 (en) Plastic deck railing
EP0688161B1 (en) Frame element and insertion element for stables
MY142707A (en) Synthetic resin pallet
US20190136546A1 (en) Decking clip
KR200479589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파티션
US20050035339A1 (en) Cap and base assembly for a fence post
KR200230058Y1 (ko) 바닥판
KR20170004027U (ko) 무볼트 조립식 선반
DE20021880U1 (de) Befestigungsmittel für Fußmatten in Kraftfahrzeugen
US20030070382A1 (en) Floor assembly
EP0955412A3 (en) Sectional modular elements for making non-permanent floors
CN218940118U (zh) 开关面板便于装配固定的开关插座
KR100836077B1 (ko) 책상의 상판구조
KR200371137Y1 (ko) 합성수지제 파렛트
JPS623019Y2 (ko)
KR200319342Y1 (ko) 조립식 판넬
KR200236336Y1 (ko) 양면도마
KR101121602B1 (ko) 사출 및 압출성형에 의해 조립되는 침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침대
CN218953749U (zh) 一种新型塑料紧固件
KR200233404Y1 (ko) 이음새 간극을 최소화한 바닥판
JPS637025Y2 (ko)
JPH0422581U (ko)
JPH0231108Y2 (ko)
KR200485896Y1 (ko) 프레임 연결구
CA3119937A1 (en) Profile system for intersecting j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829

Effective date: 200304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828

Effective date: 200304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10000235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530

Effective date: 200403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10000234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530

Effective date: 2004030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200002782;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200002775;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530

Effective date: 20040305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530

Effective date: 200403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200002775;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530

Effective date: 200403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200002782;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530

Effective date: 200403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