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967Y1 -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 - Google Patents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967Y1
KR200229967Y1 KR2020010002977U KR20010002977U KR200229967Y1 KR 200229967 Y1 KR200229967 Y1 KR 200229967Y1 KR 2020010002977 U KR2020010002977 U KR 2020010002977U KR 20010002977 U KR20010002977 U KR 20010002977U KR 200229967 Y1 KR200229967 Y1 KR 200229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wood
mold
heating means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덕순
Original Assignee
구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덕순 filed Critical 구덕순
Priority to KR2020010002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96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원목을 1차 가공하여 이루어진 얇은 판재의 플라이층들을 접합 결합하여 가운데가 빈 링 형상의 성형목재를 제조하는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실린더(1a, 1b) 들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반원형의 성형홈(2)을 갖추면서 그 내부에 가열수단(3)이 내장되는 한쌍의 가동 성형모울드(4a, 4b)와, 이 가동성형모울드(4a, 4b)의 성형홈(2)내부에 고정되는 코어모울드(5)를 갖추되, 이 코어모울드(5) 내부에도 가열수단(3)이 내장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Plastic Mold Apparatus of Plastic Lamination Wood}
본 고안은 일정한 두께로 일차 가공된 목재의 얇은 판재를 적층접합시키는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공간을 형성하고 가운데가 비어있는 성형적층목재를 제조할 때 제조된 성형목재의 외관미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형목재(Laminated Wood)는 원목에서 일차 가공된 얇은 플라이층들을 복수개로 접합적층시키어 가압 가열하여 필요한 목질재료로 가공 제조하는 목재를 칭하며, 그 목질방식에 따라 합판(Plywood)과, 집성재(Lamminated Wood) 및, 단판적 층재(Laminated vaneer lumber)등으로 주로 구별된다.
종래 이러한 성형목재들 중 가운데가 빈 링형상의 성형목재를 성형 제조하는 모울드장치는 주로 성형부를 갖춘 한쌍의 모울드에 적층된 접합 플라이층들을 배치시킨 다음, 반원호상의 적층된 목재들을 이들의 양단에서 서로 맞붙여 접합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완성된 링형상의 성형목재는 반원호상의 결합부분에 일자형의 이음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미가 떨어지고 더욱이 이 일자형 이음부분을 은폐하기 위해 별도의 가공작업이 수행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이음결합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플라이층들을 접합 결합시킬 때 이 플라이층들의 이음결합부위들이 원호상을 따라 계단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합 결합됨에 따라 완성된 성형 목재의 외관미와 강도를 향상시키는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모울드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성형모울드가 가압 되었을때 요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 - 유압실린더, 2 - 성형홈
3 - 가열수단, 4a, 4b - 가동성형모울드
5 - 코어모울드, 6a, 6b, 6c... - 플라이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압실린더들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반원형의 성형홈을 갖추면서 그 내부에 가열수단이 내장되는 한쌍의 가동 성형모울드와, 이 가동성형모울드들의 성형홈 내부에 고정되어 코어모울드를 갖추되, 이 코어모울드 내부에도 가열수단이 내장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성형모울드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가동성형모울드들이 가압가열 작용하였을때 이를 설명하는 요부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a, 1b)들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반원형의 성형홈(2)을 갖추면서 그 내부에 가열수단(3)이 내장되는 한쌍의 가동 성형모울드(4a, 4b)와, 이 가동성형모울드(4a, 4b)의 성형홈(2)내부에 고정되는 코어모울드(5)를 갖추되, 이 코어모울드(5) 내부에도 가열수단(3)이 내장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수단(3)은 주로 증기압을 사용하나 필요에 따라 전기히터 내지는 그외 유사한 가열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코어모울드(5) 둘레를 감싸아 위치되면서 성형홈(2)에 삽입된 서로 접히는 플라이층(6a, 6b...)들을 양쪽 성형모울드(4a, 4b)로 도 3과 같이 이동시켜 가압 가열시키게 되면, 이 적층된 플라이층들(6a, 6b...)은 서로 접합 결합되어 가운데가 빈 원형 링형상의 성형목재로 성형된다.
이렇게 제조된 성형목재를 가동성형모울드(4a, 4b)와 코어모울드(5)에서 추출시키어 양생과 마무리 공정을 거쳐 완성시키게 되면 링형상의 성형목재가 완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동성형모울드(4a, 4b)와 코어모울드(5)의 구조를 변경하여 다양한 모양과 형태를 가진 성형목재의 생산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성형모울드 장치는 적층되는 플라이층 들의 성형목재 성형시 이음이격부분이 엇갈린 계단형상으로 접합 결합됨에 따라 완성된 성형목재의 외관미와 강도를 강화시키는 잇점을 갖추게 된다.

Claims (1)

  1. 유압실린더(1a, 1b)들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반원형의 성형홈(2)을 갖추면서 그 내부에 가열수단(3)이 내장되는 한쌍의 가동 성형모울드(4a, 4b)와, 이 가동성형모울드(4a, 4b)의 성형홈(2)내부에 고정되는 코어모울드(5)를 갖추되, 이 코어모울드(5) 내부에도 가열수단(3)이 내장되어 이루어진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
KR2020010002977U 2001-02-07 2001-02-07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 KR200229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977U KR200229967Y1 (ko) 2001-02-07 2001-02-07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977U KR200229967Y1 (ko) 2001-02-07 2001-02-07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967Y1 true KR200229967Y1 (ko) 2001-07-03

Family

ID=7309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977U KR200229967Y1 (ko) 2001-02-07 2001-02-07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9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165B1 (ko) 2018-12-27 2019-04-05 (주)이산조명 원목 벤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165B1 (ko) 2018-12-27 2019-04-05 (주)이산조명 원목 벤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491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製法
CN112805214A (zh) 自行车热塑复合材车架构件的成型方法及其成品
RU2009104019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тали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10516521A5 (ko)
WO2006122987A3 (en) Process for the prodcution of a laminated composite product and a composite product made by the lamination process
JPH01130919A (ja) 高圧積層品
JP2020055447A5 (ko)
JP2015116809A (ja) 車両用バックビーム
KR200229967Y1 (ko) 성형적층목재의 성형모울드장치
KR102174301B1 (ko) 샌드위치 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샌드위치 패널
WO2014031066A1 (en) Pole
TWI728290B (zh) 自行車熱塑複合材車架構件的成型方法及其成品
CN103313849B (zh) 用于制作具有不同表面材料的模制部件的方法
CN107283875A (zh) 一种基于可热塑性纤维复合材料的箱包及其制备方法
FI97788C (fi) Komposiittirakenteinen runko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TWM576098U (zh) Bicycle thermoplastic composite frame parts
CN112455035A (zh) 纤维增强热塑性和热固性混杂树脂基复合材料及产品的制备方法与应用
CA2248499A1 (en) Method for producing metal-plastic connecting elements
TWI527693B (zh) Multi - layer composit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0038139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およびその製法
TWI530419B (zh) 碳纖維自行車部件的心模殼積層成型方法及其成型結構
KR101387394B1 (ko) 복합재 중공구조물 제조방법 및 그 금형
JP2008006731A (ja) オートクレーブ工法による積層材の製造方法及び積層材
KR200289726Y1 (ko) 성형적층목재
JP2019098682A5 (ja) 複合材料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