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931Y1 -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전동모터 식) - Google Patents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전동모터 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931Y1
KR200229931Y1 KR2020010000923U KR20010000923U KR200229931Y1 KR 200229931 Y1 KR200229931 Y1 KR 200229931Y1 KR 2020010000923 U KR2020010000923 U KR 2020010000923U KR 20010000923 U KR20010000923 U KR 20010000923U KR 200229931 Y1 KR200229931 Y1 KR 200229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train
subway
electric motor
variabl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희
Original Assignee
박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희 filed Critical 박준희
Priority to KR2020010000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931Y1/ko

Links

Landscapes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지하철 승강장에 부착하는 가변식 안전 승강대을 설치하여 기존 지하철의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탑승자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탑승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 지하철 승강장과 열차 사이에 불규칙한 공간으로 어린이나 성인 탑승자가 방심하거나 잘못 탑승 할 경우 승강장과 열차 사이로 발이 빠져 생명에 위험한 상태가 발생하고 지하철 안전운행에도 지장을 주므로 기존 지하철 승강장에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가변식 안전 승강대를 설치하여 승강장과 열차사이의 간격을 없애 줌으로서 탑승자가 안전하게 탑승 할 수 있으며 안전운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전동모터 식){Variable Safety Board for Subway Platform(Electric Motor Type)}
종래의 지하철 승강장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으며 설계 또는 콘크리트 타설 시 부정확성으로 공간이 발생하고 또한 지하철 및 전철역의 승강장이 부지 확보 및 위치 선정상 대부분이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되어 있어 열차의 안전운행 상 승강장과 열차간의 공간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만 하는 것이 필연적이나 이 공간으로 인하여 탑승자가 열차에 탑승 할 때 간혹 발 또는 몸이 빠져 생명에도 위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열차의 안전 운행에도 큰 지장을 주고 있다.
본 고안은 기존의 지하철 승강장에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가변식 안전 승강대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서 탑승 시 기존 승강장과 열차간에 위험공간을없애줌으로써 탑승자가 안전하게 탑승 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 하고자 하는 것이 특징이다.
.
도 1은 종래의 승강장과 열차와의 간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식 안전 승강대을 장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가변식 안전 승강대의 사시도
도 4는 가변식 안전 승강대의 단면도
도 5는 가변식 안전 승강대의 배선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존 지하철 승강대 2. 승강판
3. 안전 승강대 4. 이동 바
5. 크로스 바 6. 가이드 커버
7. 앙카볼트 8. 우레탄 휠
9. 휠 림 10. 베어링
11.스프링 12. 휠 컬럼
13. 스톱파 14. 휠 파이프
15. 전기모터 16. 감속기
17. 웜 기어 18. 랙 기어
19. 연결판 20. 연결판
21. 정차신호 22. 출발신호
23. 분전함 24. 마그네틱 스위치
25. 전원 26. 레일 신호기
27. 정차센서 28. 출발센서
29. 타이머 30. 모션 디텍터 센서
31. 모션센서 랜즈 32. 접전센서
33. 고정핀 34. 연결판
35. 연결판 36. 볼트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전동모터 방식의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지하철의 콘크리트 승강장(1) 밑부분에 안전 승강대(3)를 가이드 커버(6) 속에 장착하고 가이드 커버(6)를 승강장(1)의 밑에 앙카 볼트(7)로 부착하여 안전한 탑승을 위한 승강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역에 열차가 정차하면 레일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기로부터 정차신호(21)를 역사에 기존 설치 되어 있는 분전함(23)에서 받아 마그네틱 스위치(24)가 접전이 되면서 전기모터(15)에 전원(25)이 공급되고 전원을 공급받은 전기모터(15)는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고 윔 기어(17)가 부착된 감속기(16)를 구동시켜 웜 기어(17)가 승강판(2)에 부착된 이동 바(4)의 랙 기어(18)를 전진방향으로 밀면 랙 기어(18)와 연결된 승강판(2)의 이동 바(4)가 전진방향으로 움직이며 고정핀(33)과 연결판(34)을 축으로 하여 이동 바(4)가 승강판(2)과 연결된 크로스 바(5)를 펴지게 하여 승강판(2)이 기존 승강장(1)과 열차사이에 벌어진 공간을 없애주고 밀착시켜 준다. 이때 이동 바(4)가 접전센서(32)에 도달하면 전원(25)이 차단된다.
탑승자가 안전하게 탑승 한 후 열차의 출발 시 작동의 원리는 상기 정차 시의 반대로 레일의 신호기(26)로부터 출발신호(22)를 역사에 분전함(23)에서 받아 마그네틱 스위치(24)가 접전이 되면서 전기모터(15)에 전원(25)이 공급되고 전원을 공급받은 전기모터(15)는 후진방향으로 회전하고 윔 기어(17)가 부착된 감속기(16)를 구동 시켜 웜 기어(17)가 승강판(2)에 부착된 이동 바(4)의 랙 기어(18)를 후진방향으로 잡아당기고 랙 기어(18)와 연결된 이동 바(4)가 후진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동 바(4)와 연결된 크로스 바(5)가 고정핀(33)과 연결판(34)을 축으로 하여 접히며 승강판(2)을 접어 가이드 카버(6)속으로 들어가 보관되어진다. 이때 이동 바(4)가 접전 센서에 도달하면 전원(25)이 차단된다.
또한 한 개의 승강판(2)의 단위길이는 약 1미터 정도로 하고 우레탄 휠 9개 정도를 부착하여 한 단위의 승강판(2)을 구성하며 이동 바(4)의 단위 길이도 약 1미터 정도로 한다. 기존 승강장에 설치가 필요한 길이가 결정되면 한 단위의 이동 바(4)는 연결판(20)과 연결볼트(36)로 조립 연결하고 한 단위의 승강판(2)은 연결판(35)와 연결볼트(36)로 조립 연결한다. 이때 크로스 바(5)의 길이는 각 지점마다 기존 승강대(1)와 열차사이의 불규칙한 공간을 자체적으로 보완 해 줄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정하여 이동 바(4)와 승강판(2)에 연결볼트(36)로 조립 연결한다.
도(4)에 도시한 단면도는 안전 승강대(3)를 설치하여도 기존 승강장과 열차사이의 공간이 불균등 할 경우 이를 보완해 주고자 승강판(2)의 끝 부분에 간격 조정을 위해 스프링(11)이 장착된 우레탄 휠 조합품을 장착하여 불균등한 공간을 보완해 주며 승강판(2)의 밀착 또는 열차의 미세한 움직임으로부터 열차차체 표면에마찰 또는 충격로 인한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승강판(2) 끝단에 우레탄 휠 조합품(8)을 장착하여 보호한다.
우레탄 휠 조합품(8)은 우레탄 고무바퀴, 휠 림(9),베어링(10), 스프링(11), 휠 컬럼(12), 휠 파이프(14)로 구성하고 접혀진 승강판(2)은 지하철 승강장 밑에 부착된 가이드 커버(6)속에 보관되어진다. 보관된 승강판(2)의 끝단 부위는 기존에 설치된 지하철 승강장(1)의 끝단 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 장착 되도록 하여 선로 상에 운행하는 열차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다.
도 (5)에 도시한 관련 배선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도 (3)의 관련 기기의 배선 연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며 또한 지하철 역사에 레일에 신호기(26)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분전반(23)에 모션 딕텍터 센서(30)과 타이머(29)를 설치하고 안전승강판(2)끝단에 센서랜즈(31)를 부착하여 승강장에 열차가 도착 정지하면 타이머(23)가 작동함과 동시에 전동모터(15)에 전원(25)이 공급되고 도(3)에서 설명한 전진 방향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여 안전 승강판(2)를 앞으로 펴진다. 승강판이 펴진후 모션 디택터 센서(30)가 센서랜즈(31)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면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진방향과 같이 작동한다. 이때 타이머(29)는 지하철역에 열차 정차시간이 각 역사마다 역사의 사정에 맞게 타이머(29)의 단위 시간을 조정하여 조정시간 내에 모션 디택터 센서(30)가 센서랜즈(31)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면 순차적으로 정차, 출발 신호로 바뀌어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가 전진, 후진을 순차적으로 반복 구동한다.
모션 센서 랜즈(31)는 오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지 가능한 범위를 승강장 안쪽의 레일의 거리 내를 감지 할 수 있는 것으로 선정하여 사용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의하면 기존 지하철 승강장에 안전 승강대를 장착하여 탑승자가 보다 안전하게 탑승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승강장과 열차사이에 넓은 공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열차 운전원의 안전 운행을 도모하며 안전사고로 인한 국가적 사회 손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지하철 및 전철역의 기존 콘크리트 승강장 밑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가변식 안전 승강대로서 열차의 정차, 출발 신호 또는 모션 디택터 샌서에 의하여 열차의 운행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전동모터 식의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KR2020010000923U 2001-01-12 2001-01-12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전동모터 식) KR200229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923U KR200229931Y1 (ko) 2001-01-12 2001-01-12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전동모터 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923U KR200229931Y1 (ko) 2001-01-12 2001-01-12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전동모터 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931Y1 true KR200229931Y1 (ko) 2001-07-19

Family

ID=7309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923U KR200229931Y1 (ko) 2001-01-12 2001-01-12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전동모터 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9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16052B2 (en) Device for filling the gap between a platform and a railway vehicle
RU2136531C1 (ru) Монорельсовая на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5658496A (zh) 用于保护人员免受移动的轨道车辆伤害的保护壁
JP2017170971A (ja) 電動式軌道台車
WO2017220038A1 (zh) Brt站台用智能踏板
US20080098924A1 (en) Safety Device for Train Platforms
WO2019017845A1 (en) AUTOMATIC RAMP
KR101135632B1 (ko)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US4823704A (en) Rail vehicle conveying system and rail covers therefor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KR200229931Y1 (ko)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전동모터 식)
KR20090043727A (ko)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장치
KR102301112B1 (ko)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US4284010A (en) Conveyance system
KR940005864A (ko) 주차장
JP3199117B1 (ja) 乗降補助装置
KR20090034232A (ko) 철도차량용 안전 스탭 장치
KR200229930Y1 (ko)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유압펌프 식)
KR200229929Y1 (ko) 지하철 가변식 안전 승강대 (압축공기 식)
CN112622946A (zh) 一种无人驾驶汽车
KR101183683B1 (ko) 도로에 설치되는 비상차량 대기시설
EP0236600A1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JP4221257B2 (ja) 軌陸作業車の逸走防止装置
KR19990027980A (ko) 이동보도의 아동보호장치
CN115726295A (zh) 一种适用于brt站台的智能伸缩踏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