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778Y1 - 소형 철근절곡기 - Google Patents

소형 철근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778Y1
KR200229778Y1 KR2020010002271U KR20010002271U KR200229778Y1 KR 200229778 Y1 KR200229778 Y1 KR 200229778Y1 KR 2020010002271 U KR2020010002271 U KR 2020010002271U KR 20010002271 U KR20010002271 U KR 20010002271U KR 200229778 Y1 KR200229778 Y1 KR 200229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ain body
reinforcing bar
bending machin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임
최병동
Original Assignee
김귀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귀임 filed Critical 김귀임
Priority to KR2020010002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778Y1/ko

Links

Landscapes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철근절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 또는 토목의 기초공사에서 철근구조물을 배근시킴에 있어 철근절곡기의 중량 및 크기를 소형화 하여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들고 다니면서 철근을 용이하게 절곡하여 사용하므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동모터(31)가 내부에 장착되어진 모터부(30); 상기 모터부(30)가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31)로 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수단이 구비된 본체(10); 이동이 용이하도록 장치 본체(10)에 부착되어진 손잡이부(40);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전달된 회동력에 의해 회동되어지되, 그 선단에는 회동시 반원호형상의 궤적을 이루며 철근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27)가 일체로 구성되어진 작동축(22); 상기 가압로울러(27)에 의한 가압동작시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5a)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받침부(25b);를 포함한 구성을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소형 철근절곡기{A BAR BENDER FOR SMALL SIZE}
본 고안은 철근 절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 기초공사시 철근 구조물을 배근함에 있어 원하는 각도로 철근을 절곡시키는데 사용하는 철근 절곡기의 중량 및 크기를 소형화하여 작업자가 직접 들고다니면서 절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소형 철근절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작업 전에 기초공사로 철근 구조물이 설치되게 되는데, 이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길이와 직경을 갖는 철근(1)이 종방향, 횡방향으로 교차 배열되어진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게 된다.
한편, 배근되어지는 철근(1)은 건축물의 모서리부위 또는 기둥부위 등 해당 위치에 따라서 필요부위를 절곡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철근의 절곡은 배근전 통상적으로 공사현장에서 거치형인 작업선반에서 미리 일정부위를 절곡시킨 후 절곡 형상에 맞추어 배근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배근이 이루어진 철근의 일단 필요부위를 절곡시키는 마무리 작업으로 별도의 절곡구를 이용하여 철근의 절곡되어질 위치에 걸어 강압적으로 절곡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절곡부위에 절곡구를 걸어 사용하게 됨으로서 절곡구와 철근 사이에 지렛대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철근 구조물의 양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작업자가 들어가 절곡구를 사용하여 일정각도로 회동시켜 절곡작업할 수 없는 경우 절곡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절곡구가 없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철근의 절곡부위를 발로 눌러 지렛데 역할을 하면서 수작업으로 힘을 가해 절곡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 절곡부위의 형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문제 또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기초공사인 철근 구조물을 배근함에 있어 철근을 절곡시켜 사용하는 철근 절곡기의 중량 및 크기를 소형화하여 작업현장에서 이동이 쉽도록 하고, 좁은 공간에서 1인의 작업자 혼자서도 철근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구동모터가 내부에 장착되어진 모터부; 상기 모터부가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로 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 본체; 이동이 용이하도록 장치 본체의 일측에 부착되어진 손잡이부; 상기 본체의 타측에 원통형태로 결합되어지되, 그 내부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는 작동축이 장착되어진 작동부; 상기 작동축의 선단에 일체로 구성되어짐으로서 회동시 반원호형상의 궤적을 이루며 철근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 상기 가압로울러에 의한 가압동작시 철근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작동부의 선단에 결합되어진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소형 철근절곡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고안 절곡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절곡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절곡기의 내부 단면도.
도 4a,b는 본 고안 절곡기에 의한 철근 절곡시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절곡기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워엄기어
12 : 샤프트 13 : 클러치
14 : 베어링 15 : 헬리컬기어
20 : 작동부 21 : 리미트 스위치
22 : 작동축 23 : 브라케트
24 : 코일스프링 25 : 금형수단
25a: 지지부 25b: 받침부
26 : 가압부재 27 : 가압로울러
30 : 모터부 40 : 손잡이부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 철근절곡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 하우징은 크게 본체(10)와 작동부(20), 그리고 구동모터(31)가 내장되어진 모터부(30)로 구분되어진다.
본체(10) 내에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상기 구동모터(31)로 부터 워엄기어(11)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12)와, 상기 샤프트(12)로의 동력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13)와, 상기 샤프트(12)의 원활한 회동을 지지하는 베어링(14)과, 샤프트(12)의 회동력을 작동부(20)의 회동축(22)으로 전달하기 위한 헬리컬기어(15)가 구성되었다.
그리고 작동부(20)에는 상기 헬리컬기어(15)를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는 작동축(22)과, 작동축(22)의 회동각 제어를 위한 리미트 스위치(21), 작동축(22)의 일정구간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탄성력으로 지지하고 그 일단이 브라케트(23)에 고정되어진 코일스프링(24)이 내장되었으며, 작동부(20) 선단에는 철근의 안착, 지지가 가능하도록 돌출되어진 지지부(25a) 및 작동축(22)이 중앙에 관통되어지는 받침부(25b) 구조를 이루며 금형수단(25)이 결합되었다.
또한, 작동축(22)의 선단에는 작동축(22)의 회동시 일체로 회동되어지면서상기 받침부(25b) 둘레를 따라 반원호형의 유동궤적을 그리도록 하여 철근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27)가 가압부재(26)에 고정되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은 손잡이부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 작업의 기초공사시 종.횡 방향으로 철근이 배근되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본 고안의 절곡기를 손잡이부(40)를 잡고 작업위치로 이동시킨뒤, 도 4a에서와 같이 철근의 절곡시킬 부위를 작동축(22)과 지지부(25a)사이에 개재시키게 된다.
그리고 철근의 절곡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리미트 스위치(21)를 조절한 뒤, 모터부(30)를 동작시키면 구동모터(31)의 동력이 워엄기어(11)를 통해 샤프트(12)로 전달되어지게 되며, 상기 전달된 정방향 회동력은 베어링(14)에 의해 지지되면서 다시 샤프트(12)선단에 설치되어진 헬리컬기어(15)를 통해 작동축(22)으로 전달되어지게 된다.
상기 작동축(22)이 회동되어짐에 따라 그 선단의 가압부재(26)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져 있는 가압로울러(27)는 받침부(25b)의 외주면을 따라 반원호형상의 궤적으로 이루며 회동되어지게 되고,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철근은 지지부(25a)와 작동축(22) 사이에서 지지되어진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로울러(27)의 회동 가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작동축(22)이 지렛대 역할을 하는 가운데 지지부(25a)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어지는 철근의 타단은 리미트 스위치(21)에 의해 설정되어진 각도만큼 회동되어지는 가압로울러(27)의 가압력에 의해 서서히 절곡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원하는 각도만큼의 절곡작업이 완료되어진 후 전달되어지던 회동력이 해제되어지면, 코일스프링(24)에 의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동축(22)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면서 가압로울러(27)역시 원위치되어 지지부(25a)에 의해 지지되어지는 원상태로 복귀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절곡작업이 완료되어 작동축(22) 및 가압로울러(27)가 원위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다시 본 고안의 절곡기를 들고 장소를 이동하여 다시 상기와 같은 순서로 철근의 절곡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 절곡기의 특징이라면, 가압을 위한 동력전달구조의 단순화 및 소형화를 통해 제품의 제작 및 생산효율을 향상시켰으며, 이에따라 전체적인 무게가 16kg 이하로 설계가능하게 됨으로서 작업자 1인이 혼자서 직접 들고다니면서 철근의 절곡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철근절곡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동축의 정방향 회동은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역방향회전은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력전달구조를 이루었으나,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를 채용할 경우 작동축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동이 모두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게되어 코일스프링 및 클러치 등의 부품을 더욱 단순화시킬 수도 있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소형 철근절곡기는, 철근구조물을 배근시킴에 있어 철근절곡기의 중량 및 크기를 소형화 하여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들고 다니면서 철근을 용이하게 절곡하여 사용하므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철근이 배근되어진 상태에서 철근을 받치거나 들어줄 필요없이 바로 본 고안의 절곡기를 철근의 배근상태와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작업자로 하여금 제품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3)

  1. 구동모터(31)가 내부에 장착되어진 모터부(30);
    상기 모터부(30)가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31)로 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 본체(10);
    이동이 용이하도록 장치 본체(10)의 일측에 부착되어진 손잡이부(40);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원통형태로 결합되어지되, 그 내부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는 작동축(22)이 장착되어진 작동부(20);
    상기 작동축(22)의 선단에 일체로 구성되어짐으로서 회동시 반원호형상의 궤적을 이루며 철근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27);
    상기 가압로울러(27)에 의한 가압동작시 철근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5a)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작동부(20)의 선단에 결합되어진 받침부(2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철근절곡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모터(31)로 부터 회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12);
    상기 샤프트(12)를 통한 구동력 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13);
    상기 샤프트(12)의 회동을 지지하는 베어링(14)
    상기 샤프트(12)로 부터 회동력을 전달받는 작동축(22)의 위치를 탄성력으로지지하는 코일스프링(24);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철근절곡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31)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철근절곡기.
KR2020010002271U 2001-01-31 2001-01-31 소형 철근절곡기 KR200229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271U KR200229778Y1 (ko) 2001-01-31 2001-01-31 소형 철근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271U KR200229778Y1 (ko) 2001-01-31 2001-01-31 소형 철근절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778Y1 true KR200229778Y1 (ko) 2001-07-19

Family

ID=7309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271U KR200229778Y1 (ko) 2001-01-31 2001-01-31 소형 철근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7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0851A (ja) 鉄筋ベンダー
JP4113718B2 (ja) 手持ち式工具装置用のスイッチ機構
EP0352236A2 (en) Portable pipe-bending minimachine able to be manually - or motor-controlled and including an engaging/automatic disengaging device
JP5975061B2 (ja) カシメ装置及びカシメ方法
EP1069259A3 (en) Concrete finishing trowel having an electronically actuated steering assembly
US6070864A (en) Electric power operated positioning apparatus
KR200229778Y1 (ko) 소형 철근절곡기
EP3381619B1 (en) Reciprocating work machine
JP4995582B2 (ja) マッサージ機
JP3454911B2 (ja) 複合型鉄筋折り曲げ装置
JPH028810B2 (ko)
EP1531436A3 (en) Motor drive device
CN103394615B (zh) 多功能液压钢筋弯曲成型机
JP3446467B2 (ja) 電動式切断曲げ工具または電動式曲げ工具
KR100958016B1 (ko) 철근 밴딩기
KR100343656B1 (ko) 철근 절곡기
KR102538776B1 (ko) 밴딩각도조절이 용이한 밴딩장치
CN211386672U (zh) 一种建筑用钢筋弯折装置
JP2597006Y2 (ja) 鉄筋の端部折曲加工装置
CN2201192Y (zh) 钢筋切、弯两用机
KR950004575Y1 (ko) 철근 절곡기
KR102667921B1 (ko) 전동 스티어링 컬럼 장치
KR200178757Y1 (ko) 파이프밴딩장치
KR200191088Y1 (ko) 다용도 철근 절단기
JPS63148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