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739Y1 -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 Google Patents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739Y1
KR200229739Y1 KR2020010000684U KR20010000684U KR200229739Y1 KR 200229739 Y1 KR200229739 Y1 KR 200229739Y1 KR 2020010000684 U KR2020010000684 U KR 2020010000684U KR 20010000684 U KR20010000684 U KR 20010000684U KR 200229739 Y1 KR200229739 Y1 KR 200229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water
water level
water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2020010000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739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로우트의 부양에 의한 경사회전력을 강화시켜 밸브덮개 상측의 공기개폐공의 밀폐상태를 더욱 강화시킨 양변기 저수조의 볼탭에 관한 것으로,
급수관 연결구에 의해 저수조에 결합되고 배수구에 의해 저수조에 급수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 상단에 결합되는 밸브덮개, 그리고 이 밸브덮개에 힌지결합되어 양변기 저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가 체결된 수위조절대로 구성된 볼탭에 있어서, 상기 밸브덮개에 힌지결합되는 수평방향으로 경사진 2차경사부를 갖는 수위조절대, 상기 2차경사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의 나비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플로우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balltap for water supply tank}
본 고안은 플로우트의 부양에 의해 밸브덮개 상측의 공기개폐공을 밀폐시키는 양변기 저수조의 볼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조절대에 수평방향으로 경사진 2차경사부를 형성하여 플로우트의 부양에 의한 경사회전력을 강화시켜 공기개폐공의 밀폐상태를 더욱 강화시킨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 저수조는 양변기의 오물을 수세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을 저수시키는 수단으로, 외부의 물이 급수관을 통해 저수조 내부로 급수되어 일정수위까지 담수되면, 저수조 내부의 볼탭이 수위변화에 따라 경사회전되면서 공급관의 밸브를 통한 물의 급수가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은 저수조의 정확한 수위조절과 절수를 위한 구조개선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4는 본 출원인에 의한 실용신안등록 제211433호에 기재된 종래의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을 도시한 도면으로, 급수밸브(20)를 통해 저수조로 급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급수밸브(20)의 상단에 밸브덮개(24)가 형성되고 이 밸브덮개(24) 위로 플로우트(35')가 설치된 수위조절대(30')가 힌지결합되었으며, 힌지축이 밸브덮개(24)의 후단쪽에 형성되면서 돌기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밸브덮개(24)및 수위조절대(30')의 중앙으로는 좌우유격을 보정할 수 있는 보조지지대(104) 및 지지홈(105)이 형성되며, 또한 급수된 물이 배출되는 급수밸브(20)의 배수구(26)를 연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대(30')가 이 수위조절대(30') 하부에 형성된 지지홈(105)에 삽입되어 있는 보조지지대(104)에 의해 움직임에 제약을 받고, 상기 수위조절대(30')에 결합된 플로우트(35')가 회전반경이 크지 않으며, 상기 플로우트(35')의 부력을 받는 표면적이 작아 이로 인해 공기개폐공(25)을 단단히 밀폐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수위조절대(30')에 플로우트(35')를 핀(50)으로 고정하여 플로우트(35')의 부양을 억제하는 방식이여서 핀(50)이 헐거워져 빠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위조절대에 2차경사부를 형성하여 이 수위조절대에 결합된 플로우트의 수직부양 범위를 기존보다 크게하여 공기개폐공의 밀폐상태를 강화시킨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의 부분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의 실시예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의 작동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의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급수밸브 22 : 급수관 연결구
23 : 핀고정단 25 : 공기개폐공
30 : 수위조절대 31 : 2차경사부
35 : 플로우트 36 : 상부턱
40 : 나비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은, 급수관 연결구에 의해 저수조에 결합되고 배수구에 의해 저수조에 급수하는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 상단에 결합되는 밸브덮개, 그리고 이 밸브덮개에 힌지결합되어 양변기 저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가 체결된 수위조절대로 구성된 볼탭에 있어서, 상기 밸브덮개에 힌지결합되는 수평방향으로 경사진 2차경사부를 갖는 수위조절대, 상기 2차경사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의 나비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플로우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의 부분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종래 급수밸브(20)의 밸브덮개(24) 상단에 핀고정단(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핀고정단(23)에 나사산이 형성된 2차경사부(31)를 갖는 수위조절대(30)가 힌지결합되고, 이 수위조절대(30)의 2차경사부(31)에 플로우트(35) 및 나비너트(40)가 결합구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덮개(24)에는 보조지지대(10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위조절대(30) 하부에 형성된 지지홈(105)에 삽입되어 수위조절대(30)의 유격이나 떨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대(30)는 수평방향으로 각이 형성된 2차경사부(31)를 갖으며, 이 2차경사부(3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 2차경사부(31)에 결합되는 플로우트(35)는 상부턱(36)의 구멍(37)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2차경사부(31)를 회전하며 상하이동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비너트(40)에 의해 2차경사부(31)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플로우트(35)가 수위조절대(30)에 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나사산이 형성된 수위조절대(30)의 2차경사부(31)에 나비너트(40)와 함께 로크너트방식으로 결합하므로 오랜기간 사용하여도 플로우트(35)가 처음고정위치에서 벗어나 수위조절대(30)의 상하로 이동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2차경사부(31)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원하는 위치에 플로우트(35)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급수관 연결구(22)에 의해 저수조(10)에 체결된 급수밸브(20)는 배수구(26)를 통해 저수조(10)에 급수하고 일정량의 수위에 다다르면 수위조절대(30)의 2차경사부(31)에 결합된 플로우트(35)가 부양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기개폐공(25)을 밀폐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플로우트(35)는 수위조절대(30)의 2차경사부(31)에 결합되어 있어 종래보다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어, 플로우트(35)가 기울어져 있을 때 수평을 이루고자하는 각도(θ)가 종래보다 큰각을 이루며, 플로우트(35)의 부양에 의한 회전력이 종래보다 커 공기개폐공(25)의 밀폐상태를 강화시킬 수 있어 저수조(10)내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확실히 차단시킬 수 있다.
아울러, 플로우트(35)의 부양에 의한 회전력이 종래보다 커 절수를 위해 상기 플로우트(35)를 2차경사부(31)의 하단부에 위치시켜도 종래와 달리 공기개폐공(25)의 밀폐상태를 양보하게 유지할 수 있어, 벽돌 등과 같이 별도의 무겁고 부피가 큰 물건을 저수조(10)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위조절대에 2차경사부를 형성하여 이 수위조절대에 결합된 플로우트의 수직부양 범위를 기존보다 크게하여 공기개폐공의 밀폐상태를 강화할 수 있고, 저수조에 적게 급수하여도 저수조에 공급되는 급수를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양변기 저수조용 볼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급수관 연결구(22)에 의해 저수조(10)에 결합되고 배수구(26)에 의해 저수조(10)에 급수하는 급수밸브(20), 상기 급수밸브(20) 상단에 결합되는 밸브덮개(24), 그리고 이 밸브덮개(24)에 힌지결합되어 양변기 저수조(10)의 수위를 조절하는 플로우트가 체결된 수위조절대로 구성된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에 있어서,
    상기 밸브덮개(24)에 힌지결합되는 수평방향으로 경사진 2차경사부(31)를 갖는 수위조절대(30), 상기 2차경사부(31)에 결합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의 나비너트(40)에 의해 고정되는 플로우트(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KR2020010000684U 2001-01-11 2001-01-11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KR200229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84U KR200229739Y1 (ko) 2001-01-11 2001-01-11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684U KR200229739Y1 (ko) 2001-01-11 2001-01-11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739Y1 true KR200229739Y1 (ko) 2001-07-19

Family

ID=7306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684U KR200229739Y1 (ko) 2001-01-11 2001-01-11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7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16A (ko) * 2001-01-16 2001-06-05 이미경 양변기 저소음 자동 볼탑
KR101050857B1 (ko) * 2010-12-14 2011-07-20 한국농어촌공사 무동력 균등분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16A (ko) * 2001-01-16 2001-06-05 이미경 양변기 저소음 자동 볼탑
KR101050857B1 (ko) * 2010-12-14 2011-07-20 한국농어촌공사 무동력 균등분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5977A1 (en) Drain valve
KR200210369Y1 (ko) 2개 이상의 토출구를 갖는 플로트밸브가 구비된자동수위조절장치
KR200229739Y1 (ko)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US6666228B1 (en) Ball cock assembly
KR100953175B1 (ko) 변기 소음 감소 장치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CN201068407Y (zh) 排水口的浮动拍门装置
KR200316366Y1 (ko)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CN205424048U (zh) 可调式延时进水阀
KR20160050205A (ko) 양변기의 물공급 제어장치
KR100394508B1 (ko) 절수형 욕조
KR20016853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060022502A (ko) 논물 수위조절장치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100391377B1 (ko) 절수형 욕조
JP3007503U (ja) 水洗トイレの節水装置
JP2801978B2 (ja) 貯水槽用ボールタップ
KR200417189Y1 (ko) 수조의 배수구 개폐장치
KR200200959Y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KR900003863Y1 (ko) 절수식 양변기용 구동장치
KR200230778Y1 (ko) 에어핀
KR200405852Y1 (ko) 차집거우수토실 자동차단 밸브
KR200229787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JP3057019U (ja) ボールタップ用水位調整機能付き浮き玉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