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027Y1 - 배터리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027Y1
KR200229027Y1 KR2020000030440U KR20000030440U KR200229027Y1 KR 200229027 Y1 KR200229027 Y1 KR 200229027Y1 KR 2020000030440 U KR2020000030440 U KR 2020000030440U KR 20000030440 U KR20000030440 U KR 20000030440U KR 200229027 Y1 KR200229027 Y1 KR 200229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chassis
contac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0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027Y1/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배터리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한 단자의 변형등을 막기 위해 배터리(40)는 배터리샤시(20)에 일체로 성형된 스토퍼(26,26')로 지지하고, 배터리(40)와 단자(25,30) 사이의 접촉을 위한 밀착력은 (-)단자(30)의 탄성력으로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자(30)의 접촉돌부(34)를 상기 스토퍼(26,26')보다는 약간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배터리샤시(20)의 상부를 폐쇄하는 샤시커버(24)를 배터리샤시(20)에 체결함에 의해 배터리(40)를 상기 (-)단자(30)에 밀착시켜 단자(25,30)와 배터리(40) 사이의 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지지구조{A battery supporting structure}
본 고안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배터리샤시 내부에 지지하는 배터리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제품이 대중화되면서 전자제품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전자제품 내에 수납되어 설치된다. 도 1에는 이와 같이 휴대용 전자제품 등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장치의 내부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배터리샤시(1)의 내부에는 배터리(7)가 수납된다. 상기 배터리샤시(1)의 내부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2)가 상기 배터리샤시(1)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2)는 별도의 잠금 구조에 의해 상기 배터리샤시(1)에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2)의 하면이 상기 배터리(7)를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2)의 하면에는 상기 배터리(7)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샤시(1)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7)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3)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3)는 상기 배터리샤시(1)의 내부에 단자고정리브(5,5')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단자(3)에는 형상의 특성상 탄성을 가지는 접촉돌기(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배터리장치에서는 상기 배터리샤시(1)의 내부에 배터리(7)가 삽입되고, 상기 커버(2)가 배터리샤시(1)에 체결되어 잠기면서 배터리(7)를 눌러주도록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단자(2')와 (-)단자(3)가 상기 배터리(7)의 각각 대응되는 단자에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 상기 (+)단자(2')와 (-)단자가 밀착되어 접촉되게 하는 힘은 상기 (-)단자(3)의 접촉돌기(4)가 가지는 탄성력뿐이었다. 따라서 전자제품에 순간적으로 큰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배터리(7)가 관성에 의해 상기 (-)단자(3)의 접촉돌기(4)쪽으로 밀리면서 (-)단자(3)에 큰 힘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접촉돌기(4)의 탄성력의 크기가 달라지면서 상기 배터리(7)와 (+)단자(2') 및 (-)단자(3) 사이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7)와 단자(2',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불량하게 되어 전자제품의 동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충격을 대비하여 상기 접촉돌기(4)의 탄성력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사용자가 상기 커버(2)를 닫을 때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장치의 내부에서 배터리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불의의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착탈이 보다 원활하게 되는 배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배터리 지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지지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배터리샤시 22: 수납공간
24: 샤시커버 24': 힌지
25: (+)단자 26,26': 스토퍼
28,28': 단자고정리브 30: (-)단자
32, 32': 단자레그 34: 접촉돌부
40: 배터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배터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배터리샤시와, 상기 배터리의 하단을 지지하여 수납공간내에서의 배터리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보다 상부로 소정 높이 탄성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단자와, 상기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배터리샤시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단자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눌러주는 샤시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샤시커버에는 별도의 단자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지지구조에 의하면 외부의 충격이 배터리장치에 가해지더라도 배터리가 움직이지 않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자의 구성이 변하지 않아 배터리와 단자 사이의 접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최초의 설계시에 단자의 탄성을 지나치게 크게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지지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배터리샤시(20)의 내부에는 배터리(4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수납공간(22)이 설치된다. 상기 수납공간(22)은 샤시커버(2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데, 상기 샤시커버(24)는 상기 수납공간(22)을 폐쇄할 때 상기 배터리샤시(20)에 별도의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시커버(24)가 힌지(24')를 중심으로 개폐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샤시커버(24)에는 (+)단자(25)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25)는 배터리(40)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샤시(20)의 수납공간(22)의 내부 하단에는 스토퍼(26,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6,26')는 상기 배터리(40)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샤시커버(24)가 닫혔을 때 그 하면에서부터의 거리가 상기 배터리(4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토퍼(26,26')는 상기 배터리(40)를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22)의 하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30)의 고정을 위한 단자고정리브(28,28')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공간(22)의 하부에는 (-)단자(30)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30)는 그 양단부에 상기 단자고정리브(28,28')에의 고정을 위한 단자레그(32,32')가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배터리(40)의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돌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30)는 상기 단자레그(32,32')가 단자고정리브(28,28')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접촉돌부(34)가 상기 스토퍼(26,26')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위치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접촉돌부(34)가 상기 배터리(40)에 의해 눌러지면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배터리(40)를 상부로 밀어 배터리(40)와 단자(25,30)사이의 접촉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배터리 지지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배터리샤시(20)의 수납공간(22)에 배터리(4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샤시커버(24)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40)를 상기 수납공간(22)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수납공간(22)의 내부로 삽입되면, 그 하단부가 상기 (-)단자(30)의 접촉돌부(34) 상에 먼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샤시커버(24)를 닫아서 상기 배터리샤시(20)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샤시커버(24)에 의해 상기 배터리(40)가 눌러지면서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단자(30)를 눌러서 탄성변형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단자(3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지지되면서 상기 샤시커버(24)의 (+)단자(25)와 (-)단자(30)와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40)의 하단부는 상기 스토퍼(26,26')에 의해 지지되어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26,26')는 상기 배터리샤시(2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수납공간(22)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단자(25)와 (-)단자(30)의 접촉을 위한 탄성력은 (-)단자(30)가 제공하고 배터리(40)의 지지를 위한 지지력은 스토퍼(26,26')가 제공하도록 역할을 분담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단자(30)의 탄성력이 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 지지구조는 배터리를 배터리샤시에 설치함에 있어서, 배터리의 지지는 스토퍼가 수행하고 배터리와단자들 과의 접촉을 위한 탄성력은 (-)단자가 제공하도록 하였으므로, 외부에서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배터리가 배터리샤시 내에서 유동되지 않아므로, 배터리의 유동에 의한 (-)단자의 소성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단자의 소성변형이 방지되므로 설계시에 설정된 상기 (-)단자의 탄성력이 항상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력을 내충격성 테이스를 위해 미리 일정값 이상으로 세게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샤시커버(24)를 개폐하는데 상대적으로 큰 힘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배터리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배터리샤시와,
    상기 배터리의 하단을 지지하여 수납공간내에서의 배터리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보다 상부로 소정 높이 탄성을 가지고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단자와,
    상기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배터리샤시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를 상기 단자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눌러주는 샤시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커버에는 별도의 단자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지지구조.
KR2020000030440U 2000-10-31 2000-10-31 배터리 지지구조 KR200229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40U KR200229027Y1 (ko) 2000-10-31 2000-10-31 배터리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40U KR200229027Y1 (ko) 2000-10-31 2000-10-31 배터리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027Y1 true KR200229027Y1 (ko) 2001-07-19

Family

ID=7305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440U KR200229027Y1 (ko) 2000-10-31 2000-10-31 배터리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0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59472B2 (ja) 電池パック
US20070046257A1 (en) Electrical device
KR200229027Y1 (ko) 배터리 지지구조
US6807067B2 (en) Battery-Locking mechanism
KR1010341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장착구조
JPH11127231A (ja) 移動電話機用交流充電器
KR200286625Y1 (ko) 데스크 충전기의 바테리 팩 록킹장치
KR200176225Y1 (ko) 배터리 커버 개폐장치
KR200258809Y1 (ko) 휴대용단말기의로킹장치
JP3122392U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KR970004567Y1 (ko) 무선 전화기의 충전구조
KR20023760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를 이용한 전자기기의전원공급장치
KR200213234Y1 (ko) 무선전화기 충전용 거치대의 인쇄회로기판 조립구조물
KR0116377Y1 (ko)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KR20020010027A (ko)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19990039215U (ko) 차량용 충전기의 휴대폰 착탈장치
KR200308186Y1 (ko) 휴대용단말기의플립장치
KR20040044568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셀 타입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00001026U (ko) 무선전화기용 배터리의 충전구조
KR200214732Y1 (ko) 단말기의 일체형 보조 배터리 팩
KR20040039721A (ko) 내장형 배터리락커장치
JP2635233B2 (ja) 蓄電池
JP3119167U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JPS6216743Y2 (ko)
JPH08315794A (ja) 充電器の電池パック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