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576Y1 -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576Y1
KR200228576Y1 KR2020000036426U KR20000036426U KR200228576Y1 KR 200228576 Y1 KR200228576 Y1 KR 200228576Y1 KR 2020000036426 U KR2020000036426 U KR 2020000036426U KR 20000036426 U KR20000036426 U KR 20000036426U KR 200228576 Y1 KR200228576 Y1 KR 200228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st
reinforcing member
steel
steel hous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피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피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피엠에스
Priority to KR2020000036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576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강 등과 같은 스틸재(steel)로 집을 지을 경우 바닥, 지붕 등에 사용되는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스틸 하우스의 서까래, 바닥재 등과 같이 수직 하중을 받는 위치에 조이스트가 다수 직립 설치되고, 상기 조이스트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연결된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트(28)의 웨브에는 다수의 설치공(28a)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에는 상기 보강부재(30)가 통과하여 조립되어 있으므로, 보강부재의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structure for jointing a reinforcing member for a steel house}
본 고안은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형강 등과 같은 스틸재(steel)로 집을 지을 경우 바닥, 지붕 등에 사용되는 스틸재 하우스용 조이스트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재로 집을 지을 경우에는 콘크리트 등으로 기초를 세운 후 봉상 또는 각형의 스틸재 지주로 벽체를 만들고, 상기 벽체 사이에 2층 바닥재를 설치하고 지붕 트러스를 설치하여 제작하게 된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10) 및 2층 바닥재(11)에 직립 방향으로 다수의 스틸재 지주(12)가 세워져 벽체(13)가 제작되고, 상기 지주(12)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수평 지주(14)를 설치하며, 최상부에 서까래(15) 및 지붕(16)을 설치하여 스틸 하우스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벽체(13)에는 문 또는 창문을 설치하는 헤더(17)가 다수 제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바닥재(11), 지붕의 서까래(15)등에는 강성 향상을 위해 'ㄷ' 단면 형태의 강재인 조이스트(18)가 사용된다.
상기 조이스트(18)는 수평지주(14)와 수평지주(14) 사이, 또는 수평지주(14)와 지주(12)(수직방향) 사이, 또는 수평지주(14)와 바닥재(11) 등 사이에 용접등으로 결합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이스트(18)와 조이스트(18) 사이에는 조이스트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보강부재(20)가 조인트 브라켓(22)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브라켓(22)은 앵글형태로서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에 체결부재(24)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브라켓(22)은 그 일측 플랜지는 상기 조이스트(18)의 웨브에 밀착되고 그 타측 플랜지는 상기 부강부재(20)의 웨브에 밀착하여 상기 체결부재(24)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이스트(18)의 웨브에는 전기배선 및 배관을 위한 관통구멍(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에 의하면, 조인트 브라켓(22)을 사용하여 보강부재(20)를 각 조이스트(18) 사이에 체결 고정하므로 보강부재의 설치작업 및 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이스트의 보강부재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배선 및 배관용 구멍이 불필요한 스틸 하우스용 보강부재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스틸재 하우스의 골조상태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2는 종래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는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보강부재 연결부의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재 연결부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8 : 조이스트 28a : 설치공
30 : 보강부재 32 : 리브
34, 34' : 체결부재 38, 40 : 홈띠
본 고안에 의한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에 의하면, 스틸 하우스의 서까래, 바닥재 등과 같이 수직 하중을 받는 위치에 조이스트가 다수 직립 설치되고, 상기 조이스트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연결된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트의 웨브에는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에는 상기 보강부재가 통과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공의 내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리브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리브에 체결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조이스트는 약 0.8mm~2.0mm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강성을 높이도록 다수의 홈띠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까래, 바닥재 등과 같이 수직 하중을 받는 위치에 직립설치되는 다수의 조이스트(28)의 웨브에는 설치공(28a)이 정렬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28a)에는 보강부재(30)가 통과하여 조립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28a)의 내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리브(3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리브(32)에 체결부재(34)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조이스트(28)는 두께가 약 0,8mm ~ 2.0mm 정도인 강판으로 'ㄷ' 단면 형태로 되어 있되, 그 플랜지의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려진 절곡부(36)(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이스트(28)의 플랜지에는 조이스트의 길이방향으로 홈띠(38)가 형성되어 있고, 조이스트(28)의 웨브에는 조이스트의 높이방향으로 홈띠(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띠(38)(40)는 조이스트의 내측으로 돌출된 엠보스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홈띠(38)(40)는 조이스트의 강성을 높이므로 얇은 강판의 조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조이스트의 재료비용을 줄이며 조이스트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조이스트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홈띠(40)는 수직방향의 하중에 의해 견디는 힘을 높이므로 상기 설치공(28a)으로 인한 강성의 저하를 보상한다. 그리고, 조이스트의 플랜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띠(38)는 수직방향의 하중에 대해 플랜지가 변형되거나 처짐을 방지한다.
상기 설치공(28a)는 대체로 사각형으로 조이스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30)가 통과하고 남는 공간에는 배선용 전선 및 배관용 파이프를 통과시켜 배선 및 배관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선 및 배관용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설치공(28a)은 조이스트(28)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28a)에 형성된 리브(32)는 조이스트(28)의 강성을 높이는 역활도 한다. 상기 리브(32)는 사각형 구멍의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28a)은 사각형의 장공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강부재(30)를 4 모서리로 다양하게 이동시켜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배선용 전선 및 배관용 파이프도 다양한 위치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조이스트(38)와 유사한 형상의 단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34)는, 보강부재(30)의 웨브(42)와 수직방향(도3을 기준)으로 형성된 리브에만 체결될 수도 있으나,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부재(30)의 플랜지(44)와, 수평방향(도3을 기준)으로 형성된 리브에 체결된 체결부재(34')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재(34)는 볼트 및 너트나, 세트 스크류 등의 나사부재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에 의하면, 별도의 조인트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강부재의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 및 시공이 용이하다.
그리고, 얇은 강판을 사용하면서도 조이스트의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재료비가 절감되며 중량이 경감된다.
또한,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설치공을 통해 전선과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배선 및 배관을 위한 별도의 구멍이 불필요하므로 배선작업 및 배관작업이 용이하다.

Claims (3)

  1. 스틸 하우스의 서까래, 바닥재 등과 같이 수직 하중을 받는 위치에 조이스트가 다수 직립 설치되고, 상기 조이스트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연결된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트의 웨브에는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에는 상기 보강부재가 통과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 보강부재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의 내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리브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리브에 체결부재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트는 약 0.8mm~2.0mm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강성을 높이도록 다수의 홈띠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 보강부재의 연결구조.
KR2020000036426U 2000-12-26 2000-12-26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 KR200228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26U KR200228576Y1 (ko) 2000-12-26 2000-12-26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26U KR200228576Y1 (ko) 2000-12-26 2000-12-26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576Y1 true KR200228576Y1 (ko) 2001-06-15

Family

ID=7308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426U KR200228576Y1 (ko) 2000-12-26 2000-12-26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5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479A (en) Premanufactured structural building panels
US4205497A (en) Building with a frame or skeleton structure
AU731914B2 (en) Floor joist and support system therefor
CA2464189A1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s and methods
CN101198755A (zh) 预制的通用结构钢板及板系统
JP7348363B2 (ja) 断熱構造及び建物
US20040255535A1 (en) Multi-purpose construction assembly and method
KR200228576Y1 (ko) 스틸 하우스용 조이스트의 보강부재 연결구조
JP3854106B2 (ja) 木造住宅の建築方法
JP3886750B2 (ja) 木造住宅の建築方法
WO1995009954A1 (en) Structural member and building structures
US4843779A (en) Strap anchor for metal stud/brick veneer wall construction
CA2420736C (en) Top track for metal stud walls
JP2892987B2 (ja) バルコニーの構造
WO2003004786A2 (en) Structural apparatus and method
JP2544985Y2 (ja) 建物ユニット
JPH08291555A (ja) バルコニー手摺壁支持構造
KR101674561B1 (ko) 강구조 건축물용 건식 상부층 평슬라브 시공 방법
JP2024053004A (ja) 設置構造及び設置構造の施工方法
KR20210041309A (ko) 징크패널 지붕 결합보강 겸용 태양광패널 고정 브라켓 장치
AU736249B2 (en) Floor joist system and support member therefor
JP6415194B2 (ja) 隙間の屋根構造
KR200220925Y1 (ko) 경량패널용 받침레일
GB2595749A (en) A floor system
AU736653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jo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