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289Y1 -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289Y1
KR200228289Y1 KR2020010000436U KR20010000436U KR200228289Y1 KR 200228289 Y1 KR200228289 Y1 KR 200228289Y1 KR 2020010000436 U KR2020010000436 U KR 2020010000436U KR 20010000436 U KR20010000436 U KR 20010000436U KR 200228289 Y1 KR200228289 Y1 KR 200228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ise
call
microphon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호
신영호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서원호
김상훈
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호, 김상훈, 신영호 filed Critical 서원호
Priority to KR2020010000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289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전화기/이동단말기 등을 통한 음성통화시 주변잡음에 의한 통화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이는 국선/무선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가청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와 통화자의 송신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음성통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기기기는 통화시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마이크로폰과, 상기 스피커와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성통화시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감지하여 수신음의 출력레벨을 조정함과 아울러 송신음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주변잡음 보상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화기/이동단말기를 통한 음성통화시 통화지의 주변잡음을 감지하여 수신음의 출력레벨을 조정함과 아울러 통화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송신음의 잡음성분을 간단히 제거(소거)하여 주변잡음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되는 통화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Noise Compensating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은 전화기/이동단말기 등 음성통화기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기/이동단말기 등을 통한 음성통화시 주변잡음에 의한 통화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에 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전화기는 거의 모든 사무실과 가정에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사무실의 경우 복잡한 업무처리 과정중 전화기를 사용하는 비율이 상당이 높다. 또한, 사무실내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전화통화를 하게 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통화지 주변에서 발생되는 타인의 통화음이나 이동간에 발생되는 소음등 주변잡음 때문에 이용자는 전화통화를 원활이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국선이나 전화기 자체의 기술적 문제보다는 이러한 외부환경에 의한 통화장애가 더욱 문제시 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최근에는 이동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동단말기의 특성상 가정이나 사무실 보다는 대로변이나 운행중인 차량 등 주변잡음이 많은 외부에서 전화통화를 빈번히 하게 된다.
따라서, 통화자는 이러한 주변잡음 때문에 통화를 원활히 할 수 없게 되며, 통화음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 수조작을 통해 이동단말기의 볼륨을 키우거나, 목소리를 높여서 통화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기/이동단말기를 통한 음성통화시 주변잡음을 감지하여 수신음의 출력레벨을 조정함과 아울러 송신음의 잡음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전화기/이동단말기의 통화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가 일반 전화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통신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가 이동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변잡음 보상회로(6)의 내부구성을 간략이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신레벨조정부(6a)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송신잡음소거부(6b)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8 : 스피커, 3, 9 : 제1 마이크로폰,
4, 10 : 제2 마이크로폰, 6 : 주변잡음 보상회로,
6a : 수신레벨조절부, 6b : 송신잡음소거부,
20 : A/D변환부, 30 : 증폭비결정부,
40 : 제1 증폭부, 50 : 제2 증폭부,
60 : 제3 증폭부, 41 : 디지털가변저항(RV),
61 : 가변저항(RV).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는 국선/무선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가청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와 통화자의 송신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음성통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기기는 통화시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마이크로폰과, 상기 스피커와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성통화시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감지하여 수신음의 출력레벨을 조정함과 아울러 송신음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주변잡음 보상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화기/이동단말기 등을 통한 음성통화시 주변잡음에 의한 통화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가 일반 전화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에서 송수화기(1)는 전기적 신호를 가청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2)와 통화자의 음성신호(주변잡음 포함)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마이크로폰(3) 및 통화시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마이크로폰(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국선과 상기 송수화기(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화기본체(5)는 음성통화시 주변잡음을 감지하여 수신음의 출력레벨을 조정함과 아울러 송신음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후술할 주변잡음 보상회로(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2),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3,4)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도선(L1,L2,L3)을 통해 상기 주변잡음 보상회로(6)에 접속된다.
그리고, 도 1에서 상기 주변잡음 보상회로(6)는 전화기본체(5)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를 상기 송수화기(1)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마이크로폰(4)은 통화시 주변잡음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송수화기(1) 내측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를 송수화기(1) 외측이나 전화기본체(5)의 내측/외측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통신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가 이동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서 이동단말기본체(7)는 전기적 신호를 가청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8),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마이크로폰(9), 통화시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마이크로폰(10) 및 음성통화시 주변잡음을 감지하여 수신음의 출력레벨을 조정함과 아울러 송신음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주변잡음 보상회로(6)를 이동단말기의 내부 일측에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8),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9,10)은 도 2에서와 같이 각각 도선(L4,L5,L6)를 통해 상기 주변잡음 보상회로(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마이크로폰(10)이 이동단말기본체(7)의 외측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주변잡음 보상회로(6)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각 전화기본체(2)와 이동단말기본체(7)의 내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은 상기 주변잡음 보상회로(6)의 내부구성을 간략이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서 RSIG는 주변잡음 보상회로(6)로 입력되는 제1 수신음신호, ROUT는 출력레벨이 조정된 제2 수신음신호, NSIG는 전화통화지에서 발생되는 원(原)주변잡음이고,는 제2 마이크로폰(4,10)를 통해 주변잡음 보상회로(6)로 입력되는 주변잡음신호, SSIG+NSIG는 스피커(2,8)를 통해 주변잡음 보상회로(6)로 입력되는 제1 송신음신호, SOUT는 잡음성분이 제거(소거)된 제2 송신음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변잡음신호()는 음성통화시 제2 마이크로폰(4,10)으로 원주변잡음(NSIG)은 물론 통화자의 송신음(SSIG)이 동시에 입력되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이때, n값은 제1 마이크로폰(3,9)과 제2 마이크로폰(4,10)의 사이거리 및 설치방향에 따라 제2 마이크로폰(4,10)으로 입력되는 통화자의 송신음(SSIG) 레벨에 차이가 있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예컨대, n값이 크면 제1 마이크로폰(3,9)과 제2 마이크로폰(4,10)의 사이거리가 먼 경우이고, n값이 작으면 그 사이거리가 가까운 경우이다.
또한, 상기 제1 송신음신호(SSIG+NSIG)는 제1 마이크로폰(3,9)으로 통화자의 송신음(SSIG)은 물론 원주변잡음(NSIG)이 동시에 입력되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잡음 보상회로(6)는 주변잡음신호()를 근거로 제1 수신음신호(RSIG)의 출력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신레벨조절부(6a)와, 제1 송신음신호(SSIG+NSIG)에서 원주변잡음(NSIG)을 제거(소거)하기 위한 송신잡음소거부(6b)로 구성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주변잡음 보상회로(6)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수신레벨조정부(6a)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즉, 도 4에서 상기 수신레벨조정부(6a)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20)와, 상기 A/D변환부(2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그 출력신호레벨을 근거로 후술하는 제1 증폭부(40)의 증폭비를 조절하는 증폭비결정부(30)와, 상기 증폭비결정부(30)에 의해 결정된 증폭비에 따라 상기 제1 수신음신호(RSIG)을 소정 비율로 증폭하여 제2 수신음신호(ROUT)를 출력하는 제1 증폭부(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4에서 상기 제1 증폭부(40)는 상기 제1 수신음신호(RSIG)가 디지털가변저항(Rv)(41)을 통해 OP앰프(42)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고, 상기 OP앰프(41)의 비반전입력단(+)은 접지단에 접속되며, 상기 OP앰프(42)의 반전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는 궤환저항(R1)이 접속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가변저항(Rv)(41)은 상기 증폭비결정부(30)에 의해 결정된 소정 증폭비에 따라 그 저항값이 가변적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A/D변환부(20)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4,10)으로부터 상기 제2 주변잡음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 레벨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폭비결정부(30)는 내부에 레지스터(resister)(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상기 A/D변환부(20)의 출력신호레벨과 비교할 수 있는 소정 기본값을 저장하여 상기 A/D변환부(20)의 출력신호레벨이 더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증폭부(40)의 증폭비가 높게 설정되고, 그 출력신호레벨이 더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증폭부(40)의 증폭비가 낮게 설정되도록 상기 디지털가변저항(RV)(41)의 저항값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폭비결정부(30)의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소정 기본값은 상기 A/D변환부(20)의 다음 출력신호레벨과 비교를 위해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출력신호레벨값으로 업데이트(Update)된다.
도 5는 상기 송신잡음소거부(6b)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즉, 도 5에서 상기 송신잡음소거부(6b)는 상기 주변잡음신호()와 제1 송신음신호(SSIG+NSIG)를 입력받아 그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2 증폭부(50)와, 상기 제2 증폭부(50)의 출력단(OUT1)에 접속되어 이를 소정 비율로 증폭하여 제2 송신음신호(SOUT)를 출력하는 제3 증폭부(6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5에서 상기 제2 증폭부(50)는 상기 주변잡음신호()가 저항(R2)을 통해 OP앰프(51)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고, 상기 제1 송신음신호(SSIG+NSIG)가 저항(R3)를 통해 상기 OP앰프(51)의 비반전입력단(+)에 입력되며, 상기 OP앰프(51)의 비반전입력단(+)과 저항(R3)의 접속노드는 저항(R4)를 통해 접지되고, 상기 OP앰프(41)의 반전입력단(-)과 출력단(OUT1) 사이에는 궤환저항(R5)이 접속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증폭부(5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차동증폭기(Difference Amplifier)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증폭부(50)내 저항(R2∼R5)의 저항값이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면, 상기 제2 증폭부(50)의 출력단(OUT1)으로는 상기 주변잡음신호()와 상기 제1 송신음신호(SSIG+NSIG)의 차전압이 출력되게 된다.
도 5에서 상기 제3 증폭부(60)는 상기 제2 증폭부(50)의 출력단(OUT1)이 가변저항(Rv)(61)을 통해 OP앰프(62)의 반전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OP앰프(62)의 비반전입력단(+)은 접지단에 접속되며, 상기 OP앰프(62)의 반전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는 궤환저항(R6)이 접속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저항(Rv)(61)은 상기 제3 증폭부(60)의 출력신호인 제2 송신음신호(SOUT)가 통화자의 원래 송신음(SSIG) 신호레벨과 일치되도록 그 저항값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며, 그 저항값은 상기 주변잡음신호()의 상술한 n값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상기 n값은 본 고안에 따라 전화기/이동단말기에 구비되는 제1 마이크로폰(3,9)과 제2 마이크로폰(4,10)의 사이거리 및 설치방향 등 전화기/이동단말기의 물리적 구조가 제품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공장출하시 미리 셋팅(Setting)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화기/이동단말기의 통화접속이 이루어진 후, 국선/무선망을 통해 전송된 통화상대방의 음성신호인 제1 수신음신호(RSIG)는 전화기/이동단말기의 내부회로(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주변잡음 보상회로(6)내 수신레벨조절부(6a)로 입력됨과 아울러 도 1 또는 도 2의 제2 마이크로폰(4,10)을 통해 주변잡음신호()가 수신레벨조절부(6a)로 입력되게 된다.
이때, 주변잡음신호()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A/D변환부(20)를 통해 소정 레벨의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증폭비결정부(30)로 전송되고, 증폭비결정부(30)는 A/D변환부(20)의 출력신호레벨과 내부 레지스터(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기본값을 비교하여 디지털가변저항(RV)(41)의 저항값을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제1 증폭부(40)내 OP앰프(42)는 디지털가변저항(RV)(41)과 저항(R1)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증폭이득에 따라 증폭된 제2 수신음신호(ROUT)을 출력하여 도 1 또는 도 2의 스피커(2,8)로 전송하게 되는 바, 통화자는 전화통화지의 주변잡음에 따라 출력레벨이 조절된 제2 수신음신호(ROUT)을 듣게 된다.
한편, 통화자의 음성과 전화통화지의 주변잡음은 도 3의 송신잡음소거부(6b)를 통해 잡음성분이 제거(소거)된 후, 전화기/이동단말기의 내부회로를 거쳐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즉, 통화자의 음성과 전화통화지의 주변잡음은 각각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제1 마이크로폰(3,9)과 제2 마이크로폰(4,10)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송신잡음소거부(6b)의 두 입력단으로 전송된다.
이때, 도 5에서 송신잡음소거부(6b)내 제2 증폭부(50)는 제1 마이크로폰(3,9)으로부터 전송된 제1 송신음신호(SSIG+NSIG)와 제2 마이크로폰(4,10)으로부터 전송된 주변잡음신호()의 차신호()를 그 출력단(OUT1)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증폭부(50)내 구비된 저항(R2∼R5)은 모두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을 이용하게 된다.
이후, 제2 증폭부(50)의 출력신호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3 증폭부(60)로 전송되고, 제3 증폭부(60)는 가변저항(RV)(61)과 저항(R6)에 의해 결정되는 증폭이득에 따라 소정 비율로 증폭되어 제2 송신음신호(SOUT)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증폭부(60)내 OP앰프(62)는 주지된 바와 같이 그 증폭이득이로 설정되는 바, 증폭이득이이 되도록 가변저항(RV)(61)의 저항값을 설정하여, 제2 송신음신호(SOUT)로 통화자의 원래 송신음(SSIG)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변저항(RV)(61)의 저항값은 상술한 것처럼 해당 제품의 물리적 구조를 고려하여 공장출하시 미리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과정에 의해 송신잡음소거부(6b)내 제2 증폭부(50)는 음성통화시 전화통화지의 주변잡음을 제거(소거)하고, 제3 증폭부(60)는 통화자의 원래 송신음(SSIG)을 출력하여 전화기/이동단말기의 내부회로로 전송하며, 이는 국선/무선망을 통해 통화 상대방의 전화기/이동단말기로 전송된다.
즉,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화기/이동단말기의 통화접속이 이루어진 후, 국선/무선망을 통해 전송된 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전화통화지의 주변잡음에 따라 그 출력레벨이 조절되어 전화기/이동단말기의 스피커로 출력되고, 통화자의 음성과 전화통화지의 주변잡음은 제거(소거)된 후, 전화기/이동단말기의 내부회로를 거쳐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됨으로써 음성통화시 주변잡음에 의한 통화곤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선/무선의 전화기와 이동단말기를 통한 음성통화시 통화지의 주변잡음을 감지하여 수신음의 출력레벨을 조정함과 아울러 통화상대방에게 전송되는 송신음의 잡음성분을 간단히 제거(소거)하여 주변잡음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되는 통화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국선/무선망을 통해서 전송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가청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2,8)와 통화자의 송신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마이크로폰(3,9)을 구비하는 음성통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기기기는 통화시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제2 마이크로폰(4,10)과,
    상기 스피커(2,8)와 제1 마이크로폰(3,9) 및 제2 마이크로폰(4,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음성통화시 상기 제2 마이크로폰(4,10)을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감지하여 수신음의 출력레벨을 조정함과 아울러 송신음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주변잡음 보상회로(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잡음 보상회로(6)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4,10)을 통해 입력되는 주변잡음을 근거로 수신음의 출력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신레벨조절부(6a)와, 송신음에서 주변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송신잡음소거부(6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RSIG는 상기 주변잡음 보상회로(6)로 입력되는 제1 수신음신호, ROUT는 출력레벨이 조정된 제2 수신음신호,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4,10)를 통해 주변잡음 보상회로(6)로 입력되는 주변잡음신호인 경우,
    상기 수신레벨조정부(6a)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4,10)으로부터 상기 주변잡음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소정 레벨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20),
    상기 제1 수신음신호(RSIG)을 소정 비율로 증폭하여 제2 수신음신호(ROUT)를 출력하는 제1 증폭부(40),
    상기 A/D변환부(20)와 상기 제1 증폭부(40)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A/D변환부(20)의 출력신호레벨을 근거로 상기 제1 증폭부(40)의 증폭비를 조절하는 증폭비결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부(40)는 상기 증폭비결정부(30)에 의해 결정된 소정 증폭비에 따라 그 저항값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디지털가변저항(Rv)(4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증폭부(40)의 증폭이득은 상기 디지털가변저항(Rv)(41)의 저항값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비결정부(30)는 내부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A/D변환부(20)의 출력신호레벨과 비교할 수 있는 소정 기본값을 저장하여 상기 A/D변환부(20)의 출력신호레벨이 더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증폭부(40)의 증폭비가 높게 설정되고, 그 출력신호레벨이 더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증폭부(40)의 증폭비가 낮게 설정되도록 상기 디지털가변저항(RV)(41)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비결정부(30)의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상기 기본값은 상기 A/D변환부(20)의 다음 출력신호레벨과 비교를 위해 바로 전에 입력되었던 출력신호레벨값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4,10)를 통해 주변잡음 보상회로(6)로 입력되는 주변잡음신호, SSIG+NSIG는 상기 스피커(2,8)를 통해 주변잡음 보상회로(6)로 입력되는 제1 송신음신호, SOUT는 잡음성분이 제거(소거)된 제2 송신음신호인 경우,
    상기 송신잡음소거부(6b)는 상기 주변잡음신호()와 상기 제1 송신음신호(SSIG+NSIG)를 입력받아 그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2 증폭부(50),
    상기 제2 증폭부(50)의 출력단(OUT1)에 접속되어 이를 소정 비율로 증폭하여 상기 제2 송신음신호(SOUT)를 출력하는 제3 증폭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증폭부(60)는 상기 제2 송신음신호(SOUT)가 통화자의 원래 송신음(SSIG) 신호레벨과 일치되도록 그 저항값이 설정되는 가변저항(Rv)(61)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증폭부(60)의 증폭이득은 상기 가변저항(Rv)(61)의 저항값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KR2020010000436U 2001-01-08 2001-01-08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KR200228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36U KR200228289Y1 (ko) 2001-01-08 2001-01-08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36U KR200228289Y1 (ko) 2001-01-08 2001-01-08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289Y1 true KR200228289Y1 (ko) 2001-06-15

Family

ID=7306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436U KR200228289Y1 (ko) 2001-01-08 2001-01-08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2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928A (ko) * 2001-08-18 200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측에서 잡음제거 방법
KR101107213B1 (ko) * 2009-12-30 2012-01-25 주식회사 테스콤 소음 및 진동 유입 방지용 측정 전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928A (ko) * 2001-08-18 200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측에서 잡음제거 방법
KR101107213B1 (ko) * 2009-12-30 2012-01-25 주식회사 테스콤 소음 및 진동 유입 방지용 측정 전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7431B2 (ja) 送話器、それを用いた電話機
JP2006270601A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MXPA97000353A (en) Expansion of microphone to reduce noise defo
US6798881B2 (en) Noise reduction circuit for telephones
US7023984B1 (en) Automatic volume adjustment of voice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 device
KR200228289Y1 (ko) 음성통화기기를 위한 주변잡음 보상장치
US20080043995A1 (en) Histogram for controlling a telephone
US20090310520A1 (en) Wideband telephone conference system interface
JPH01123554A (ja) 電話機
JPH0630090A (ja) 音量制御機能付き電話機
KR200306837Y1 (ko) Wll 단말기의 송화음량 조절장치
US20080043998A1 (en) Line interface for telephone
KR100207819B1 (ko) 난청자용 전화기
KR20000056077A (ko) 음성 증폭기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50213745A1 (en) Voice activity detector for low S/N
AU2007203414B2 (en) Telephone transmission distortion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8223256A (ja) 電話装置
KR920000805Y1 (ko) 송수화기의 송수신 음성신호 레벨 조절회로
JP4134935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JP3412306B2 (ja) 無線装置
JPH0715491A (ja) 電話装置
KR200362766Y1 (ko) 전화기의 주변잡음 감소회로
KR200203369Y1 (ko) 수화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전화기
JP2000115391A (ja) ドアホン装置
KR19980013928A (ko) 휴대폰의 수신음량 조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