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915Y1 - 교량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교량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915Y1
KR200227915Y1 KR2020000036723U KR20000036723U KR200227915Y1 KR 200227915 Y1 KR200227915 Y1 KR 200227915Y1 KR 2020000036723 U KR2020000036723 U KR 2020000036723U KR 20000036723 U KR20000036723 U KR 20000036723U KR 200227915 Y1 KR200227915 Y1 KR 200227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ridge
plate
hol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곤
Original Assignee
김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곤 filed Critical 김진곤
Priority to KR2020000036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91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안전망 클램프를 일체로 가지며, 나사 체결에 의해 상, 하 이동하는 클램프 플레이트로서 주트러스 리브와 체결되도록 하여, 구성 간소화를 통한 클램핑 작업성 향상과 교량 축조의 시공성 증대를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상기 교량용 클램프(3)는 평판형 부재를 절곡한 후 적층 구비한 것으로,
그 형상이 'ㄱ'형으로 평면에는 관통공(32)이 구비되고, 수직 절곡부(33)에는 장공의 체결부(34)를 가지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와, 평판형으로 평면에는 관통공(32)과 상응하는 부위에 철(凸)형상의 엠보스부(41)를 형성하고, 엠보스부(41) 내방에는 이송 너트(42)가 개재된 조립공(36)을 형성하여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의 체결부(34)와 핀(37) 체결되는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 및,
관통공(32)과 조립공(36)을 관통 구비되는 클램프 볼트(31)와,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 상방으로 돌출되는 클램프 볼트(31)에 개재되는 조임 너트(39)로 형성된 클램핑부(30), 상기 클램핑부(30) 하측 선단에는 힌지축(45)을 통하여 회동 자유롭게 개재되는 안전망 클램프(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용 클램프{The clamp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건설시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교량 저면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인 클램프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을 비롯하여 이격된 육로를 연장하고, 이를 통하여 차량, 열차 및 보행자등이 보다 안전하고 빠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철도교(railway bridge), 도로교(road bridge), 수로교(aqueduct), 과선교(over bridge), 육교(viaduct), 군용교로 구분되고,
교면 위치에 의해서는 상로교(deck bridge), 중로교(half through bridge), 하로교(through bridge), 이층교(double deck bridge)로 나뉘어지며,
구조 형식에 의해서는 형교(girder bridge), 트러스교(truss bridge), 아치교(arch bridge), 라멘교(rahmen bridge), 현수교(suspension bridge)로 분류된다.
이상과 같은 교량은,
통과하는 차량과 열차, 보행자등을 직접 지지하는 바닥판, 바닥틀 및 주트러스등으로 구성된 상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지지하고 상부 구조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교대, 교각 및 기초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교량은 그 설치 높이가 낮게는 수 미터에서 높게는 수십 미터에 달하는 규격으로 축조되며,
그 진행 방향도 기초를 시작으로 교각, 교대등 지반에서부터 축조하여 주트러스, 바닥틀, 바닥판의 수순으로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교량의 축조가 진행될 수록 지면에서부터의 높이는 증가되고, 특히 상부 구조 축조시에는 지면에서부터 최고 높이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교량 상부 구조 축조시에는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망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그 재질이 금속재인 환형테 형상의 고정링(1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링(10)을 일측은 주트러스(1) 상방 일측 선단에 구비되는 스터드 볼트(11)에 고정하고,
타측은 안전망을 설치하는 비계(12)를 직접적으로 안치 고정하는 절곡형의 고정 와이어(13)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 와이어(13)는 철근등의 금속재 와이어를 절곡하여된 것으로 그 형상이 '∫'형을 이루어 하방의 절곡부분을 통하여 안전망 비계(12)를 거치 고정하여 안전망의 원활한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곡 와이어(13)와 주트러스(1)의 연접 부위에는 안전망 설치후 마찰에 의해 도장면 손상 및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의 완충재(14)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교량 축조시 작업자의 추락 방지와 주트러스(1)상의 작업 공간 형성에 요구되는 안전망을 형성하기 위해 복잡 다대한 구성 부품이 사용되고,
이러한 복잡 다대한 구성품은 가공 공정의 증가는 물론 장착 시간의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나아가 시공된 고정링(10)과 절곡 와이어(13)의 시공이 불균일한 규격으로 안전망의 수평도가 불안정하여 장착 신뢰도가 저하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주트러스(1) 상방에 개재되는 바닥틀과 바닥판의 축조에 사용되는 데크 플레이트(15) 시공시 고정링(10)이 위치한 부위(16)를 절개한 후 시공하는데,
이와 같이 전반적인 데크 플레이트(15)의 시공시 고정링(10)에 위치한 다수 부분을 절개함은 교량 완성시 축하중을 비롯한 각종 하중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강도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뿐만 아니라, 고정링(10) 장착시 별도의 표면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 외부 환경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고, 이러한 고정링(10)의 부식은 이와 연접한 데크 플레이트를 비롯한 주트러스에도 부식에 따른 강도 저하를 유발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망 클램프를 일체로 가지며,
나사 체결에 의해 상, 하 이동하는 클램프 플레이트로서 주트러스 리브와 체결되도록 하여 구성 간소화를 통한 클램핑 작업성 향상과,
교량 축조의 시공성 증대 및 데크 플레이트의 절개 부분을 삭제하여 전반적인 교량의 하중 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강도 저하 방지를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교량의 안전망 설치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교량용 클램프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교량용 클램프의 단면을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교량용 클램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절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교량용 클램프 30;클램핑부
31;클램프 볼트 35;상부 클램프 플레이트
38;하부 클램프 플레이트 39;조임 너트
40;안전망 클램프 41;엠보스부
42;이송 너트 44;패드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교량용 클램프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교량용 클램프의 단면을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교량용 클램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절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교량용 클램프(3)는 도 2에서와 같이 평판형 부재를 절곡하여된 것으로,
교량 주트러스(100) 리브(20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30)와, 안전망 비계의 체결에 요구되는 안전망 클램프(4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부(30)는,
그 형상이 'ㄱ'형으로 평면에는 클램프 볼트(31)의 체결을 위한 관통공(32)이 구비되고, 수직 절곡부(33)에는 장공의 체결부(34)를 가지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와,
평판형으로 평면 일측에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의 관통공(32)과 상응하는 조립공(36)을 형성하여 체결부(34)에 핀(37) 체결로서 고정되는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 및,
나사 체결을 통해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의 상, 하 운동에 의한 클램핑 작업을 수행하는 클램프 볼트(31)와 조임 너트(39)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는,
도 2에서와 같이 클램프 볼트(31)가 체결되는 부위에 철(凸)형상의 엠보스부(41)를 형성하고, 엠보스부(41) 내방에는 클램프 볼트(31)와 체결되어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의 상, 하 운동을 제어하는 이송 너트(42)가 개재된다.
상기 이송 너트(42)는 엠보스부의 형상에 따라 달리 적용되나 일반적으로 이송 너트(42)와 클램프 볼트(31)의 동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 혹은 육각형상의 너트 사용이 바람직 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와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의 내측면,
즉 교량 주트러스 리브(200)와 접촉하는 클램핑면(43)에는 접지력 증가와 주트러스 리브(200)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를 비롯한 합성 수지재의 패드(44)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핑부(30) 하방 선단에는 안전망 설치를 위한 비계의 고정에 요구되는 안전망 클램프(40)가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는데,
이는 상,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5,38)를 관통한 클램프 볼트(31)의 하측 선단과 안전망 클램프(40)를 힌지축(45)으로서 고정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인 교량용 클램프(3)는 고정할 교량 주트러스 리브(200)의 규격(두께)를 확인한 후 조임 나사(39)와 클램프 볼트(31)를 통하여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5,38)의 이격으로 조립 공간을 확보한 교량용 클램프(3)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의 클램핑면(43')을 통하여 교량 주트러스 리브(200) 상방에 안치하고,
이어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 상방에 개재된 조임 나사(39)를 통하여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가 클램프 볼트(31)를 활주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때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는 엠보스부(41)와 그 내방에 개재된 이송 너트(42)의 작용으로 클램프 볼트(31)의 자전을 방지하며 원활한 상승 작용을 수행하며,
이러한 상승 작용으로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의 클램핑면(43')이 교량 주트러스 리브(200)의 하단과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면(43)과 교량 주트러스 리브(200)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조임 너트(39)를 통한 체결 토오크를 증가시켜 교량용 클램프(3)가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교량 주트러스 리브(200)에 교량용 클램프(3)의 장착이 완료되면 클램프 볼트(31) 하단에 개재된 안전망 클램프(40)를 통하여 비계를 연계 고정한 후 안전망 설치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인 교량용 클램프(3)는 장착 부위를 교량의 상부 구조 가운데 주트러스의 저면을 이용하므으로서 바닥틀을 비롯한 바닥판등의 축조시 시공상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으며,
클램핑부(30)와 안전망 클램프(40)의 힌지축(45)을 통한 회동 자유롭게 장착함은 안전망 비계의 설치 오차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클램핑부(30)에 개재된 패드(44)는 교량 주트러스 리브(200)의 도장면 손상을 억제하여 교량의 완성시 별도의 도장 작업과 같은 사후 관리가 용이한 장점도 가진다.
이러한 본 고안인 교량용 클램프는 종래 안전망 고정을 위해 고정링을 비롯한 절곡 와이어 및 안전망 클램프의 독립적 구성이 야기하는 작업성 결여와,
데크 플레이트 시공시 고정링을 회피하기 위한 절개부 형성을 삭제하여 시공상 난이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교량용 클램프는 클램핑부와 안전망 클램프가 일체로 구비되어 구성의 간소화를 통한 작업성 향상은 물론,
교량용 클램프의 장착 부위를 주트러스 저면을 사용함으로서 바닥틀과 바닥판의 시공성 증대에 따른 공사 기간을 현격히 감소시켜 경제적 이익 창출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교량용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 클램프(3)는 평판형 부재를 절곡한 후 적층 구비한 것으로,
    그 형상이 'ㄱ'형으로 평면에는 관통공(32)이 구비되고, 수직 절곡부(33)에는 장공의 체결부(34)를 가지는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와,
    평판형으로 평면에는 관통공(32)과 상응하는 부위에 철(凸)형상의 엠보스부(41)를 형성하고, 엠보스부(41) 내방에는 이송 너트(42)가 개재된 조립공(36)을 형성하여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의 체결부(34)와 핀(37) 체결되는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8) 및,
    관통공(32)과 조립공(36)을 관통 구비되는 클램프 볼트(31)와,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 상방으로 돌출되는 클램프 볼트(31)에 개재되는 조임 너트(39)로 형성된 클램핑부(30),
    상기 클램핑부(30) 하측 선단에는 힌지축(45)을 통하여 회동 자유롭게 개재되는 안전망 클램프(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용 클램프(3)는,
    교량 주트러스 리브(200)와 접촉하는 클램핑면(43)인 상, 하부 클램프 플레이트(35,38) 내측에 합성 수지재의 패드(4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램프 플레이트(35)는 절곡부에서부터 가장 자리로 이동하면서 하향 구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클램프.
KR2020000036723U 2000-12-28 2000-12-28 교량용 클램프 KR200227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23U KR200227915Y1 (ko) 2000-12-28 2000-12-28 교량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723U KR200227915Y1 (ko) 2000-12-28 2000-12-28 교량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915Y1 true KR200227915Y1 (ko) 2001-06-15

Family

ID=7309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723U KR200227915Y1 (ko) 2000-12-28 2000-12-28 교량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9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93174Y (zh) 自动扶梯、自动人行道的支撑结构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JP5388318B2 (ja) 橋梁補強構造及び橋梁補強方法
CN105256718A (zh) 模块化多向变位伸缩装置以及桥梁
KR100566665B1 (ko) 교량 상부구조물 보수용 가시설
CN112575696A (zh) 一种应用于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结构及安装方法
KR100845088B1 (ko) 스틸 교량의 외장재 설치구조
KR100355091B1 (ko) 조립식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의 내하력 보강방법
KR100931317B1 (ko) 스트럿 및 타이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227915Y1 (ko) 교량용 클램프
KR10113342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거더교의연속화 공법
CN110792042A (zh) 一种用于矩形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方法
KR101672355B1 (ko) 강거더 교량의 지점부 인장도입을 위한 트러스 아암 설치구조
KR200227916Y1 (ko) 교량용 클램프
KR101526126B1 (ko) 조립식 모듈을 구비하는 인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00687B1 (ko) 복공판 설치 구조
KR20040084030A (ko) 핀이 구비된 면진베어링
KR102490192B1 (ko)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CN211735114U (zh) 一种用于矩形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结构
KR20060006404A (ko) 복공판
KR100921825B1 (ko) 구조용 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
KR200432583Y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100465439B1 (ko) 강재 정착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20120053124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CN110700122A (zh) 一种用于矩形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