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655Y1 -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655Y1
KR200227655Y1 KR2020010001621U KR20010001621U KR200227655Y1 KR 200227655 Y1 KR200227655 Y1 KR 200227655Y1 KR 2020010001621 U KR2020010001621 U KR 2020010001621U KR 20010001621 U KR20010001621 U KR 20010001621U KR 200227655 Y1 KR200227655 Y1 KR 200227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key
monit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디씨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디씨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디씨시스템
Priority to KR2020010001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655Y1/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은 다수의 카메라, 노래 연주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체크하여 정상적인 영상신호들을 외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해주는 영상분배장치 및 영상분배장치로부터의 영상신호나 상기 노래 연주기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현시해주는 다수의 모니터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고안이 적용된 각 노래방내의 방들을 상호 연결하여 다른 노래방으로부터의 영상신호들도 선택적으로 현시할 수 있도록 해주고 각 영상분배장치들을 인터넷에 접속시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운영자서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고안에 의하면, 노래방에서 단지 노래방운영자가 제공해주는 화면을 보며 노래만 부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 또는 다른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의 모습을 선택적으로 보면서 같이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Selective multichannel image transmission sysetm}
본 고안은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들을 선택적으로 모니터에 현시하여 볼 수 있으며 자신의 영상신호를 상대방에게 선택적으로 전송해 줄 수 있는 영상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수의 노래방이 운영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노래방을 이용하고 있다.
현재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노래 연주기는 노래방운영자가 보내주는 영상신호를 모니터상에 현시하여 주며, 사용자는 이러한 영상을 바탕으로 현시되는 노래가사를 보며 노래를 부르게 된다. 노래 연주기는 초기에는 하나의 모니터를 사용하여 화면을 제공하여 주었으나, 최근에는 여러개의 모니터를 설치하여 여러 화면을 동시에 현시해 줌으로서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있다.
그러나, 결국 종래의 노래방 반주기는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 이외에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여러개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 저장된 화면이나 TV화면을 여러 화면을 통해 동시에 보여주거나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여러개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보여주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래방내 각 방의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들을 각 방의 사용자들이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주며, 이렇한 영상신호의 공유를 통해 서로 다른 방에 있는 사람들간에 상대방의 영상을 보며 대화를 나누고 같이 노래도 부를 수 있는 새로운 놀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영상분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노래방들을 네트웍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수의 카메라 21, 22, 23 : 영상분배장치
31, 32, 33 : 노래 연주기 41 : 모니터
50 : 운영자서버 201 : 영상신호입력부
202 : 마이콤 203 : OSD처리부
204 : 영상신호출력부 205 : 영상신호체크부
206 : 데이터통신부 207 : 키입력 및 LED부
208 : 영상 및 화면분할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은 다수의 카메라, 노래 연주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체크하여 정상적인 영상신호들을 외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해주는 영상분배장치 및 영상분배장치로부터의 영상신호나 상기 노래 연주기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현시해주는 다수의 모니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카메라(10)는 일반 비데오카메라, 디지털카메라, 폐쇄회로 카메라 등 임의의 장면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전송시켜주는 모든 종류의 카메라가 포함된다. 이러한 카메라(10)는 노래방내의 각 방에 적어도 한개가 설치되며, 노래방 기계에 코인이 투입되거나 시간이 입력되어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조건이 되면 자동으로 동작하여 해당 방내의 장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영상분배장치(21, 22, 23)는 카메라(10)로부터의 영상신호들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신호를 해당 모니터에 출력한다. 이러한, 영상분배장치(21, 22, 23)는 각 노래방내 각 방에 하나씩 설치되며, 상호 네트웍(LAN)으로 연결되어 통신함으로써 서로 다른방에서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간에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해주며, 자신의 방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다른 방으로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노래 연주기(31, 32, 33)는 일반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연주기와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과 가사를 제공한다.
모니터(41, 42, 43)는 영상분배장치(21, 22, 23) 및 노래 연주기(31, 32, 33)로부터 전송되오는 영상신호 및 노래가사 등의 문자정보를 현시하여 준다. 각 방에 설치되는 모니터(41, 42, 43)의 숫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방에 설치되는 모니터(41, 42, 43) 중 하나의 모니터(41a, 42a, 43a)가 연주기(31, 32, 33)와 연결되어 있어 해당 모니터에만 연주기(31, 32, 33)로부터의 노래가사와 같은 문자정보가 현시되는 것처럼 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연결관계는 각 방내 모든 모니터들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장을 통해 원하는 모니터에 연주기(31, 32, 33)로부터의 문자정보가 현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영상분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각 영상분배장치(21, 22, 23)의 기능은 서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영상분배장치(2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영상신호입력부(201)는 다수의 카메라(10)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마이콤(202)은 영상분배장치(21)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영상신호입력부(201)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들 중 정상적인 영상신호들을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다른 영상분배장치(22, 23)들과의 데이터통신을 통해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방을 촬영한 영상신호가 다른 방에서 현시되지 않도록 한다.
OSD처리부(203)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모니터(41)에 현시되는 영상신호와 함께 표시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 OSD(On Screen Display)의 기능과 동일하다.
영상신호출력부(204)는 영상신호를 노래 연주기(21)로 전송해 주거나 해당 모니터(41)에 현시되도록 해준다.
영상신호체크부(205)는 영상신호입력부(201)에 입력된 각 영상신호들의 로스(loss)여부 즉 영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 및 입력된 영상신호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등을 체크하여 그 결과를 마이콤(202)에 전송하여 준다.
데이터통신부(206)는 외부 시스템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주어 다른 방의 영상분배장치(22, 23) 및 더 나아가서는 다른 노래방의 영상분배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키입력 및 LED부(207)는 선택키, 각 선택키에 대응하는 LED 및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키를 포함한다. 또한, 화면분할을 위한 화면분할키 및 영상분할을 위한 영상분할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키를 이용하여 모니터(41)의 각 화면에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들 중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현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문자입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모니터의 화면영역을 다수로 분할하여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할된 모니터의 적어도 한 영역에 현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서로 다른 여러 영상신호를 하나의 모니터에 동시에 현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하나의 영상을 분할한 후 각 분할된 영상을 모자이크와 같이 각기 하나의 모니터에 현시되도록 함으로써 대화면의 영상을 이룰 수 있다.
마이콤(202)은 카운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예컨대 10㎳ 간격으로 영상신호체크부(205)와 키입력 및 LED부(207)로부터의 전송되오는 로스플래그(loss flag)비트와 키플래그(key flag)비트가 각각 '1'인지를 체크함으로써 영상신호의 손상여부 및 선택키에 의한 선택신호 입력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노래방내의 어느 한 방(방1)에서 노래를 부를 준비가 완료되면 즉 동전이 투입되거나 시간이 입력되어 노래선곡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방1에 설치된 카메라(10)가 작동하면서 방1의 모습 특히 노래부르는 사람의 모습을 촬영한다. 이때, 각 방에는 기본적으로 1대의 카메라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방에 여러대의 카메라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신호는 방1을 포함하여 노래방내 각 방의 작동중인 영상분배장치들(21, 22, 23)로 전송된다.
다수의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는 다수의 영상신호들 모두 노래방내 각 방의 작동중인 영상분배장치들(21, 22, 23)로 전송된다.
영상신호입력부(201)는 카메라(1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콤(202) 및 영상신호체크부(205)로 전송한다. 영상신호체크부(205)는 각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의 손실여부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마이콤(202)에 전송하여 준다.
처음 노래를 시작할 때에는 노래방 운영자가 일률적으로 제공해주는 영상이 기본적으로 모니터(41)에 현시된다. 사용자가 다른 방의 모습을 보고자 하는 경우, 키입력 및 LED부(207)의 선택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키입력 및 LED부(207)에는 각 모니터(41a ∼ 41d)의 수만큼 구비되어 각 모니터별로 지정된 선택키가 있어서 이 선택키를 이용하여 각 모니터에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들 중 원하는 영상을 현시할 수 있다. 키입력 및 LED부(207)는 노래방운영자가 제공해 주는 영상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래방키 및 자신의 방을 촬영한 영상신호가 다른 방으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키,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키, 영상분할을 위한 영상분할키 및 화면분할을 위한 화면분할키 등이 포함한다.
선택키를 이용하여 각 모니터(41a ∼ 41d)에 카메라(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모니터(41a)에 해당하는 선택키를 한번 누르면 해당 LED가 온되고, 키입력 및 LED부(207)는 선택신호를 마이콤(202)으로 전송한다. 선택신호를 수신한 마이콤(202)은 첫번째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검색하여 이를 OSD처리부(203)로 전송하여 준다. OSD처리부(203)는 마이콤(202)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신호에 해당 방번호 및 기타 문자정보를 삽입한 후 별도의 영상분할이나 화면분할신호가 없으면 바로 영상신호출력부(204)를 통해 영상신호를 해당 모니터(41a)에 전송하여 준다. 만약, 영상분할이나 화면분할신호가 입력되었으면 OSD처리부(203)는 영상신호를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해당 선택키를 한번 더 누르면, 마이콤(202)은 두번째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검색한 후 해당 영상신호를 OSD처리부(203)와 영상신호출력부(204)를 통해 모니터(41a)에 전송하여 준다. 만약, 해당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없거나 영상신호가 손실되어 모니터에 현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전의 화면을 계속 현시하는 상태에서 현시가 불가능한 방번호와 함께 접속불가를 나타내는 메세지(예컨대, 'NO ACCESS')를 모니터(41a)에 표시한다. 해당 선택키를 계속 한번씩 눌러주면 세번째, 네번째 등 순차적으로 각 카메라로부터 전송받는 영상을 검색하여 모니터(41a)에 현시해준다. 다른 모니터(41b ∼ 41d)의 경우에도 지정된 선택키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영상신호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영상신호는 모니터화면 전체뿐만아니라 다중분할된 모니터화면의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현시(화면분할)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영상신호를 여러 모니터에 모자이크식으로 현시(영상분할)하여 대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하나의 모니터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여 하나의 모니터화면상에 여러개의 영상을 동시에 현시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영상을 다중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영상을 여러개의 모니터에 각각 현시하여 여러개의 모니터화면을 하나의 모니터화면처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상술된 화면분할과 영상분할을 위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나의 모니터을 다중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에 각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현시(화면분할)하기 위한 방법으로,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4개의 모니터가 한조로 되어 있고, 모니터(41a)의 화면을 4분할하여 모니터(41a)에 4개의 영상신호를 동시에 현시하고자 한다. 우선 사용자가 선택키를 이용하여 분할하고자 하는 모니터(41a)를 선택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키입력 및 LED부(207)의 화면분할키를 누른다. 그러면, 키입력 및 LED부(207)는 마이콤(202)에 화면분할신호를 전송한다. 화면분할신호가 수신되면 마이콤(202)은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로 모니터(41a)를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지시하고, 분할된 각 영역을 기 설정된 모니터 선택키와 매치시킨다. 이렇게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이유는 모니터(41)가 4개의 모니터(41a ∼ 41b)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즉, 모니터(41a)의 선택키는 4분할된 화면의 좌측상단영역, 모니터(41b)의 선택키는 4분할된 화면의 우측상단영역, 모니터(41c)의 선택키는 4분할된 화면의 좌측하단영역 및 모니터(41d)의 선택키는 4분할된 화면의 우측하단영역으로 각각 매치된다. 사용자가 키입력 및 LED부(207)의 선택키를 누르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해당 분할영역에 영상신호를 현시한다. 화면분할이 끝난 후 다시 화면분할키를 누르면 모니터(41a)의 화면분할은 완료된다. 다른 모니터(41b ∼ 41d)들에 대한 화면분할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선택키와 화면분할키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하나의 모니터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에 독립적으로 영상신호를 현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술된 화면분할방법은 화면분할을 위한 일 실시예이며, 다른 여러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모니터(41a)를 선택한 상황에서 화면분할키를 누르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모니터(41a)에 화면분할을 위한 메뉴를 현시한다. 즉, 해당 모니터의 화면을 몇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것인지, 어느 영역에 어떤 영상신호를 현시할 것인지 등의 메뉴를 현시한다. 사용자는 제시된 메뉴에 따라 모니터(41a)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영상신호가 현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영상을 여러개의 화면에 모자이크식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는 사용자가 영상분할키를 누르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도 1과 같이 전체 모니터가 4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현시되는 영상을 4분할한다. 다음에 각 분할된 영상을 해당 모니터에 현시한다. 즉, 분할된 영상 중 좌측상단영역은 모니터(41a), 우측상단영역은 모니터(41b), 좌측하단영역은 모니터(41c) 및 우측하단영역은 모니터(41d)에 각각 현시된다. 화면이 보다 많아 전체모니터(41)가 예컨대 16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화면분할키가 눌리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16개로 분할하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분할되는 영상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영상분할키를 누른 후 원하는 만큼의 연속되는 모니터 선택키들을 동시 또는 차례로 눌러주고 다시 영상분할키를 눌러주면 영상 및 화면분할부(208)는 눌려진 선태키의 수 만큼 영상을 분할 한 후 해당 모니터에 분할된 영상을 각각 현시한다.
상술된 영상분할방법도 영상분할을 위한 일 실시예로, 영상분할을 위한 메뉴를 두어 영상신호를 임의로 수로 분할하여 이를 임의의 모니터들에 현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원치않는 경우 노래방키를 누르면, 마이콤(202)은 카메라(1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차단하고 별도의 채널을 통해 노래방 운영자가 제공해주는 영상신호를 모니터(41)에 현시해 준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방을 촬영한 영상신호가 외부로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1번 카메라가 설치된 방1의 사용자가 자신들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다른 방으로 전송하고 싶지 않아 차단키를 누른경우, 마이콤(202)은 데이터통신부(206)를 통해 다른 방(방2, 방3)에 설치된 영상분배장치(22, 23)의 마이콤(202)으로 1번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방1의 마이콤(202)은 1번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만을 수신하여 모니터(41)에 현시한다. 즉, 자신들의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방의 영상신호들도 볼 수 없게 된다. 차단키를 다시 누르면, 방1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다시 다른 모든 방으로 전송된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다른 방에 있더라도 마치 한 방에 있는 듯 서로 공동으로 노래를 부르거나 노래부르기 시합 등이 가능해 진다. 더욱이, 다른 여러 방들 중 어느 하나의 방 만을 선택하여 해당 두 방들사이에서만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방1의 사용자들이 방2의 사용자들과만 대화를 나누고 싶은 경우, 방1의 사용자들은 키입력 및 LED부(207)를 이용해 메세지를 작성하고 방번호를 지정하여 전송하면, 방1의 마이콤(202)은 메세지를 지정된 방(방2)의 마이콤(202)으로 전송한다. 방2의 마이콤(202)은 수신한 메세지를 OSD처리부(203)로 전송하며, OSD처리부(203)는 수신한 메세지와 메세지를 보낸 방번호를 모니터(41)에 현시한다. 이에 대응하여 방2의 사용자들이 특정키를 누르면, 방1과 방2의 영상신호는 다른 방에서는 현시되지 않고 방1과 방2에서만 현시되어 두 방의 사용자들이 서로의 영상을 보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게된다.
더욱이, 영상분배장치(21, 22, 23)가 레코딩부(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자신이 노래하는 모습을 비디오테이프, CD, DVD, 또는 영상분배장치(21, 22, 23)내 하드디스크 등에 기록할 수 있으며, 노래방내 각 영상분배장치(21, 22, 23)들을 연결한 네트웍(LAN)을 인터넷에 연결시킴으로써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전자우편 등을 통해 외부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된 각 노래방들내의 네트웍(LAN)을 상호 연결시켜 상술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노래방내의 사람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노래방의 사람들과도 서로 대화를 나누고 같이 노래도 부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의 운영자서버(50)의 구축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러한 운영자서버(50)는 각 노래방내 영상분배장치(21, 22, 23)들이 상호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며, 각 영상분배장치들(21, 22, 23)이 다른 인터넷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각 노래방내에서 다른 방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현시하는 것을 상술된 방법과 같으나, 다른 노래방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현시하는 경우에는 운영자서버(50)를 통해 이루어진다. 운영자서버(50)는 각 노래방내의 모든 카메라들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각 노래방별로 취합/정리한다. 다른 노래방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분배장치(21, 22, 23)는 데이터통신부(206)를 통해 운영자서버(50)에 접속한 후 원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된다. 또한, 운영자서버(50)에 접속한 영상분배장치는 운영자서버(50)에 접속한 다른 영상분배장치들과 메세지를 교환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각 영상분배장치들(21, 22, 23)에는 인터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가능해야 한다.
또한, 운영자서버(50)는 운영자서버(50)에 접속한 다른 컴퓨터(PC)들에게도 각 노래방의 카메라들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상술한 고안에 의하면, 노래방에서 단지 노래방운영자가 제공해주는 화면을 보며 노래만 부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 또는 다른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의 모습을 선택적으로 보면서 같이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노래방의 모니터에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현시하기 위한 영상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노래방의 각 방마다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카메라;
    노래 연주기; 및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의 상태를 체크하여 정상적인 영상신호들을 외부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해주는 다수의 영상분배장치를 포함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들과 접속하여 상기 영상분배장치들을 인터넷에 접속시켜주며, 상기 카메라들로부터의 영상신호들을 모두 취합/정리하여 원격지의 영상분배장치간 영상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운영자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입력부;
    상기 영상분배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영상신호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선택적으로 영상신호의 외부 전송을 차단하는 마이콤;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상기 모니터에 현시되는 영상과 함께 현시되도록 하는 OSD처리부;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영상신호출력부;
    상기 영상신호입력부에 수신된 각 영상신호들의 손상여부를 체크하는 영상신호체크부;
    외부 시스템과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에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가 현시되도록 조작하며, 문자입력을 위한 키입력 및 LE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모니터의 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분할된 모니터의 적어도 한 영역에 현시하거나, 하나의 영상을 다중분할하여 다수의 상기 모니터에 현시되도록 하는 영상 및 화면분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외부와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수신한 영상신호를 비디오데이프, CD, DVD, 상기 영상분배장치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중 어느 하나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및 LED부는
    상기 모니터 중 어느 특정된 모니터에 상기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 중 어느 특정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현시하기 위한 선택키;
    노래방운영자가 제공해 주는 영상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래방키;
    상기 영상분배장치와 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다른 영상분배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키;
    영상신호의 분할을 위한 영상분할키; 및
    상기 모니터의 화면분할을 위한 화면분할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차단키가 선택되어 상기 영상분배장치와 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다른 영상분배장치로 전송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다른 영상분배장치들과 매치되는 카메라들로부터의 영상신호들을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및 LED부는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배장치는 상기 문자입력키를 통해 입력된 메세지를 다른 특정된 영상분배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서버는 상기 영상분배장치들을 인터넷상에 접속된 인터넷서버에 접속시켜주어 상기 영상분배장치들이 인터넷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서버는 카메라들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들을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외부의 컴퓨터에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KR2020010001621U 2001-01-19 2001-01-19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KR200227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21U KR200227655Y1 (ko) 2001-01-19 2001-01-19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21U KR200227655Y1 (ko) 2001-01-19 2001-01-19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276A Division KR20020062055A (ko) 2001-01-19 2001-01-19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655Y1 true KR200227655Y1 (ko) 2001-06-15

Family

ID=7306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621U KR200227655Y1 (ko) 2001-01-19 2001-01-19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6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810A (ko) * 2002-07-04 2004-01-13 주식회사 오성미디컴 영상가요반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810A (ko) * 2002-07-04 2004-01-13 주식회사 오성미디컴 영상가요반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9188A (en) Digital audio-video presentation display system
US20070287141A1 (en) Internet based client server to provide multi-user interactive online Karaoke singing
EP1599018A1 (en) Audio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CA2136364A1 (en) Method of controlling multiple processes using finite state machines
JP2000506700A (ja) ファクシミリ及びボイスメール対応の対話型ケーブルネットワーク
EP1274245A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US20030065806A1 (en) Audio and/or visual system, method and components
JP6368875B1 (ja) カラオケ機器切替装置
WO2020213812A1 (ko)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참여형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8595133B (zh) 一种画中画显示方法及系统
KR200227655Y1 (ko)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KR20020062055A (ko) 선택식 다채널 영상 전송시스템
CN1717008B (zh) 多功能网络演歌房设备
WO2010028479A1 (en) Digital music distribution component
JP5794934B2 (ja) コラボレーション歌唱の録画システム
JP6144477B2 (ja) コラボレーション歌唱映像表示システム
JPH09297723A (ja) 街角テレビシステム
JP3369083B2 (ja) 通信と放送の2つの媒体を利用したカラオケ再生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H0252584A (ja) 映像信号伝達装置
JP2014235303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20240044403A (ko)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84346A (ko) 멀티미디어방
JPH043566A (ja) 音楽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JPH07323143A (ja) 多機能コンピュータ
KR2009000162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앨범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앨범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