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403A -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403A
KR20240044403A KR1020240040810A KR20240040810A KR20240044403A KR 20240044403 A KR20240044403 A KR 20240044403A KR 1020240040810 A KR1020240040810 A KR 1020240040810A KR 20240040810 A KR20240040810 A KR 20240040810A KR 20240044403 A KR20240044403 A KR 20240044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time
online
audio stream
online audio
conten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재
이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4004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403A/ko
Publication of KR2024004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4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Abstract

본 발명은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소정의 장소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현장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현장 영상 처리부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와; 상기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에 수신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지연 시간 판단부와; 상기 지연 시간 판단부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이 상기 현장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콘텐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ARTICIPATIONAL CONTENTS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비대면으로 공연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실제 공연장에 있는 것과 같은 감흥을 주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 발전과 더불어 온라인상에서 원격에 있는 공연 실황을 실시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는데, 특히 최근에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 사태로 인해 다중이 모이는 공연 등이 금지되고 있어서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 공연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온라인 공연을 소비하는 관객들이 공연 실황을 단순히 시청하거나 그나마 채팅을 통한 소통을 할 뿐이어서 직접 공연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지는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공연장에서는 아티스트와 함께 환호하거나 일명 떼창이라고 부르는 함께 노래를 부르는 등의 행동을 하면 함께 즐길 수 있지만, 종래의 온라인 공연 콘텐츠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공연 소비자들의 니즈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7261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대면 공연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공연 아티스트와 함께 같은 공간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소정의 장소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현장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현장 영상 처리부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와; 상기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에 수신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지연 시간 판단부와; 상기 지연 시간 판단부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이 상기 현장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콘텐츠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와; 상기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에 수신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지연 시간 판단부와; 상기 지연 시간 판단부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소정의 장소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현장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이 상기 생성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에서 온라인상으로 공연을 관람하는 온라인 관객은 다른 온라인 관객들의 소리도 함께 들을 수 있어서 마치 공연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감흥을 느낄 수 있다.
특히, 공연 아티스트 역시 원격에서 시청하는 온라인 관객들의 호응을 직접 접할 수 있어서, 대면 공연과 같은 느낌을 가지며 연주 등을 할 수 있어서, 결국 공연의 질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조합한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는 비대면으로 공연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조작하는 단말기로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어 댁내에 구비된 TV 또는 각 개인이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는 주변의 사운드를 수집하고, 해당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에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는 사운드 수집을 위한 마이크(미 도시함)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게 공연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통신하면서,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러한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공연장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현장 영상 처리부(110),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120), 지연 시간 판단부(130), 콘텐츠 처리부(140), 정보 수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현장 영상 처리부(110)는 소정의 장소(일 예로 공연장)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현장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관객이 없는 별도의 공연장에서 아티스트들이 연주회를 하는 경우, 영상 처리부는 이러한 공연장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현장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스트림에는 촬영 이미지에 대응되는 비디오 스트림과 연주된 사운드에 대응되는 오디오 스트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영상 처리부(1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스트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전송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각각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온라인을 통해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시청하는 시청자(즉, 온라인 관객)는 아티스트들과 함께 노래를 부르거나 아티스트들의 말에 환호성을 보내거나, 박수를 칠 수도 있는데,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120)는 이러한 온라인 관객의 반응 사운드를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지연 시간 판단부(130)는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120)에 수신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와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간에는 물리적으로 거리가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가 전송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은 다양한 통신 경로를 통해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에 도달할 수 있는데, 이때 소정의 지연 시간이 발생하고, 지연 시간 판단부(130)는 이러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연 시간 판단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 지연 시간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네트워크 통신 지연 시간을 기초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연 시간 판단부(130)는 주기적으로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와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받아서 네트워크 통신 지연 시간을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각 장치간 지연 시간 확인을 위해 통신 신호를 주고받는 것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예로써, 지연 시간 판단부(130)는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상호 비교를 통해 일치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일치된 패턴의 시간적 위치를 기초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가 노래를 부름에 따라 온라인 관객들도 함께 노래를 부르는 경우,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는 유사한 패턴이 포함될 수 있는데, 그 유사한 패턴이 포함된 시간적 위치를 참고하여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상대적 지연 시간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상대적 지연 시간이 판단된 이후, 지연 시간 판단부(130)는 기 설정된 네트워크상의 기본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절대적 지연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연 시간 판단부(130)는 가장 지연 시간이 짧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0'으로 하고, 기 설정된 네트워크상의 기본 지연 시간을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상대적 지연 시간에 더하는 방식으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절대적 지연 시간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정보 수신부(150)는 외부로부터 각종 설정 정보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공연장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관리자로부터 공연장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정보 수신부(150)는 관리자로부터 VOD 녹화 모드와 실시간 스트리밍 전송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정보 수신부(150)에 수신된 각종 정보는 후술하는 콘텐츠 처리부(140)의 처리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140)는 지연 시간 판단부(130)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기 설정된 지연 시간 이하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만이 현장 영상 처리부(110)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콘텐츠 처리부(140)는 지연 시간 판단부(130)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하는 일종의 필터링 과정을 수행한 후, 걸러지지 않은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들이 현장 영상 처리부(110)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처리부(140)는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필터링 이후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결합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여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필터링 이후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이 일종의 컨테이너에 각 개별 채널로써 포함되도록 하여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실제 공연장에서는 원거리에 있는 사람이 외치는 소리와 가까이에 있는 사람이 외치는 소리에는 시간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시간차 때문에 오히려 관객들은 현장감을 더욱 느끼게 되는데, 콘텐츠 처리부(140)는 시간차가 발생하는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해 그 시간차를 유지하는 상태로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제공하므로 온라인 관객들이 마치 아티스트와 함께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콘텐츠 처리부(140)는 너무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필터링 처리하여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공연장은 아주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할 수 있는데, 공연장의 크기에 따라 소리가 퍼지면서 지연되는 정도가 각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가상의 공연장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공연장의 종류에 따라 필터링 되는 조건인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이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처리부(140)는 정보 수신부(150)에 수신된 공연장 설정 정보에 따라 지연 시간을 동적으로 갱신하고, 그 동적으로 갱신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현장 영상 처리부(110)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연장 설정 정보는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이 경우 각 온라인 관객마다 서로 다른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이 포함된(즉, 필터링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개수가 다른) 공연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처리부(140)는 특정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공연장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지연 시간을 추출하고, 특정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대해서는 그 개별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현장 영상 처리부(110)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콘텐츠 처리부(140)는 정보 수신부(150)에 수신된 모드 선택 정보에 VOD 녹화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지연 시간 판단부(130)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시간 동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시간 동기화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과 현장 영상 처리부(110)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을 포함하는 VOD 콘텐츠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VOD 콘텐츠의 생성은 콘텐츠 처리부(140) 자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VOD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별도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 콘텐츠 처리부(140)는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시간 동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시간 동기화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과 현장 영상 처리부(110)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을 이러한 별도의 장치에 전송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에는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이 별도의 통신에 의해 판단되어 처리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촬영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단계 S1), 그 촬영 영상을 기초로 영상 스트림을 생성한다(단계 S3).
한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생성하고(단계 S5), 그 생성된 통신 채널을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판단한다(단계 S7).
이러한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과정은 주기적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는 주변의 사운드를 수신하고(단계 S9), 그 수신된 사운드에 대응되는 오디오 스트림을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에 전송한다(단계 S11).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데(단계 S13), 이때 앞서 판단된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와의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참고한다.
이어서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필터링 처리한다(단계 S15).
예를 들어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필터링 되고 난 후 남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과 앞서 생성한 영상 스트림을 결합한 공연 콘텐츠를 생성하여(단계 S17)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19).
이에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는 아티스트의 공연 모습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의 다른 관객들의 반응 내용까지 포함된 공연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단계 S21).
다음으로 도 4에는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이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패턴 비교를 통해 판단되어 처리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촬영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단계 S31), 그 촬영 영상을 기초로 영상 스트림을 생성한다(단계 S33).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는 주변의 사운드를 수신하고(단계 S35), 그 수신된 사운드에 대응되는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에 전송한다(단계 S37).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패턴을 비교하고(단계 S39), 기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한다(단계 S41).
이어서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필터링 처리하고(단계 S43), 필터링 되고 남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과 앞서 생성한 영상 스트림을 결합한 공연 콘텐츠를 생성하여(단계 S45)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47).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제2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오디오 수신부, 지연 시간 판단부(130'), 오디오 처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수신부는 앞선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각각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수신부는 온라인을 통해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시청하는 온라인 관객이 아티스트들과 함께 노래를 부르거나 아티스트들의 말에 환호성을 보내거나, 박수를 치는 소리 등을 수신하는 것이다.
지연 시간 판단부(130')는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120')에 수신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써, 별도의 통신 신호를 주고받거나 또는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 내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 패턴을 비교할 수 있는데, 이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지연 시간 판단부(130')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관객이 없는 공연장에 아티스트들만이 노래를 부르는 경우, 아티스트들은 관객의 호응이나 반응을 알 수 없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처리부(160')가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관객의 반응 소리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60')는 지연 시간 판단부(130')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함으로써, 이질감이 느껴지는 반응 사운드는 제외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아티스트들은 비록 대면 관객이 없는 장소에서 마치 실제 많은 관객들과 함께 무대를 만들어간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이는 결국 공연 퀄러티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내용과 제2 실시예의 내용들의 일부를 조합한 제어 흐름이 나타나 있다.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각종 설정 정보가 입력된 이후(단계 S51), VOD 녹화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3).
판단 결과 VOD 녹화용이 아닌 경우(단계 S55),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설정 정보에 포함된 공연장 정보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을 설정한다(단계 S55).
이어서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과 기 설정된 지연 시간을 비교한 후,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7).
즉,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큰 지연 시간을 갖는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시키는 것이다.
이어서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를 촬영한 영상 스트림과 온라인 관객들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믹싱한 후(단계 S59), 스트리밍 방식으로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에 전송함과 아울러 오디오 스트림에 대해서는 현장에 있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S61).
물론 스피커를 통해서 공연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도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53의 판단 결과 VOD 녹화용인 경우,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참고하여 동기화된 타임스탬프를 생성한다(단계 S63).
예를 들어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서로 일치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타임스탬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마다 타임스탬프를 생성하여 매칭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0.3초 지연되어 수신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해서는 그 수신된 시점보다 0.3초 앞당겨진 타임스탬프를 매칭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은 타임스탬프가 생성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과 아티스트를 촬영한 영상 스트림을 믹싱한 후(단계 S65) VOD 콘텐츠를 생성 및 저장한다(단계 S67).
여기서 타임스탬프는 동기화된 것이므로 생성된 VOD 콘텐츠에는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이 시간 지연이 없는 상태로 포함되게 된다.
VOD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시청하는 것이 아니므로 현장감 보다는 공연 퀄러티가 중요하므로 이처럼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시간 지연 효과를 제거한 상태로 포함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200 : 온라인 관객 단말기
110 : 현장 영상 처리부 120.120' :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
130,130' : 지연 시간 판단부 140 : 콘텐츠 처리부
150 : 정보 수신부 160' : 오디오 처리부

Claims (14)

  1. 소정의 장소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현장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현장 영상 처리부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와;
    상기 온라인 오디오 수신부에 수신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지연 시간 판단부와;
    상기 지연 시간 판단부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과 기 설정된 지연 시간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이 상기 현장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콘텐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 지연 시간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네트워크 통신 지연 시간을 기초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판단부는 상기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상호 비교를 통해 일치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일치된 패턴의 시간적 위치를 기초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공연장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부는 상기 특정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공연장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지연 시간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온라인 관객 단말기에 대해서는 상기 개별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현장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공연장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된 공연장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지연 시간을 동적으로 갱신하고, 상기 동적으로 갱신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현장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VOD 녹화 모드와 실시간 스트리밍 전송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 수신된 모드 선택 정보에 VOD 녹화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지연 시간 판단부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시간 동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시간 동기화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현장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을 포함하는 VOD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7. (a) 소정의 장소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현장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수신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과 기 설정된 지연 시간을 비교한 후, 기 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이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관객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 지연 시간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네트워크 통신 지연 시간을 기초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상호 비교를 통해 일치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일치된 패턴의 시간적 위치를 기초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e) 특정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공연장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온라인 관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공연장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지연 시간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온라인 관객 단말기에 대해서는 상기 개별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a) 단계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f) 관리자로부터 공연장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f) 단계에서 수신된 공연장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지연 시간을 동적으로 갱신하고, 상기 동적으로 갱신된 지연 시간보다 더 지연된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제외한 나머지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을 상기 (a) 단계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과 함께 각 온라인 관객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g) 관리자로부터 VOD 녹화 모드와 실시간 스트리밍 전송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g) 단계에서 수신된 모드 선택 정보에 VOD 녹화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의 지연 시간을 기초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시간 동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시간 동기화된 각 온라인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a) 단계에서 생성한 현장 영상 스트림을 포함하는 VOD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KR1020240040810A 2021-08-19 2024-03-26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44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0810A KR20240044403A (ko) 2021-08-19 2024-03-26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299A KR20230027473A (ko) 2021-08-19 2021-08-19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240040810A KR20240044403A (ko) 2021-08-19 2024-03-26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299A Division KR20230027473A (ko) 2021-08-19 2021-08-19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403A true KR20240044403A (ko) 2024-04-04

Family

ID=853265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299A KR20230027473A (ko) 2021-08-19 2021-08-19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240040810A KR20240044403A (ko) 2021-08-19 2024-03-26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299A KR20230027473A (ko) 2021-08-19 2021-08-19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274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163B1 (ko) 2015-12-22 2017-04-12 남효덕 라이브콘서트 온라인 공연 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163B1 (ko) 2015-12-22 2017-04-12 남효덕 라이브콘서트 온라인 공연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73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327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synchronization of media content via multiple devices and speaker systems
DE112018001871T5 (de) Audiovisuelles Kollaborationsverfahren mit Latenzverwaltung für großflächige Übertragung
US20060025998A1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processing methods, recording mediums, and programs
CN110910860B (zh) 线上ktv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60255302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headsets
CN103460128A (zh) 借助智能电话和音频水印的多种语言同步电影配音
CN108322474B (zh) 基于共享桌面的虚拟现实系统、相关装置及方法
JP6024002B2 (ja) 動画配信システム
CN113395305B (zh) 进行同步播放处理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30138213A (ko) 멀티미디어 흐름 처리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
Cairns et al. Recording music in the metaverse: a case study of XR BBC Maida Vale Recording Studios
KR20130050464A (ko) 증강 콘텐츠 생성 장치 및 방법, 증강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증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90070B1 (ko) 스트리밍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및 이를 이용한 av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CN106792237B (zh) 一种消息显示方法和系统
US20080059999A1 (en) Multi-function display controller
KR20240044403A (ko) 참여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66981B1 (ko) 공중파 방송과 중첩 재생되는 코멘트 방송 시스템
CN114079799A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音乐直播系统和方法
TWI559775B (zh) 網路協同演奏系統
US202103209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assive multiplayer online interaction on remote events
KR102452069B1 (ko) 방송 동기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137606A1 (ja) 管理サーバ
Gabrielli et al. Networked Music Performance
KR101950852B1 (ko)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자유선택시점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10883B1 (ko)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의 스트리밍 클라이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