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302Y1 - Separator for iron bar - Google Patents

Separator for iron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302Y1
KR200227302Y1 KR2020010001545U KR20010001545U KR200227302Y1 KR 200227302 Y1 KR200227302 Y1 KR 200227302Y1 KR 2020010001545 U KR2020010001545 U KR 2020010001545U KR 20010001545 U KR20010001545 U KR 20010001545U KR 200227302 Y1 KR200227302 Y1 KR 200227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embers
reinforcing bar
scre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5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승문
박문용
이창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01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3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302Y1/en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고안은 벽체나 기둥에 사용되는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구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reinforcing bars used for walls or columns.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설치가 용이하며,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간격 유지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easy to install and provides a universally available rebar spacing tool.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of design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간격 유지구는, 제1 및 제2 부재로 분리되는 몸체(10,30)와, 상기 몸체(10,30) 하부에 설치된 한 조의 수평클램프(15, 35)와, 상기 몸체(10,30)의 상부에 설치된 한 조의 수직클램프(19, 39)와, 상기 몸체(10,30)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조의 종단부재(20, 40)를 구비한다.Reinforcing bar re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30) is separ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 set of horizontal clamps (15, 35) installed below the body (10,30) and the body ( A pair of vertical clamps (19, 39) installed on the top of the 10, 30, and a pair of end members (20, 4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10,30).

이러한 본 고안은, 수직 및 수평철근(50, 51, 60, 61)을 함께 고정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ing bars (50, 51, 60, 61) is fixed together, the length can be adjusted to be used universally.

4. 고안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건축물 시공 시 배설되는 철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데 이용된다.It is used to maintain the spacing of rebars that are excreted during construction of buildings.

Description

철근 간격 유지구{SEPARATOR FOR IRON BAR}Rebar spacing {SEPARATOR FOR IRON BAR}

본 고안은 벽체나 기둥의 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철근의 간격 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가 용이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철근 간격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ing holder for reinforcing bars installed for the construction of walls or colum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bar spacing tool for easy installation and adjustable length.

일반적으로 벽체나 기둥을 시공하기 위해 거푸집 사이에 설치하는 철근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1782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간격 유지구를 사용하여 왔다.In general, in order to maintain the spacing of the reinforcing bars provided between the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walls or pillars, conventionally, the spacing holder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78204 has been used.

도 1a 및 도1b는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178204호에 개시된 철근간격 유지구의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and use state diagrams of the reinforcing bar holder disclosed in the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0178204.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간격 유지구는 본체(1)의 양측에, 거푸집 판낼(가)과 철근(나)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20', 30')을 두고 철근수납부(2, 3)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수납부(2, 3)에 철근(나)의 자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11')를 형성시키되, 하나의 철근수납부(2)는 그 개구부(21') 방향(D)을 타측 철근수납부(3) 방향으로 약 45도의 기울기(A)를 가지도록 형성시킨다. 그리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 및 철근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간격 유지구를 설치할 때에, 기울게 형성된 철근수납부(2)의 개구부에 철근(나)을 위치시키고, 타측 철근 수납부(3) 부분을 잡고 당기면 철근수납부(2)에 철근이 수납되게 하고, 이어서 다른쪽 철근을 다른 철근수납부(3)에 수납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conventional gap holders have gaps 20 'and 30'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die plate and the reinforcing bar. Reinforcing bars 2, 3 are formed. In addition,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2, 3) to form a departure prevention opening (11 ') for preventing the arbitrary separation of the reinforcing bar (b), one reinforcing bar 2 is the opening 21' The direction D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 of about 45 degre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part 3. Thus, when the gap holder is provid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formwork is constant, the reinforcing bar (b) is placed in the opening of the inclined reinforcing bar 2 and the other side. Retracting and holding the reinforcing bar 3, the reinforcing bar is accommodated in the reinforcing bar 2, and then the other reinforcing bar in the other reinforcing bar 3 to be installed.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간격 유지구(1)는 수평철근이나 수직철근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가 가능하여 수평 및 수직철근의 간격을 함께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수평 및 수직 철근 모두에 간격 유지구를 설치하거나, 어느 한측 철근(수평 또는 수직)에만 간격 유지구를 설치하고 간격유지구가 설치되지 않은 측의 철근은 간격유지구에 의해 지지 고정된 철근과 함께 별도의 철사로 고정하였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pacing holder (1) can be installed only in any one of the horizontal rebar or vertical rebar, and thus cannot hold the spacing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bars together. It is installed, or only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horizontal or vertical) is provided with a gap retainer, and the reinforcing bar on the side where the gap retainer is not installed is fixed with a separate wire together with the rebar supported by the gap retainer.

따라서 간격유지구를 수직 및 수평 철근에 개별적으로 고정시키거나, 어느 일측을 별도의 철사로 고정하게 되는 경우 작업이 복잡해지고 번거러워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spacer is fixed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ing bars individually, or if either side is fixed by a separate wire, the work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또한, 상기와 같은 간격 유지구(1)는 그 길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두께를 달리하는 벽체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규격으로 제품을 생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pacing holder 1 is fixed in length,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 must be produced in various standards because it cannot be used universally for wall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 및 수직 철근을 동시에 고정하면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고, 두께를 달리하는 벽체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길이변환이 가능한 철근 간격 유지구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bar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the spacing, to provide a rebar spacing holder that can be changed in length so as to be universally applicable to the wall of varying thickness Is in.

도 1a 및 도1b는 종래 철근 간격 유지구의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tate diagram of use of a conventional rebar spacer.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근 간격 유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bar spacing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근 간격 유지구의 사용 상태도이다.Figure 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bar spac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30 : 제1 및 제2 부재 20, 40 : 제1 및 제2 종단부재10, 30: first and second members 20, 40: first and second termination members

15, 35 : 제1 및 제2 수평클램프 19, 39 : 제1 및 제2 수직클램프15, 35: first and second horizontal clamps 19, 39: first and second vertical clamp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단측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원통형의 제1부재와,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홈이 일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일단측과 결합하고, 타단측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원통형의 제2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개구가 형성된 탄성의 원형 판재로 이루어지고, 개구가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수평철근을 수납하는 수평 클램프와;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상부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철근과 교차하는 수직철근을 수납하는 한 조의 수평 클램프; 및 나사를 내주면에 형성하고 있는 중공홈이 일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부재의 각 단부와 나사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단측에는 첨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조의 종단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llow cylindrical first member having a screw formed on both end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groove formed with a screw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combined with one end of the first member, A body comprising a hollow cylindrical second member having a screw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A horizontal clamp formed of an elastic circular plat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the horizontal clamp being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so that the opening faces the ground, and receiving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 set of horizontal clamps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accommodate vertical bars intersecting the horizontal bars; And a hollow groove having a screw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as to be screwed and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nd a pair of end members having an attachment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do.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2 이하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등,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2 attache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nfiguration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assist in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근 간격 유지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근 간격 유지구의 사용 상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bar spa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bar spa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간격 유지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부재로 분리되는 몸체(10,30)와, 상기 몸체(10,30) 하부에 설치된 한 조의 수평클램프(15, 35)와, 상기 몸체(10,30)의 상부에 설치된 한 조의 수직클램프(19, 39)와, 상기 몸체(10,30)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조의 종단부재(20, 4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rebar spac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nd 30 separated into first and second members, and a set of horizontal clamps 15 installed below the body 10 and 30. 35, a set of vertical clamps 19 and 39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dies 10 and 30, and a set of end members 20 and 4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ies 10 and 30. .

몸체(10,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사 결합되는 중공 원통형의 제1 및 제2 부재로 구성되며, 제1부재(10)는 일측 외주면에 종단부재(2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 제2 부재(3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30)는 일측 내주면에 상기 제1 부재(10)의 타측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외주면에 종단부재(4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부재는 나사 결합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면서 나사 결합된다.Body 10 and 30 is composed of a hollow cylindrical first and second members that are screwed together as shown in Figure 2, the first member 10 is to be coupled to the end member 20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A screw is formed, and the screw for engaging with the 2nd member 30 is formed in the other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second member 30 has a screw for engag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member 10 on one sid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crew for engaging with the termination member 40 on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s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screwed while varying in length by screwing.

한 조의 수평 클램프(15,35)는 각각, 개구가 형성된 탄성의 원형 판재로 이루어지고, 개구가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재(10,3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수평철근(60)을 개구에 밀어 넣어 수납하게 된다.The pair of horizontal clamps 15 and 35 are each made of an elastic circular plate having an opening, and are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and 30 so that the openings face the ground, and the horizontal rebar The 60 is pushed into the opening to be housed.

한 조의 수직 클램프(19,39)는 각각, 상기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3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철근(60)과 교차하는 수직철근(50)을 수납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부재(10,3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단부에 나사(13,33)가 형성된 돌출봉(12,32)에 일단이 삽입되어 조임너트(18,38)에 의해 조여져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 클램프(19,39)는 상기 일단에 고리(17)가 형성되고 타단에 수평 클램프와 같은 형태의 원형 판재(16,36)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17)는 상기 돌출봉(12,32)에 끼워지며, 타단의 상기 원형 판재(16,36)는 상기 고리(17)를 힌지로 회동되어 소정 위치에서 수직철근(50)을 수납하게 된다. 수직철근(50)의 수납 후에는 상기 돌출봉(12,32)의 단부의 나사와 결합하는 조임너트(18,38)에 의해 최종적으로 고정된다.The pair of vertical clamps 19 and 39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30 to accommodate the vertical rebar 50 intersecting with the horizontal rebar 60,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and 30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protrusions 12 and 32 having screws 13 and 33 formed thereon, and fastening nuts 18 and 38. It is tightened and fixed by). To this end, the vertical clamps 19 and 39 have loops 17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circular plate members 16 and 36 having the same shape as horizontal clamp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12 and 32, the other end of the circular plate (16, 36) is rotated by the ring 17 to the hinge to accommodate the vertical reinforcement (5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fter the storage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50, it is finally fixed by the tightening nuts (18, 38) to engage with the screws of the end of the protruding rods (12, 32).

몸체(10,30)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조의 종단부재(20, 40)는, 일측에 제1 및 제2 부재(10, 30)의 나사가 형성된 외측부위(14, 34)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를 내주면에 형성하고 있는 중공홈(41)이 형성되어 있고, 거푸집 판낼(도시하지 않음)과 접촉하는 타측에는 첨부(22, 42)가 형성된다.The pair of end members 20 and 4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ies 10 and 30 may be screwed to the outer portions 14 and 34 where the screws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and 30 are formed on one side thereof. The hollow groove 41 which forms the screw fo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and attachments 22 and 42 are formed in the other side which contacts the form | plate board (not shown).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간격유지구의 작용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the operation and use state of the reinforcing bar retaining 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벽체 시공을 위해 수직 및 수평으로 교차하는 철근 쌍이 2열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본 고안을 이용하여 철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제1 및 제2부재(10, 30)를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게 하되, 요구되는 소정길이를 가지도록 조절하여 연결하고, 한 조의 수직클램프(19, 39)를 상기 제1 및 제2부재(10, 30)의 외주 상부 측에 회동 자재하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한 조의 종단부재(20,40)를 상기 제1 및 제2부재(10, 30)의 단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시키되, 요구되는 철근과 거푸집 패널간의 간격에 상응한 길이를 가지게 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reinforcement ba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ir of reinforcing bar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tersecting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is installed, first, screwing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30) It is connected to, but adjusted to connect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required, and fixed a set of vertical clamps (19, 39) to be rotated on the upper peripheral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30). And a set of end members (20, 40) is fix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0, 30) by screwing, so as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between the required reinforcing bar and the formwork panel.

그런 후, 2열로 설치된 수평철근(60, 61)에 한 조의 수평 클램프(15,35)를 끼워 고정시킨다. 그리고, 한 조의 수직클램프(19,39)를 회동시켜 수직철근(50, 51)에 끼우고 조임너트(18)를 조여 수직클램프(19,39)가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로써 2열로 설치된 철근간의 간격과, 철근과 거푸집 패널간의 간격을 요구되는 간격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수직, 수평 철근을 용이하게 결합시키게 된다.Then, a pair of horizontal clamps 15 and 35 are fitted to the horizontal rebars 60 and 61 installed in two rows. Then, the pair of vertical clamps 19 and 39 are rotated to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rebars 50 and 51 and the tightening nuts 18 are tightened to fix the vertical clamps 19 and 39 so as not to rotate. This maintains the spacing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 two rows and the spacing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formwork panel, while easily combining vertical and horizontal rebars.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몸체부재(10,30,20,40)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두께로 시공되는 벽체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y the length of the body member (10, 30, 20, 40)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universally for walls constructed in various thicknesses.

한편, 벽체의 용도에 따라서는 철근이 1열로만 배열되어 설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본 고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부재(30)를 제거하고 제1부재(10) 양단에 종단부재(20,40)를 바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1열로 설치된 철근과 거푸집 패널간을 요구되는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use of the wall, the reinforcing bar may be arranged in one row only, in the case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structure, the second member 30 is removed and the termination member at both ends of the first member 10 When the 20 and 40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formwork panel installed in one row can be maintained at the required interval.

상술한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고안은, 간단한 작업에 의해 수평 및 수직 철근을 고정하는 동시에 철근과 철근, 철근과 거푸집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고, 몸체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두께를 갖는 벽체 시공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nd act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bars and formwork at the same time to fix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bar by a simple operation, and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ody member Has the effect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for wall construction having a branch thickness.

Claims (3)

철근의 간격 유지구에 있어서,In the gap holder of the rebar, 양단측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원통형의 제1부재와,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홈이 일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의 일단측과 결합하고, 타단측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 원통형의 제2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와;Hollow cylindrical first member having a screw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both ends and a groove formed with a screw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at one end to engage with one end side of the first member, and hollow formed with the screw at the other outer peripheral surface A body comprising a second cylindrical member; 개구가 형성된 탄성의 원형 판재로 이루어지고, 개구가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수평철근을 수납하는 수평 클램프와;A horizontal clamp formed of an elastic circular plate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the horizontal clamp being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so that the opening faces the ground, and receiving horizontal reinforcing bars;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상부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철근과 교차하는 수직철근을 수납하는 한 조의 수평 클램프; 및A set of horizontal clamps fix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accommodate vertical bars intersecting the horizontal bars; And 나사를 내주면에 형성하고 있는 중공홈이 일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부재의 각 단부와 나사 결합되어 연결되고, 타단측에는 첨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조의 종단부재A hollow groove having a screw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is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by screwing, and a set of end members having an attachment formed at the other end side thereof.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간격유지구.Reinforcing bar spac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몸체를 이루는 제1 및 제2 부재는,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돌출봉이 상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간격유지구.The first and second members constituting the body, the reinforcing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rod with a screw formed at the e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수직 클램프는,The vertical clamp, 상기 돌출봉에 끼워지기 위한 고리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원형 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간격 유지구.Reinforcing bar re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for fitting to the protruding rod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circular plate forming an opening.
KR2020010001545U 2001-01-19 2001-01-19 Separator for iron bar KR2002273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45U KR200227302Y1 (en) 2001-01-19 2001-01-19 Separator for iron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45U KR200227302Y1 (en) 2001-01-19 2001-01-19 Separator for iron 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302Y1 true KR200227302Y1 (en) 2001-06-15

Family

ID=7306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45U KR200227302Y1 (en) 2001-01-19 2001-01-19 Separator for iron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30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7489A (en) Novel fastener device
US10240715B2 (en) Adjustable panel mount
US6123209A (en) Rack
US10660439B2 (en) Bracket mechanism for pre-fabricated office enclosure beam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GB2234540A (en) Adjustable brickwork or other facade support apparatus
US5855807A (en) Concrete form securing device
KR200227302Y1 (en) Separator for iron bar
JPH0414662Y2 (en)
JPH0247461A (en) Execution of tiled wall
JP2003079024A (en) Fixing device for reinforcing bar installation box
JP3665128B2 (en) Building separator fixing bracket
JP2000189258A (en) Vibration proof device of storage shelf
JP2538934Y2 (en) Mosaic panel
KR200149861Y1 (en) Fixing material of decorating stone panel
JPH053487U (en) Holder for formwork members for concrete pouring
JP2004019313A (en) Support for anchor bolt
JPH0510097Y2 (en)
JPS635575Y2 (en)
KR200337176Y1 (en) Concrete form aligner
JPH051530Y2 (en)
JPH0231866Y2 (en)
JP2587005Y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eiling rail and the square column hanging the panel in the partition panel
JP2852850B2 (en) Exterior panel connection device
JPH0451463Y2 (en)
JP2796946B2 (en) Wire shelves for angle she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