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059Y1 -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 Google Patents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059Y1
KR200227059Y1 KR2020000035318U KR20000035318U KR200227059Y1 KR 200227059 Y1 KR200227059 Y1 KR 200227059Y1 KR 2020000035318 U KR2020000035318 U KR 2020000035318U KR 20000035318 U KR20000035318 U KR 20000035318U KR 200227059 Y1 KR200227059 Y1 KR 200227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edal
fixed
pedal
connecting por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상
Original Assignee
박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상 filed Critical 박준상
Priority to KR2020000035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059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운행시 기어변속 전 운전자가 발로서 작동하는 클러치 페달이 적은 힘을 가하여도 더욱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설치될 수 있음에 따라서 장시간 운전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페달의 작동에 따른 피로도를 최소화하여 안전운전을 도모 한편, 그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널리 보급이 가능함으로 자동차의 기능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는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클러치 페달(P) 일측면에 A고정지점(20)과 상기 A고정지점(20)에서 일정거리를 갖는 B고정지점(21)을 정한 다음 1차, 2차, 3차 연결부(11,12,13)를 갖는 '

Description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a clutch device which working with little power}
본 고안은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 운행시 기어변속 전 운전자가 발로서 작동하는 클러치 페달이 적은 힘을 가하여도 더욱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설치될 수 있음에 따라서 장시간 운전하는 운전자로 하여금 페달의 작동에 따른 피로도를 최소화하여 안전운전을 도모 한편, 그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널리 보급이 가능함으로 자동차의 기능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는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차종에 장착된 클러치 페달의 구조는 대부분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내부에 구비된 클러치마스터실린더(103)에서 작동되는 푸시로드와 연결되고, 페달서포트멤버(100)에 고정핀(101) 등으로 고정되어 상기 핀(101)의 중심으로 상, 하 일정간격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있다, 이때 상기 페달(P)이 사용자가 발로 눌러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다시 원위치 되게 되는데, 이때 작용되는 힘은 상기 페달(P)과 연결된 푸시로드(102)가 가지는 자체압력과 상기 고정핀(101)의 측부에 장착되는 리턴스프링(103)의 탄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푸시로드(102)는 클러치마스터실린더(104)내에서 에어 또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함으로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데, 그 압력에 의하여 운전자가 페달(P)을 반복하여 작동시 발(관절 등)에 무리를 줄 수도 있고 장시간 운행시 피로가 가중되는 요인이 되기도 하여 안전운전을 해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각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보완된 제품이 시중에 출시되기도 하였는데, 이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기 많은 생산원가가 요구되는 등 사실상 널리 적용되지 못하고 일부 특정차량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존 클러치 페달이 가지는 문제점을 일소키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기어를 변속하기 위하여 페달을 하방으로 작동할 때 스프링의 부가 힘이 함께 작용되어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하방으로 작동이 되도록 함은 물론, 원위치로 돌아올 때도 자체내부에 장착된 푸시로드가 가지는 상승작용 힘에 상기 스프링의 상승작용이 추가로 가해짐으로 자동으로 원상 복귀될 수 있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클러치 페달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도 2는 본 고안의 페달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조도도 3은 본 고안의 장치에서 페달이 하방으로 작동된 상태의 구조도도 4는 본 고안의 페달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도도 5는 본 고안의 페달장치가 작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페달 10:링크플레이트11:1차 연결부 12:2차 연결부13:3차 연결부 20:A고정지점21:B고정지점 22:C고정지점30:스프링 장력장치 31:록킹32:연결대 33:스프링
위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페달(P) 일측부에 3개의 연결부(11,12,13)를 갖는 ''형 링크플레이트(10)를 구비시키되, 상기 3개의 연결부(11,12,13) 중에서 일측부의 1차 연결부(11)가 상기 클러치페달(P) 측면의 연결수단(연결핀 또는 연결볼트 등, 5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각 다른 부재와 연결되어 상호 링크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플레이트(10) 중 1차 연결부(11)가 상기 연결수단(50)에 의하여 페달(P)측면에 고정되는 부위를 A고정지점(20)이라 편의상 명명한다.
그리고 상기 ''형 링크플레이트(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3개 지점에 연결부(11,12,13)를 가지는데, 상기 3개의 연결부(11,12,13)를 각 부분별로 1차(선측, 11), 2차(중앙의 돌출부, 12), 3차 연결부(후측,13)로 편의상 분리 설명키로 한다.
한편 상기 클러치페달(P)의 측부의 A고정지점(20)에 1차 연결부(11)가 연결되는 링크플레이트(10)에서 2차 연결부(12)와 상기 A고정지점(20)과 일정거리를 갖는 클러치페달(P)의 동일측면의 B고정지점(21) 사이에는 스프링 장력장치(30)를 구성시킨다.
상기 스프링 장력장치(30)는 전, 후단에 베어링이 내장되어 상기 2차 연결부(12)와 B고정지점(21)를 결속하는 록킹(31)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31)사이에 지름이 적은 파이프(32a)의 일부가 지름이 큰 파이프(32b)내에 삽입되어 길이를 늘려다 줄여다 할 수 있는 연결대(32)를 구비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대(32) 외향으로 일정 탄성을 갖는 스프링(33)이 설치된다.도면중 미설명 부호 35는 스프링(33)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임.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스프링장력장치(30)는 상기 클러치 페달(p)의 측면의 A고정지점(20)에 1차 연결부(11)가 연결되는 링크플레이트(10) 중 2차 연결부(12)와 B고정지점(21)사이에 장치됨으로서 항시 미는 힘이 작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플레이트(10)의 3차 연결부(13)는 상기 클러치 페달(P)의 측방 밑면 즉,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어 일정높이로 돌출시킨 전후로 유동될 수 있는 고정로드(40)에 연결된다. 이 부분을 C고정지점(22)이라 칭한다.
따라서 상기 링크플레이트(10)의 1차 연결부(11)는 상기 클러치페달(P)의 A고정지점(20)에 연결되게 되고, 2차 연결부(12)는 상기 클러치페달(P)의 A고정지점(20)에서 일정거리를 갖는 B고정지점(21)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장력장치(30)와 연결되며, 3차 연결부(13)는 상기 클러치 페달(P)과는 별도 구성된 고정로드(40)의 C고정지점(22)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페달(P)을 작동하지 않는 상태 즉, 상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고정지점(20)과 B고정지점(21)의 직선상에서 상기 2차 연결부(12)의 위치를 일정하게 낮게 위치되도록 한다.도면중 미설명 부호 200번은 충격완화용 패드이고, 201번은 상기 패드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볼트이며, 202번은 페달이 좌,우로 흔들리지 못하도록 균형을 유지시키는 보강대를 나타내는 것임.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클러치 페달의 장치에서 운전자가 클러치페달(P)을 작동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 페달(P)은 차체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페달서포트멤버(100)의 페달 고정핀(101)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페달 일측면의 A고정지점(20)이 상기 페달(P)의 위치이동으로 하방으로 움직임으로 상기 링크플레이트(10)의 2차 연결부(12)가 A고정지점(20)과 B고정지점(20)의 직선상에서 상부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플레이트(10)의 2차 연결부(12)와 상기 B고정지점(21)간의 거리도 멀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2차 연결부(12)와 상기 B고정지점(21)간 구비된 스프링 장력장치(30)에는 그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하여 미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쉽게 하방으로 작동이 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상기 페달(P)을 작동할 때 상기 2차 연결부(12)가 상기 A고정지점(20)과 B고정지점(21)의 직선상에서 일정부분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까지만 일정한 힘을 가하면 나머지 작동부분은 상기 스프링장력장치(30)에서 힘이 추가로 부가됨으로 쉽게 작동될 수 있다.한편 상기 하방으로 작동이 이루어진 다음 상방향으로 원위치 될 때 종래에는 자동차 내부에 장치된 푸시로드(102)가 가지는 자체적인 상승작용의 힘과 리턴스프링(103)의 힘에 의존하였는데,본 고안에서는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스프링장력장치(30)에 발생되는 미는 힘이 함께 작용하도록 하여 더욱 확실하게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하였다.즉, 상기 푸시로드(102)와 리턴스프링(103)에 의하여 일정한 위치로 페달(P)이 상승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10)의 2차 연결부(12)가 상기 A고정지점(20)과 B고정지점(21)의 직선상에서 일정부분 하방향으로 위치 전환되면 상기 스프링장령장치(30)에서 미는 힘이 상방향으로 작용됨으로 자동으로 페달(P)이 상사점에 도달될 수 있다.여기에서 상기 스프링장력장치(30)에 구비되는 스프링(33)의 장력 설정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됨으로 재질과 길이 및 굵기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적용하여야한다. 만약 장력이 아주 강한 스프링(33)을 사용하게되면 상기 푸시로드(102)와 리턴스프링(103)의 상승작용 힘이 상기 강한 스프링(33)의 미는 힘에 의하여 페달(P)이 스프링장력장치(30)에서 상승작용 힘에 작용될 수 있는 지점까지 도달하지도 못할 수도 있고, 반대로 너무 약한 스프링(33)을 사용할 경우 그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고안의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는 운전자가 페달을 작동할 때 스프링의 미는 힘이 함께 작용함으로서 운전자가 적은 힘으로 페달을 작동할 수 있어 기존 페달의 구조에 비하여 관절에 미치는 악영향이 월등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장시간 운전하더라도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어 쾌적운전과 안전운전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고, 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일반인들의 차량에도 부담 없는 가격대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실로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통상의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P)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페달(P) 일측면에 A고정지점(20)과 상기 A고정지점(20)에서 일정거리를 갖는 B고정지점(21)을 정한 다음 1차, 2차, 3차 연결부(11,12,13)를 갖는 ''형 링크플레이트(10)를 구비시키되,
    상기 1차 연결부(11)를 연결수단(50)을 통하여 상기 클러치페달(P) 측면에 연결시키고, 상기 2차 연결부(12)와 B고정지점(21)간 스프링장력장치(3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3차 연결부(13)는 차체에 고정되어 돌출 구성되는 고정로드(40)의 C고정지점(22)에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은 힘으로 작동되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력장치(30)는 전, 후단에 록킹(31)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31)사이에 지름이 적은 파이프(32a)의 일부가 지름이 큰 파이프(32a)내에 삽입되어 길이를 늘려다 줄여다 할 수 있는 연결대(32)를 구비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대(32) 외향으로 일정 탄성을 갖는 스프링(33)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은 힘으로 작동이 되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KR2020000035318U 2000-12-16 2000-12-16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KR200227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318U KR200227059Y1 (ko) 2000-12-16 2000-12-16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318U KR200227059Y1 (ko) 2000-12-16 2000-12-16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540A Division KR100428475B1 (ko) 2000-12-27 2000-12-27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059Y1 true KR200227059Y1 (ko) 2001-06-15

Family

ID=7309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318U KR200227059Y1 (ko) 2000-12-16 2000-12-16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0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97226B6 (cs) Modul plynového pedálu
JPH11222156A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US3700062A (en) Neutr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owered trucks
ATE363997T1 (de) Anordnung, die das zurückziehen eines kraftfahrzeug- fusspedals gestattet und kraftfahrzeug mit einer derartigen anordnung
US7181991B2 (en) Automobile accelerator and brake pedal device
KR200227059Y1 (ko)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KR20020046878A (ko) 적은 힘으로 작동되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JP4613001B2 (ja) ペダルモジュール
US2202126A (en) Dual accelerator
JPH0822338A (ja)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JP4507857B2 (ja) 車両用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H1159351A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JPH11115699A (ja) ペダル機構
CN211054924U (zh) 踏板机构以及车辆
JP3671668B2 (ja)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JPH08200484A (ja) At車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0272356A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衝突安全装置
JP3237571U (ja) 安全ペダル装置
JP2001290548A (ja) 前後調節可能な車両用ペダル装置
KR100361815B1 (ko) 파킹 케이블의 장력조정 너트
JPH0538280Y2 (ko)
JPH05112218A (ja) 車両用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H0317368U (ko)
KR970006342Y1 (ko) 운전교습용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수동조작장치
JPH0613021Y2 (ja) キヤブオ−バ型車両におけるペダル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