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939Y1 - 판부채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판부채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939Y1
KR200226939Y1 KR2020010000008U KR20010000008U KR200226939Y1 KR 200226939 Y1 KR200226939 Y1 KR 200226939Y1 KR 2020010000008 U KR2020010000008 U KR 2020010000008U KR 20010000008 U KR20010000008 U KR 20010000008U KR 200226939 Y1 KR200226939 Y1 KR 200226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late
mounting
groove
re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이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영 filed Critical 이원영
Priority to KR2020010000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939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판형의 선면판(03)과 일체형 손잡이(1)를 조합하여 제조하는 판부채의 손잡이(1)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선면판(03)과 손잡이(1)를 결합함에 있어서, 별도의 결합 편(56,74)을 사용하거나, 손잡이(1)의 상단 일측을 수직으로 반분절삭하여 제거한 후 홈을 형설하여 결합하였으며, 이 후 반분절삭한 양측의 내면에 장착돌기를 형성하여 장착되도록 안출하고있으나, 별도의 조립공정이나
반분절삭에 의한 강도저하를 보정할 대안이 결여되어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고자, 전,후 2개의 몸체(2,22) 내면에, 결합돌기(6)를 구비하는 장착돌기(4)와 결합요홈(66)을 구비하는 장착요홈(44)을 형설하고, 몸체(2)와 손잡이 사이에는 굴절부(3)를 형설 하여 결합편의 사용요소를 해소하며, 단일공정의 신속한 조립과 견실한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중의 전,후 굴절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집 중되는 손잡이(1)와 선면판(03)의 피로도를 흡수 분산시켜 수명을 장기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판부채의 손잡이{Handle Of Plate Fan}
본 고안은 선면판용 판재를 임의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선면판(03)과 손 잡이(1)를 조합하여 제조하는 판부채의 손잡이(1)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는 선면판(03)과 손잡이(1)를 결합함에 있어서, 도 6 에서와
같이 별도의 결합편(56,74)을 사용하거나, 도 7 에서와 같이 손잡이(1) 의 상단을 수직으로 반분절삭하여 일측을 제거한 후 홈을 형설하여 결합 하였으며, 이 후 반분절삭한 양측의 내면에 장착돌기를 형성하여 장착 하도록 안출되고 있으나, 별도의 조립공정이나 반분절삭에 의한 강도저하 를 보정할 대안이 결여되어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위와 같은 결함들을 해소시켜, 조립이 견실 용이하며, 손잡이와 선면판에 집중되는 피로도를 흡수 분산시켜 사용중의 부드러운
운동감과 수명을 장기화 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A - A'의 측단면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고안 B - B'의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 C - C'의 단면 확대도
도 6은 종래의 결합편식 손잡이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힌지식 손잡이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몸체
3 : 굴절부
4 : 장착돌기
5 : 정착돌기
6 : 결합돌기
03 : 선면판
04 : 장착공
05 : 정착공
22 : 몸체
44 : 장착요홈
66 : 결합요홈
* 종래 실시예의 설명도는 각 도면의 기재부호 인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1)의 상단에 연계 형설되어 있는 굴절부(3)의 최상단부에는, 미세한 궁형의 형상으로 각각 밖으로 굴절된 전,후 2개의 몸체(2,22)를 소정의 간격으 로 격리시켜 대향으로 형설하며, 형설되는 일측의 몸체(2) 내면의 상단 부에는 결합요홈(66)이 중앙에 굴삭 형성된 장착돌기(4)가 좌측 말단으로 부터 우측 말단까지 횡향으로 형설되고, 타측의 몸체(22) 상단부에는
중앙에 결합돌기(6)가 돌출 형설된 장착요홈(44)이 일측의 몸체(2)에 형설 된 장착돌기(4)와 합치 결합되는 위치에 대향으로 굴삭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 장착돌기(4)와 장착요홈(44)은 1개조 이상 형설하여 전,후 몸체(2,22)들의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며,
또한 1개조 이상 형설하는 장착돌기(4)와 장착요홈(44)의 형설위치를 대향 격간의 반대방향으로 일측의 몸체(2)와 타측의 몸체(22)에 각각의 조별로 형설하여 체결력을 강화시키며, 장착요홈(44)과 결합요홈(66)들 의 굴삭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인열강도와 굴절강도의 저하를 균등화시키 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2,22)의 하단에는 정착돌기(5)를 형설하여 선면판(03)의 최하단에 천공하는 정착공(05)이 수직으로 삽입 장착되면서, 몸체(2)의 장착돌기(4)와 선면판(03)의 장착공(05)이 신속 정교하게 합치될 수 있도 록 정위치에 정착시키며, 서로 체결되는 몸체(2)와 선면판(03)의 유격을 방지하도록 하는 한편,
손잡이(1)와 몸체(2,22)사이에는, 전,후면에서 점진적으로 두께를 축소,확대시키며 절삭하여 형설하는 굴절부(3)를 형설하여, 완성되는 판 부채가 전체적으로 균등되는 유연한 굴절각을 갖도록 하였으며, 전,후 굴절 운동에 따라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소재의 피로도를 흡수 분산 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지는 것으로서,
이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 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을 인용하여 완성한 판부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A - A'의 측단면 부분확대도로서, 손잡이(1)의 최 상단부에는 미세한 궁형의 형상으로 각각 밖으로 굴절시킨 전,후 2개의 몸체(2,22)를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시켜 대향으로 형설하고, 일측의 몸 체(2) 상단 내면에 결합요홈(66)을 중앙에 굴삭 형성한 장착돌기(4)를, 몸체(2)의 좌측 말단으로 부터 우측 말단까지 횡형의 직사각형으로 형설 하며, 타측의 몸체(22) 상단부에는 일측의 몸체(2) 내면에 형설한 장착 돌기(4)와 서로 합치되는 위치에 결합돌기(6)를 돌출 형설한 장착요홈(44) 이 대향으로 굴삭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 결합요홈(66)을 구비한 장착돌기(4)와 결합돌기(6)가 돌출 형설된 장착요홈(44)의 체결조를 1개조 이상 형설하여 전,후 몸체(2,22) 들의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며,
또한 1개조 이상 형설하는 장착돌기(4)와 장착요홈(44)의 형설위치를 일측의 몸체(2)와 타측의 몸체(22)에 대향 격간의 반대방향으로 형설하여 체결력을 강화 시키며, 장착요홈(44)과 결합요홈(66)들의 굴삭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인열강도와 굴절강도의 저하를 균등화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한편, 도 4는 몸체(2,22) 하단부의 정착돌기(5)를 설명하는 단면도로 서, 전,후 2개의 몸체(2,22)와 연계 형설되는 정착돌기(5)는 선면판(03) 의 최하단에 천공하는 정착공(05)이 수직으로 삽입 장착되면서, 몸체(2, 22)의 장착돌기(4)와 선면판(03)의 장착공(05)이 신속 정교하게 합치 될수
있도록 정위치에 정착시키며, 서로 체결되는 몸체(2)와 선면판(03)의 유 격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두께를 축소, 확대시키며 전,후면을 절삭 형성하는 굴절부(3)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판부채를 사용할 때 에 전체적으로 균등되는 유연한 굴절각을 갖도록하며, 전,후 굴절 운동에 따라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소재의 피로도를 분할 흡수하여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단면의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인 바,
이와 같이 손잡이(1)로부터 굴절부(3)와 몸체(2,22)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합성수지재의 고유한 신축,복원성을 활용하는 판부채 손잡이(1) 의 특유한 작용은, 선면판(0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자 전,후 2개의 몸체(2,22)를 각각의 외측으로 미세하게 굴절시켜 상호 역향인 궁형의 형 상으로 격리 개구시켜 성형한 후, 선면판(03)을 삽입 장착 하고 몸체(2. 22)들을 합치 압착하여 결합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전,후 2개 몸체(2,22)
들의 역향 굴절각은 몸체(2,22)들 전체에 균등하게 분포되므로, 국부 적인 절곡현상에 의한 소재의 균열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수직으로 삽 입을 진행하면 선면판(03)의 최하단에 천공한 정착공(05)이 몸체(2,22)의 하단에 형설한 정착돌기(5)에 장착되어 정착하게 됨과 동시에, 몸체 (2, 22)에 형설된 장착돌기(4)가 선면판(03)에 천공한 장착공(0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정착 됨 으로서, 전,후 2개의 몸체(2)를 압착하는 단일공정으로 장착돌기(4)와 장착요홈(44)이 견실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의 결합돌기(6) 역시 결합요홈(66)에 삽지 결합되면서, 동시에 결합요홈(66)을 외부로 확대시켜 장착돌기(4)와 장착요홈(44)의 체결력을 더욱 강화시키는 반면, 스스로의 체결력도 강화되는 부대급부적인 효과 가 생성되게 된다.
또한 굴삭 형성하는 결합요홈(66)은, 돌출 형설하는 장착돌기(4)의 돌설부를 굴삭하여 형성하는 반면, 돌출 형설하는 결합돌기(6)는 굴삭 형성하는 장착요홈(44)의 중앙으로부터 돌출시켜 형성 함 으로서, 몸체
(2,22)를 굴삭하는 깊이의 최소화로 강도의 저하도 최소화되는 효과적인 구성을 갖는다.
한편, 손잡이(1)와 몸체(2,22)사이를 전,후면에서 절삭하여 두께를 점진적으로 축소,확대시켜 형설하는 굴절부(3)는, 절삭으로 인하여 굴절 강도가 약화된 전,후의 방향으로만 굴절 됨 으로서, 부채를 사용할 때 에 잡고 있는 원주형의 손잡이(1)가 손 안에서 무작위로 회전되는 일이 없이 안정이 되며, 선면판(03)의 전,후 굴절에 의한 피로도가 몸체(2,22)와 체결된 인접 부분에만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분할 흡수하여 광범위 하게 분산시키는 작용을 겸 하는 것이다.
위에서와 같이, 손잡이와 선면판의 조립에 있어서, 삽입압착의 단일공정 으로도 유격이 없이 견실하게 복합 체결되어 해지되는 일이 없으며, 몸 체의 굴삭깊이가 최소화 되어 강도의 저하가 극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굴절부의 형설로 피로도를 분할 흡수하여 분산시킴 으로서, 굴절각의 분포도가 균등하게 이루어져, 부채를 사용할 때의 운행이 유연 하면서도 부채의 수명이 증대되는 특유한 작용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판형의 선면판(03)과 조합하여 제조하는 판부채의 손잡이(1)에 있어서, 손잡이(1)의 상단에, 점진적으로 전,후의 두께를 축소 확대시켜 형설하는 굴절부(3)를 형설하고, 굴절부(3)의 상단에 연계하여 전,후 2개의 몸체 (2,22)를 미세한 궁형의 형상으로 각각 밖으로 굴절시켜 대향으로 격리 형설한 후, 일측의 몸체(2) 내면에 결합요홈(66)을 굴삭 형성한 장착돌기 (4)를 횡형으로 형설하여, 타측의 몸체(22) 내면에 형설하는 결합돌기(6) 가 돌출 형설된 장착요홈(44)과 합치 결합되도록 하며, 몸체(2,22)의 하 단에는 정착돌기(5)를 형설하여, 장착공(04)과 정착공(05)이 천공된 선면 판(03)에 체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 함 을 특징으로 하는 판부채의 손잡 이.
KR2020010000008U 2001-01-02 2001-01-02 판부채의 손잡이 KR200226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008U KR200226939Y1 (ko) 2001-01-02 2001-01-02 판부채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008U KR200226939Y1 (ko) 2001-01-02 2001-01-02 판부채의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939Y1 true KR200226939Y1 (ko) 2001-06-15

Family

ID=7306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008U KR200226939Y1 (ko) 2001-01-02 2001-01-02 판부채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9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9766B2 (en) Leveling partition mounting system
KR102262484B1 (ko) 파티션 패널용 연결부재
KR200226939Y1 (ko) 판부채의 손잡이
KR100358949B1 (ko) 조립용 가구 연결구
KR200364627Y1 (ko) 그레이팅의 고정 구조
KR200222967Y1 (ko) 방풍틀 개공부 마감재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JP3768356B2 (ja) 型枠用セパレーター
KR100993386B1 (ko) 무한궤도 차량용 트랙 슈
KR100716214B1 (ko) 부착물 부착이 용이한 석재 패널과 이를 이용한 도어 벽체시스템
WO2023074180A1 (ja) 天井パネルおよびパネル取り外し方法
KR100472603B1 (ko) 콘트리트 측벽 거푸집 및 그의 결합구조
KR200306783Y1 (ko) 멘홀의 소음방지장치
KR200377459Y1 (ko)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KR200273590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결합구조
KR200337276Y1 (ko) 문틀의 스톱퍼
KR200199004Y1 (ko) 건축의 외벽장식공사용 요철캡
KR101958592B1 (ko) 조립식 가구
KR200224016Y1 (ko) 설비구조용 프로파일의 조립구조
KR200254605Y1 (ko) 마루깔개 매트블록
JP2003105870A (ja) 建築用構造材の接続構造
KR200294794Y1 (ko) 콘트리트 측벽 거푸집 및 그의 결합구조
KR20020016480A (ko) 건물용 판재 앵커
KR200285779Y1 (ko) 파티션 체결구
KR200170754Y1 (ko) 조립식 천정판의 모서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