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624Y1 -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24Y1
KR200226624Y1 KR2020000036394U KR20000036394U KR200226624Y1 KR 200226624 Y1 KR200226624 Y1 KR 200226624Y1 KR 2020000036394 U KR2020000036394 U KR 2020000036394U KR 20000036394 U KR20000036394 U KR 20000036394U KR 200226624 Y1 KR200226624 Y1 KR 200226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d
link
coupled
frame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종
Original Assignee
강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종 filed Critical 강신종
Priority to KR2020000036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24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미용실에서 손님의 신체조건이나 헤어디자이너의 신체조건에 따라 헤어디자이너가 손님의 머리를 손질하기 가장 알맞는 위치로 의자의 높이를 상,하로 자유롭게 조절토록 한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에 관한 것으로, 이와같은 본 고안은 상면에 내부가 빈 관체를 수직으로 용접하여서된 지주후레임을 형성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지주후레임 하부에 외부전원과 연결된 높이조절발판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높이조절발판의 선택적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정역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의 회전시 전,후 이동되며 양측에 돌기가 형성된 이송구와,
상기 이송구의 돌기에 하단의 장공이 결합되고 상단은 지주후레임에 힌지결합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여서된 전,후회동구와,
상기 전,후회동구의 돌출부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 및 지주후레임에 후단이 힌지결합되고 제1링크의 상단이 중간부분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 그리고 제2링크의 선단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제3링크로 이루어진 링크결합부와,
상기 링크결합부의 제3링크의 선단에 하부저면이 힌지결합되고 지주후레임의 상부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며 상단에는 시트받침구가 힌지결합된 승강후레임과,
상기 승강후레임에 힌지결합된 시트받침구의 하단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지주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시트받침구가 항상 수평을 유지토록 하는 수평지지간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UP-DOWN control simply beauty art chair}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용실에서 손님의 신체조건이나 헤어디자이너의 신체조건에 따라 헤어디자이너가 손님의 머리를 손질하기 가장 알맞는 위치로 의자의 높이를 상,하로 자유롭게 조절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용실에서 머리를 손질하기 위해서 앉게 되는 이,미용의자의 경우에는 손님의 신체조건은 물론 헤어디자이너의 신체조건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헤어디자이너가 작업하기 가장 좋은 위치로 손님의 머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의자의 높이를 조절해 주어야 만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안출된 종래의 이,미용의자들은 거의 모두가 의자의 높낮이 조절시 유압을 이용하거나 복잡한 기어전달방식을 이용하는 등 전체적으로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가격이 비쌌으며 무엇보다도 작동의 정확성과 정밀성결여와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미용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전체적으로 그 구성을 간단하게 함은 물론 작동이 정확하고 정밀하며, 부드럽게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 고품질의 이,미용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2a,도2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로서,
도2a는 이,미용의자를 최대한 높게 조절한 상태도.
도2b는 이,미용의자를 최대한 낮게 조절한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5,6,7a,7b,8a,8b:힌지 10:받침대
20:지주후레임 30:리드스크류
31:모터 33:높이조절발판
34:전선 35,35',36,36':리미트스위치
40:이송구 41:돌기
50:전,후회동구 51:장공
52:돌출부 60:링크결합부
61:제1링크 62:제2링크
63:제3링크 70:승강후레임
80:시트받침구 90:수평지지간
100:의자시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면에 내부가 빈 관체를 수직으로 용접하여서된 지주후레임(20)을 형성한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지주후레임(20) 하부에 외부전원과 연결된 높이조절발판(33)과 전선(34)으로 연결되어 높이조절발판(33)의 선택적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정역모터(31)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리드스크류(30)와,
상기 리드스크류(30)에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30)의 회전시 전,후 이동되며 양측에 돌기(41)가 형성된 이송구(40)와,
상기 이송구(40)의 돌기(41)에 하단의 장공(51)이 결합되고 상단은 지주후레임(20)에 힌지(1)결합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2)를 형성하여서된 전,후회동구(50)와,
상기 전,후회동구(50)의 돌출부(52)에 하단이 힌지(2)결합되는 제1링크(61) 및 지주후레임(20)에 후단이 힌지(4)결합되고 제1링크(61)의 상단이 중간부분에 힌지(3)결합되는 제2링크(62) 그리고 제2링크(62)의 선단에 하단이 힌지(5)결합되는 제3링크(63)로 이루어진 링크결합부(60)와,
상기 링크결합부(60)의 제3링크(63)의 선단에 하부저면이 힌지(6)결합되고 지주후레임(20)의 상부에 하단이 힌지(7a)결합되며 상단에는 의자시트(100)가 결합되는 시트받침구(80)가 힌지(7b)결합된 승강후레임(70)과,
상기 승강후레임(70)에 힌지(7b)결합된 시트받침구(80)의 하단에 상단이 힌지(8b)결합되고 하단은 지주후레임(20)에 힌지(8a)결합되어 시트받침구(80)가 항상 수평을 유지토록 지지하는 수평지지간(9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후레임(70)의 상단에 힌지(7b)결합된 시트받침구(80)는, 하단이 지주후레임(20)에 힌지(8a)결합된 채로 승강후레임(70)의 내부로 삽입되는 수평지지간(90)의 상단에 후단을 힌지(8b)결합하되, 승강후레임(70)의 힌지(7a)(7b)의 길이와 수평지지간의 힌지(8a)(8b)의 길이가 같도록 형성하여 높이조절시 항상 수평을 유지토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높이조절발판(33)을 눌러서 의자를 원하는 높이로 조정시 첨부도면 도1의 경우에는 전,후회동구(50)의 돌출부(52)가 상사점과 하사점에 도달하면 리미트스위치(33)(34)를 텃치하여 모터(31)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과도한 승,하강으로 인한 모터(31)를 포함한 장치 전체의 과부하를 방지토록 구성할 수 도 있으며, 첨부도면 도3의 경우에는 전,후회동구(50)의 동작시키는 이송구(40)가 리미트스위치(33')(34')를 텃치하여 모터(31)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과도한 승,하강으로 인한 모터(31)를 포함한 장치 전체의 과부하를 방지토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상기 미설명부호 (32)는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 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면에 밀착되는 받침대(10)의 상부에는 내부가 빈 지주후레임(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후레임(20)의 하부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높이조절발판(33)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높이조절발판(33)의 선택적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정역모터(31)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리드스크류(30)가 축결합되어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0)에는 양단에 돌기(41)가 형성된 이송구(4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송구(40)의 돌기(41)에는 상단이 지주후레임(20)에 힌지(1)결합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2)가 형성된 전,후회동구(50)의 하단에 구비된 장공(51)이 결합된다.
상기 전,후회동구(50)의 돌출부(52)에는 제1링크(61)의 하단이 힌지(2)결합되고 제1링크(61)의 선단은 상기 지주후레임(20)에 후단이 힌지(4)결합된 제2링크(62)의 중간부분에 힌지(3)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62)의 선단은 제3링크(63)의 후단과 힌지(5)결합되고 상기 제3링크(63)의 선단은 상기 지주후레임(20)의 상부에 하단이 힌지(7a)결합되고 상단에는 시트받침구(80)가 힌지(7b)결합된 승강후레임(70)의 하부에 힌지(6)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후레임(70)의 상단에 힌지(7b)결합된 시트받침구(80)는, 하단이 지주후레임(20)에 힌지(8a)결합된 채로 승강후레임(70)의 내부로 삽입되는 수평지지간(90)의 상단에 후단이 힌지(8b)결합되어 높이조절시 항상 수평을 유지토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미용실에서 머리를 손질하기 위해서 손님이 찾아오면 본 고안의 이,미용의자에 앉힌다음 헤어디자이너는 손님의 신체조건과 헤어디자이너 자신의 신체조건을 감안하여 의자를 높힐 것인가 낮출 것인가를 결정한다.
이와같은 결정에 따라 높이조절발판(33)의 어느 한쪽을 발로 누른다.
상기와 같이 하면 정역모터(31)가 회전력이 감속기를 거쳐 속도가 제어된 상태에서 리드스크류(3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리드스크류(30)에 나사결합된 이송구(40)가 전진 또는 후퇴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구(40)의 돌기(41)에 장공(51)이 결합된 전,후회동구(50)의 하단이 힌지(1)를 중심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후회동구(50)에 형성된 돌출부(52)는 상,하로 승강 또는 하강된다.
따라서, 돌출부(52)에 힌지 결합된 제1링크(61) 및 제1링크(61)에 힌지(3)결합된 제2링크(62) 그리고 제2링크(62)와 힌지(5)결합된 제3링크(63)가 차례로 동작하면서 상기 제3링크(63)와 힌지(6) 결합된 승강후레임(70)의 상단이 지주후레임(20)에 결합된 힌지(7a)를 중심으로 승,하강한다.
이와같이 승강후레임(70)가 승,하강하게 되면 상기 의자시트(100)에 고정설치되는 시트받침구(80) 또한 승강후레임(70)의 선단에 힌지(7b)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 승,하강하는데 이때, 상기 승강후레임(70)의 상단에 힌지(7b)결합된 시트받침구(80)는, 하단이 지주후레임(20)에 힌지(8a)결합된 채로 승강후레임(70)의 내부로 삽입되는 수평지지간(90)의 상단에 후단이 힌지(8b)결합되어 있어서 높이조절시 항상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의자의 높이가 원하는 높이가 되면 높이조절발판(33)에서 발을 뗀다.
그러면 정역모터(31)의 회전이 정지되어 헤어디자이너가 작업하기 가장 좋은 위치로 손님의 머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의자의 높이가 고정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이,미용의자는 높이조절발판(33)을 누름에 따라 간단히 의자를 원하는 높이로 조정가능한데 첨부도면 도1의 경우에는 전,후회동구(50)의 돌출부(52)가 상사점과 하사점에 도달하면 리미트스위치(33)(34)를 텃치하여 모터(31)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과도한 승,하강으로 인한 모터(31)를 포함한 장치 전체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되며, 첨부도면 도3의 경우에는 전,후회동구(50)의 동작시키는 이송구(40)가 리미트스위치(33')(34')를 텃치하여 모터(31)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과도한 승,하강으로 인한 모터(31)를 포함한 장치 전체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함은 물론 작동이 정확하고 정밀하게 움직인다.
그리고 부드럽게 높낮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미용의자를 사용하게 되면 머리를 손질하기 위해 찾아온 손님의 신체조건은 물론 헤어디자이너의 신체조건에 제약을 받을 필요없이 헤어디자이너가 작업하기 가장 좋은 위치로 손님의 머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의자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가 있어서 헤어디자이너의 경우에는 불편함이 없이 마음껏 제 실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손님의 경우에는 최상의 서비스로 머리손질을 받을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상면에 내부가 빈 관체를 수직으로 용접하여서된 지주후레임(20)을 형성한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지주후레임(20) 하부에 외부전원과 연결된 높이조절발판(33)과 전선(34)으로 연결되어 높이조절발판(33)의 선택적누름에 의해 회전하는 정역모터(31)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리드스크류(30)와,
    상기 리드스크류(30)에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30)의 회전시 전,후 이동되며 양측에 돌기(41)가 형성된 이송구(40)와,
    상기 이송구(40)의 돌기(41)에 하단의 장공(51)이 결합되고 상단은 지주후레임(20)에 힌지(1)결합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2)를 형성하여서된 전,후회동구(50)와,
    상기 전,후회동구(50)의 돌출부(52)에 하단이 힌지(2)결합되는 제1링크(61) 및 지주후레임(20)에 후단이 힌지(4)결합되고 제1링크(61)의 상단이 중간부분에 힌지(3)결합되는 제2링크(62) 그리고 제2링크(62)의 선단에 하단이 힌지(5)결합되는 제3링크(63)로 이루어진 링크결합부(60)와,
    상기 링크결합부(60)의 제3링크(63)의 선단에 하부저면이 힌지(6)결합되고 지주후레임(20)의 상부에 하단이 힌지(7a)결합되며 상단에는 시트받침구(80)가 힌지(7b)결합된 승강후레임(70)와,
    상기 승강후레임(70)에 힌지(7b)결합된 시트받침구(80)의 하단에 상단이 힌지(8b)결합되고 하단은 지주후레임(20)에 힌지(8a)결합되어 시트받침구(80)가 항상 수평을 유지토록 하는 수평지지간(9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
KR2020000036394U 2000-12-26 2000-12-26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 KR200226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394U KR200226624Y1 (ko) 2000-12-26 2000-12-26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394U KR200226624Y1 (ko) 2000-12-26 2000-12-26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24Y1 true KR200226624Y1 (ko) 2001-06-15

Family

ID=7309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394U KR200226624Y1 (ko) 2000-12-26 2000-12-26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360A (ko) * 2002-05-08 2003-11-14 정정란 미용의자용 승강장치
KR20110071724A (ko) * 2009-12-21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운전석 콘솔박스 높이조절장치
KR102255805B1 (ko) * 2020-03-25 2021-05-25 장종 이미용 전동의자용 승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360A (ko) * 2002-05-08 2003-11-14 정정란 미용의자용 승강장치
KR20110071724A (ko) * 2009-12-21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운전석 콘솔박스 높이조절장치
KR101630455B1 (ko) 2009-12-21 2016-06-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운전석 콘솔박스 높이조절장치
KR102255805B1 (ko) * 2020-03-25 2021-05-25 장종 이미용 전동의자용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1471B2 (ja) 介護用ベッド
KR100344036B1 (ko) 이미용 의자
KR101629290B1 (ko) 샴푸 전동 의자
KR200401864Y1 (ko) 환자용 목욕 전용 침대
JP2002102001A (ja) 洗髪装置
KR200226624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
JP2006061521A (ja) 理美容用椅子
KR102123610B1 (ko) 노약자용 기능성 전동 침대
KR101060669B1 (ko) 의자겸 베드형 자동 두발세척관리기
US6256807B1 (en) Bath lift
KR200412385Y1 (ko) 의자와 샴푸대 일체형 안심 두발세척기기
KR200318495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의자
KR200325988Y1 (ko) 좌대 승강 및 등받이와 다리받이 각도조정 의자
CN205663002U (zh) 一种坐便器
EP3646757B1 (en) A shampoo bed
KR200492203Y1 (ko) 안정한 구성의 조절식 매트리스
JP3980440B2 (ja) 理美容用椅子
EP1029525B1 (en) Lifting apparatus for bathers
KR200419385Y1 (ko) 장애인용 휠체어
CN216875711U (zh) 一种坐深可调节的沙发
CN214906347U (zh) 一种如厕助立器
CN108775062B (zh) 一种用于无障碍智能马桶的升降装置
CN219680984U (zh) 一种可调节的护理床
CN213720951U (zh) 一种带可调节式搁脚架的椅子
KR0127906Y1 (ko) 미용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