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338Y1 -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338Y1
KR200226338Y1 KR2020000037097U KR20000037097U KR200226338Y1 KR 200226338 Y1 KR200226338 Y1 KR 200226338Y1 KR 2020000037097 U KR2020000037097 U KR 2020000037097U KR 20000037097 U KR20000037097 U KR 20000037097U KR 200226338 Y1 KR200226338 Y1 KR 200226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leakage
power failure
circuit breaker
power supply
loa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00037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338Y1/ko

Link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누전이나 합선시 전류를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의 전원측 및/또는 부하측에는 정전시 전원측 및/또는 부하측의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32)(34)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정전시 고장개소 및 정전구간의 확인이 용이하여 불필요한 혼란을 줄이고 고장처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전차단기{an earth leakage breaker}
본 고안은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누전차단기는 누전이나 합선시 전류를 차단하는 기기로서, 고객의 안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기기이다.
종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누전차단기(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1차 접속단자(전원측)(4)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2차 접속단자(부하측)(6)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2)의 중간부에는 필요시 전원을 차단하도록 개폐스위치(8)가 결합되어 있는 한편, 개폐동작 시험용 버튼(10)이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누전차단기에서는,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하여, 정전이 되면 전원측에 이상이 생겼는지 부하측에 이상이 생겼는지를 즉시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고장처치를 신속히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정전이 되면 사용자는 무조건 한전측에 연락을 하는 경우가 있게 되어, 실내 부하측의 사소한 고장이라도 한전에서 출장을 나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전시 고장개소 및 정전구간의 확인이 용이하여 불필요한 혼란을 줄이고 고장처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누전차단기의 내, 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내, 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누전 차단기 22 : 몸체
24 : 개폐스위치 26 : 보턴
28 : 1차 접속단자 30 : 2차 접속단자
32 : 전원측 표시등 34 : 부하측 표시등
본 고안에 의한 누전차단기는, 누전이나 합선시 전류를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의 전원측에는 정전시 전원측의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에는 정전시 부하측의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누전차단기(20)는, 몸체(22)의 중간부에는 개폐스위치(24)가 결합되어 있는 한편 이 개폐스위치(24)의 일측에는 개폐동작 시험용 버턴(26)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몸체(22)의 상부 가장자리의 일측에는 1차 접속단자(전원측)(28)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2)의 하부 가장자리의 타측에는 2차 접속단자(부하측)(3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2)의 상부(전원측)에는 정전시 전원측의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32)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몸체(22)의 하부(부하측)에는 정전시 부하측의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3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표시등(34)은 없는 구조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22)의 내부에는 과전류 트립부, 상기 개폐스위치를 작동하는 개폐기구 등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표시등(32)(34)은 정전이 되면 소등되고, 정상작동시에는 점등된 상태로 된다. 상기 표시등은 별도의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전원측에 결합된 표시등(32)은 상기 제어회로에 결합된 무전압 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누전차단기에서, 부하측에 이상이 생겨 정전되면, 표시등(32)는 점등된 상태로 있고 표시등(34)은 소등된다. 그리고, 전원측에 이상이 생겨 정전되면, 표시등(32)과 표시등(34)은 모두 소등되므로 사용자는 어느 곳에 이상이 생겼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측에만 표시등(32)이 결합된 구조에서는, 부하측에 이상이 생겨 정전되면, 표시등(32)는 점등된 상태로 있다. 그리고, 전원측에 이상이 생겨 정전되면, 무전압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신호에 의해 표시등(32)이 소등되므로 사용자는 어느 곳에 이상이 생겼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 부하측의 사소한 고장일 때에는 한전에 연락하지 않고, 간단히 고장처치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누전차단기에 의하면, 정전시 고장개소 및 정전구간의 확인이 용이하여 불필요한 혼란을 줄이고 고장처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누전이나 합선시 전류를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의 전원측에는 정전시 전원측의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에는 정전시 부하측의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KR2020000037097U 2000-12-29 2000-12-29 누전차단기 KR200226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97U KR200226338Y1 (ko) 2000-12-29 2000-12-29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97U KR200226338Y1 (ko) 2000-12-29 2000-12-29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338Y1 true KR200226338Y1 (ko) 2001-06-15

Family

ID=730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097U KR200226338Y1 (ko) 2000-12-29 2000-12-29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3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2692C (en) Circuit interrupter including arc fault test and/or ground fault test failure indicator
US4344100A (en) Ground fault circuit breaker with ground fault trip indicator
US8446151B2 (en) Protective device
KR860002852A (ko) 개량된 차단기 지시기
EP2630712B1 (en) Circuit breaker with fault indication and secondary power supply
JP2009259440A (ja) 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KR200226338Y1 (ko) 누전차단기
JPH1014082A (ja) 遮断器の操作回路
KR200442250Y1 (ko) 전기 스파크감지장치를 갖는 누전차단기
EA1998006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икаци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неисправности в устройстве коммутации, в частности, в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м выключателе
JP4562160B2 (ja) 感震装置
CN217560826U (zh) 一种重合闸测温电路
KR102490877B1 (ko) 역접속 누전차단기
JP3046844U (ja) 遮断器
KR200218871Y1 (ko) 누전차단기
KR200280182Y1 (ko)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 절환스위치 구조
KR790001374Y1 (ko)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
JPH054656Y2 (ko)
KR200327738Y1 (ko) 과전류 차단 장치
KR790001373Y1 (ko) 누전 및 과전류 차단기의 누전표시장치
JP2960913B2 (ja) 漏電ブレーカ用ハンドル操作装置
KR200299521Y1 (ko) 램프 표시형 누전차단기
KR200280239Y1 (ko) 누전차단기용 단자
JP2013182821A (ja) 開閉器
JPH02294217A (ja) 漏電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