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280Y1 -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280Y1
KR200226280Y1 KR2020000035590U KR20000035590U KR200226280Y1 KR 200226280 Y1 KR200226280 Y1 KR 200226280Y1 KR 2020000035590 U KR2020000035590 U KR 2020000035590U KR 20000035590 U KR20000035590 U KR 20000035590U KR 200226280 Y1 KR200226280 Y1 KR 200226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door
locking
cas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2020000035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2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280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곳에 사용되는 미닫이용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는,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싱(11)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부착되고 체결공(16)이 성형된 체결부재(13)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체결공(16) 측으로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체결슬라이더(14)와, 상기 체결슬라이더(14)와 연동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12)를 구비하는 로킹부재(10)와; 상기 로킹부재(10)의 체결공(16)으로 들어가서, 체결슬라이더(14)와 체결되는 걸림후크(22)를 구비하고, 도어의 타측 또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걸림부재(20)를 포함한다. 체결슬라이더(14)는 걸림후크와 접촉할 때 걸림후크가 미끄러지면서 이동한 후 체결되는 경사면(14a)을 구비하고,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레버(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
본 고안은 미닫이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도어의 닫힘 동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잠기게 되면서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해체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구성되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의 베란다 측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미닫이 도어의 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손으로 별도로 조작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도어를 닫은 후에, 문을 잠기기 위해서는 별도의 레버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를 잠근 상태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별도의 조작은, 불편함이 뒤따르는 것은 당연하고, 조작자의 실수로 잊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잠금장치는 조작레버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러한 조작레버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되기도 하고, 또한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쉽게 열릴 위험성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방범상의 문제점도 발생하게될 소지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도어가 쉽게 열리게 되면, 고층아파트에서는 유아가 베란다에 바로 노출되기 때문에 안정상의 문제점도 대두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게 되면, 자동적으로 잠기게 되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외력에 의하여 또는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거나 열리지 않는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로킹부재 11 ..... 케이싱
12 ..... 조작레버 13 ..... 체결부재
14 ..... 체결슬라이더 14a ..... 경사면
15 ..... 이면 16 ..... 체결공
S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부착되고 체결공이 성형된 체결부재(13)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체결공 측으로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체결슬라이더와, 상기 체결슬라이더와 연동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를 구비하는 로킹부재와; 상기 로킹부재의 체결공으로 들어가서, 체결슬라이더와 체결되는 걸림후크를 구비하고, 도어의 타측 또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걸림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슬라이더는 걸림후크와 접촉할 때 걸림후크가 미끄러지면서 이동한 후 체결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가 닫히게 되면, 로킹부재와 걸림고리가 스스로 체결상태로 되어, 도어의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상 또는 방범상의 측면에서, 외부에서 임의로 도어를 열지 못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사시도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고정측에 부착되는 걸림고리(20)와, 상기 걸림고리(20)와 체결되는 로킹부재(1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고리(20)는, 도어의 일측 또는 샤시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고리(20)의 단부에는, 반대방향으로 벤딩되도록 구성된 걸림후크(22)가 성형되어 있다. 또는 상기 걸림후크(22)는, 적어도 체결슬라이더(14)의 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벤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상기 체결슬라이더(14)의 단부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대략 90도 또는 그 이상의 각도를 가지고 벤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로킹부재(10)는, 이동하는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굵은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와 같이 연동하게 된다. 상기 로킹부재(10)에는 상기 걸림고리(20)의 단부에 성형되는 걸림후크(22)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16)이 성형된 체결부재(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3)의 체결공(16)은, 상기 걸림고리(20)가 내부에 수납되었을 경우,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의 유격이 가능하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걸림고리(20)가 체결공(16)에 들어와서 체결된 상태에서, 유격이 많으면 실질적으로 도어가 흔들릴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3)는 본 고안의 로킹부재(10)의 외부를 형성하는 케이싱(11)의 전방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고리(20)가 체결공(16)에 들어온 상태에서, 상기 걸림후크(22)의 단부에는 체결슬라이더(14)가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3)는, 실질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11)의 이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금속재로 구성되는 상기 체결부재(13)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전체 이면(15)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상기 체결부재(13)가 이면(15) 전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한쌍의 스크류(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이면(15)과 케이싱(11)을 서로 체결하도록 구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 체결슬라이더(14)는 상기 케이싱(11)의 내부에서, 도 1에서 화살표 C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슬라이더(14)는 스프링(S)에 의하여 도면상에서 항상 우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기 걸림고리(20)가 삽입되는 체결공(16)을 향상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슬라이더(14)의 저면에는 경사진 경사면(14a)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14a)은, 상기 체결공(16)을 통하여 들어오는 걸림고리(20)의 단부에 성형된 걸림후크(22)와 접촉할 때 걸림후크(22)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로킹부재(10)가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진 상태로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베란다의 샤시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로킹부재(10)가 부착되어 있는 도어가 닫히게 되는 슬라이딩 이동 과정에서, 상기 체결공(16) 속으로 걸림고리(20)가 들어와서, 걸림고리(22)의 걸림후크(22)가 상기 체결슬라이더(14)의 경사면(14a)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로킹부재(10)는 계속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로킹부재(10)가 부착된 도어의 이동은, 도어가 완전히 닫히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리(22)가 체결슬라이더(14)에 완전히 체결되는 상태까지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걸림고리(22)가 체결슬라이더(14)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부재(10)는 걸림고리(22)에서 임의로 이탈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샤시의 도어가 완전히 닫혀서 고정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를 다시 열기 위해서는, 상기 로킹부재(10)의 체결슬라이더(14)와, 걸림후크(22)의 체결관계가 해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체결관계가 해제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슬라이더(14)가 도 1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이렇게 상기 체결슬라이더(14)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하여, 케이싱(11)의 전면에는 조작레버(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12)는 연결축(12a)을 통하여 체결슬라이더(14)와 연결되어 있어서, 조작레버(12)를 도면상의 좌측으로 당기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슬라이더(14)도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결슬라이더(14)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걸림후크(22)와의 체결관계가 해제되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부재(10)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로킹부재(10)가 이동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그것이 부착되어 있는 도어가 열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의 양측에는, 로킹부재(10)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하여 한쌍의 체결공(18a,18b)이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공(18a,18b)을 통하여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로킹부재(10)를 미닫이 도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아파트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 도어의 일측에 로킹부재(10)를 고정하고, 타측(도어의 타측 또는 사사프레임)에는 걸림고리(20)를 설치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로킹부재(10)와 걸림고리(20)가 완전히 자동적으로 체결(locking)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고리(2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후크(22)와, 그것이 삽입되는 체결공(16)은 서로 유격이 거의 없도록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전혀 이동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닫혀진 상태의 도어는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거의 없으며, 더욱이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는, 미닫이 도어뿐만 아니라, 창문 등에도 널리 적용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아파트 등에서 도어가 닫히게 되면 자동적으로 도어가 로킹되어 임의로 열 수 없는 상태가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방범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안전함 구조를 제공하고 있음과 동시에 특히 고층 아파트에 있어서는 안전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걸림고리(20)와 체결공(16)의 치수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그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유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체결상태가 해제되거나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체결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아주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싱(11)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부착되고 체결공(16)이 성형된 체결부재(13)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체결공(16) 측으로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체결슬라이더(14)와, 상기 체결슬라이더(14)와 연동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레버(12)를 구비하는 로킹부재(10)와;
    상기 로킹부재(10)의 체결공(16)으로 들어가서, 체결슬라이더(14)와 체결되는 걸림후크(22)를 구비하고, 도어의 타측 또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걸림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슬라이더(14)는 걸림후크와 접촉할 때 걸림후크가 미끄러지면서 이동한 후 체결되는 경사면(14a)을 구비하고,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레버(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13)는 케이싱의 이면을 형성하도록 연장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도어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공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과 걸림후크는, 양자가 체결되었을 때 유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치수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20000035590U 2000-12-19 2000-12-19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KR200226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90U KR200226280Y1 (ko) 2000-12-19 2000-12-19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590U KR200226280Y1 (ko) 2000-12-19 2000-12-19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280Y1 true KR200226280Y1 (ko) 2001-06-15

Family

ID=7306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590U KR200226280Y1 (ko) 2000-12-19 2000-12-19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2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527B1 (ko) * 2011-04-29 2013-02-21 (주)인익스 롤방충망의 록킹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527B1 (ko) * 2011-04-29 2013-02-21 (주)인익스 롤방충망의 록킹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4238B2 (ja) 動くことができるようにして枠に取付けられている閉鎖部材の動く範囲を制限する制限装置
KR930006289A (ko) 금속 캐비넷 도어용 안전 밀폐 시스템
US4083591A (en) Gate latch
US5452928A (en) Sliding door self-latching apparatus
JPH0227075A (ja) 施錠金具
US5590922A (en) Security device
KR200226280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KR100309144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AU2018220445A1 (en) Door striker for preventing door movement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0136555Y1 (ko) 미닫이문 자동괘정구
KR102598170B1 (ko) 여닫이문용 열림 조절 장치
KR200336823Y1 (ko) 도어잠금장치를 가지는 유아보호용 안전도어
KR0139218Y1 (ko) 전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US20090025183A1 (en) Pull-handle assembly
KR200298383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KR200274319Y1 (ko) 현관용 도어의 보조 잠금장치
KR200203653Y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101031112B1 (ko) 보조 안전 장치가 구비된 도어락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200198740Y1 (ko) 미닫이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KR102532415B1 (ko) 문 스토퍼
KR200339903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