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102Y1 - 오디오용카세트테이프의가이드시트 - Google Patents

오디오용카세트테이프의가이드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102Y1
KR200226102Y1 KR2019980011995U KR19980011995U KR200226102Y1 KR 200226102 Y1 KR200226102 Y1 KR 200226102Y1 KR 2019980011995 U KR2019980011995 U KR 2019980011995U KR 19980011995 U KR19980011995 U KR 19980011995U KR 200226102 Y1 KR200226102 Y1 KR 200226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hub
wound
guide shee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258U (ko
Inventor
이근진
Original Assignee
이근진
유한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진, 유한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근진
Priority to KR2019980011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10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102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어 테이프를 허브(Hub)에 권취할 때 테이프가 허브에 일정하게 권취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을 반복 재생시에도 테이프의 권취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판상의 가이드 시트(Guide sheet)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 시트에 형성되는 엠보싱부의 형상 및 위치를 개선하여 테이프의 권취작업시 또는 녹음 및 재생시 테이프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허브(2)에 감겨지는 테이프(3)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엠보싱부가 형성된 가이드 시트(4)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15)는 허브(2)에 감겨지는 테이프(3)가 전체적으로 접촉되게 형성되어 있어 테이프(3)의 권취작업시 가이드 시트(4)에 형성된 엠보싱부(15)에 의해 가지런히 권취되므로 테이프의 권취속도를 32배속에서 64배속 정도로 빠르게 할 수 있게 됨음 물론 녹음 및 재생시 허브(2)에 감겨진 테이프(3)가 균일하게 접속되는 엠보싱부(15)에 의해 항상 일정한 감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음질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디오용 카세트 테이프의 가이드 시트{guide sheet of cassette tape for audio}
본 고안은 오디오용 카세트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어 테이프를 허브(Hub)에 권취할 때 테이프가 허브에 일정하게 권취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을 반복 재생시에도 테이프의 권취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판상의 가이드 시트(Guide shee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용 카세트 테이프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형성되어 조립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테이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한쌍의 허브(2)와, 상기 양측 허브(2) 사이에 감겨진 테이프(3)와, 상기 허브의 상면과 하면에 설치되어 카세트 테이프의 제조공정시 허브에 권취되는 테이프를 가이드 함과 동시에 재생시에는 테이프의 권취상태를 유지시키는 판상의 가이드 시트(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케이스(1)내에 테이프(3)를 권취하는 작업시 가이드 시트(4)가 가이드역할을 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프(3)의 권취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전에 카세트 테이프의 제조 회사에서 출하되는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면, 출하되는 케이스내(1)의 허브(2)에는 일정량의 공테이프(흰색으로 되어 있음)가 감겨진 상태로 출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빈 카세트 테이프를 음악이나 기타 내용이 수록된 카세트 테이프로 만들기 위해서는 공테이프를 절단한 후 절단된 양측 공테이프 사이에 음악이나 기타 내용이 수록된 녹음된 테이프를 연결해 주어야한다.
이때 허브(2)에 감겨진 공테이프를 케이스(1)의 외부로 인출하여 중간부위를 절단하고 일측의 절단면에 녹음된 테이프(3)를 접착한 다음 케이스(1)를 도 3과 같이 권취기에 로딩하면 가이드 시트(4)가 자중에 의해 허브(2)의 상면과 닿게 되므로 상부케이스(1)의 내측면과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약 0.8mm 정도)의 틈새가 생기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기에 의해 허브(2)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녹음된 테이프(3)의 권취작업을 실시하면 테이프가 일측의 허브(2)에 감겨지며, 상기와 같이 일측 허브(2)에 일정량의 테이프(3)를 권취한 후 권취된 테이프의 끝단부를 공테이프의 다른 일측의 절단면에 접착하면 녹음된 테이프의 권취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카세트 테이프에서 가이드 시트(4)는 고속으로 권취되는 테이프가 허브(2)에 가지런히 감겨지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가이드 시트(4)에는 권취되는 테이프에 스프링력을 작용시켜 테이프가 가지런히 권취되도록 하기 위한 엠보싱부가 형성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가이드 시트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단면도로서, 가이드 시트(4)에 일정폭을 가진 엠보싱부(5)가 두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엠보싱부(5)는 빈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된 테이프를 권취할 때 허브(2)에 권취되는 테이프와 접촉하면서 테이프에 스프링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 시트(4)는 단순히 좁은 폭을 가진 두줄의 엠보싱부(5)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허브(2)의 회전에 따라 테이프(3)가 허브(2)에 권취될 때 테이프(3)와 접촉되는 엠보싱부(5)의 단면적이 적고 이에따라 엠보싱부(5)가 테이프(3)에 충분한 스프링력을 작용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권취 시 허브의 회전수를 24배속(재생 또는 녹음시 허브 회전속도의 24배) 이상으로 하는 경우 테이프가 허브(2)에 가지런히 감기지 못하고 불규칙하게 감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테이프(3)를 24배속 이하로 권취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만약, 허브(2)를 24배속 이상으로 회전시켜 테이프(3)를 권취하면 허브(2)에 테이프가 가지런히 권취되지 않고 권취되는 테이프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등 테이프가 불규칙하게 권취되므로 녹음 또는 재생시 음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가이드 시트에 형성되는 엠보싱부의 형상 및 위치를 개선하여 테이프의 권취작업시 또는 녹음 및 재생시 테이프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허브에 감겨지는 테이프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엠보싱부가 형성된 가이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허브에 감겨지는 테이프가 전체적으로 접촉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용 카세트 테이프의 가이드 시트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이드 시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가이드 시트를 이용하여 허브에 테이프를 권취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가이드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이드 시트를 이용하여 허브에 테이프를 권취한 상태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허브 3 : 테이프
4 : 가이드 시트 6 : 접지면
15 : 엠보싱부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가이드 시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가이드 시트를 이용하여 허브에 테이프를 권취한 상태의 횡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가이드 시트(4)에 형성되는 엠보싱부(15)는 허브(2)에 감겨지는 테이프(3)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되게 되어 있다.
즉, 가이드 시트(4)에 형성되는 두줄의 제 1, 2 엠보싱부(15a)(15b)가 서로 통하여지도록 이들 사이에 제 3 엠보싱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2 엠보싱부(15a)(15b)는 허브(2)의 원둘레면 보다 바깥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권취시 엠보싱부(15)와의 접촉면이 최대한 확보되고, 제 1, 2, 3 엠보싱부(15a)(15b)(15c)의 반대편측으로 케이스(1)의 내면과 접지되는 접지면(6)이 형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7과 같이 전체적으로 허브(2)의 접속면측으로 형성되는 엠보싱부(15)상에 다수개의 접지면(6)을 형성하여 권취 시 테이프와 엠보싱부의 마찰을 줄이면서 상기 엠보싱부(15)에 테이프(3)의 일측면이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의 조립작업시 복수매 중첩되게 쌓여진 가이드 시트(4)를 흡착수단인 픽커(도시는 생략함)로 흡착하여 케이스측으로 공급시 엠보싱부(15)에 의해 가이드 시트(4)끼리 접지되는 접지면(6)이 줄어들게 되므로 2매의 가이드 시트(4)가 동시에 흡착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할 형성된 케이스(1)내에 2매의 가이드 시트(4)를 삽입한 상태에서 케이스(1)를 도 6과 같이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테이프의 권취작업을 실시하면 상기 가이드 시트(4)에 형성된 엠보싱부(15)에 허브(2)의 양측면이 접속된 상태로 허브가 회전하게 되므로 테이프가 허브에 권취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계속되는 허브(2)의 회전으로 상기 허브에 테이프(3)가 점진적으로 감기면 허브에 감겨지는 테이프가 제 1, 2 엠보싱부(15a)(15b)를 연결하는 제 3 엠보싱부(15c)에 계속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테이프의 권취상태가 가지런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가이드 시트는 두줄로 된 제 1, 2 엠보싱부(15a)(15b) 사이에 제 3 엠보싱부(15c)를 형성함에 의해 테이프와 접촉되는 엠보싱부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접촉면적의 증가에 의해 권취작업시 테이프에 충분한 스프링력을 작용시키게 되므로 테이프가 허브에 균일하게 권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엠보싱부의 면적을 증가시켜 테이프의 권취작업 시 테이프에 충분한 스프링력을 작용시킬 수 있게되고 이에따라 테이프의 권취속도를 32배속에서 64배속 정도로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테이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녹음 및 재생시 허브에 감겨진 테이프가 균일하게 접속되는 엠보싱부에 의해 항상 일정한 감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음질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허브(2)에 감겨지는 테이프가 접촉되도록 제 1 엠보싱부(15a)와 제 2 엠보싱부(15b)를 형성한 가이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15a)(15b) 사이에 상기 엠보싱부와 통하여지면서 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제 3 엠보싱부(15c)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용 카세트 테이프의 가이드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상에 다수개의 접지면(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용 카세트 테이프의 가이드 시트.
KR2019980011995U 1998-07-01 1998-07-01 오디오용카세트테이프의가이드시트 KR200226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995U KR200226102Y1 (ko) 1998-07-01 1998-07-01 오디오용카세트테이프의가이드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995U KR200226102Y1 (ko) 1998-07-01 1998-07-01 오디오용카세트테이프의가이드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58U KR20000002258U (ko) 2000-02-07
KR200226102Y1 true KR200226102Y1 (ko) 2001-06-01

Family

ID=6951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995U KR200226102Y1 (ko) 1998-07-01 1998-07-01 오디오용카세트테이프의가이드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1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258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8716A (en) Endless loop tape cassette
KR200226102Y1 (ko) 오디오용카세트테이프의가이드시트
JPH0660595A (ja) ペガサス型のデータカートリッジ
US4838496A (en) Magnetic tape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US5785268A (en) Tape cartridge with tape tension differential attenuating tape guide arrangement
KR200212333Y1 (ko) 오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페이퍼 쉬트
US4761874A (en) Method of making magnetic recording medium
US4412638A (en) Pinch pressure-adjusting device for a pair of pinch rollers used with dual capstan type tape-running apparatus
US4316590A (en) Tape cassette
US4467377A (en) Cassette type-tape recorder
KR200162170Y1 (ko) 영상기기용 테이프 와인딩 장치
JPS5927014B2 (ja) カセツトテ−プ用高速録音装置
JPH03269888A (ja) テープリール
JP3116646B2 (ja) 記録再生装置の回転ヘッドシリンダ
JPH04167257A (ja) 記録再生装置
JPS59135649A (ja) カセツトテ−プ用高速録音装置
JPH0713102Y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
KR95000306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JP385767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ポールベース組立体
JP3271292B2 (ja) 磁気テープガイドの製造方法
JPH11306714A (ja) 磁気テ―プカ―トリッジ
KR200212147Y1 (ko) 마찰감소형테이프카세트
JPH0262747A (ja) カセット式記録再生装置
JPH0476182B2 (ko)
JPH09505926A (ja) 情報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システム、および情報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用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